모든 공개 기록

위키백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기록 목록
  • 2020년 5월 13일 (수) 15:57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토론:최현일(崔鉉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2020년 5월 13일의 삭제 신청 이의: 새 문단)
  • 2020년 5월 13일 (수) 15:40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최현일(崔鉉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등재를 함) 태그: 시각 편집
  • 2020년 5월 9일 (토) 14:27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토론:최현일(崔鉉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2020년 5월 9일의 삭제 신청 이의: 새 문단)
  • 2020년 5월 9일 (토) 13:33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최현일(崔鉉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원본을 만듬) 태그: 새 문서에 분류 없음 시각 편집: 전환됨
  • 2019년 9월 23일 (월) 11:32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최수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문단제목 내용추가) 태그: 시각 편집
  • 2019년 9월 22일 (일) 11:34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토론:최현일(崔鉉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2019년 9월 22일의 삭제 신청 이의: 새 문단)
  • 2019년 9월 22일 (일) 09:18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최현일(崔鉉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내용을추가)
  • 2019년 9월 21일 (토) 11:14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권한을 자동으로 (없음)에서 장기인증된 사용자(으)로 바꾸었습니다 태그: m 모바일 웹
  • 2019년 9월 11일 (수) 16:05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최사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문단제목과 내용을 추가) 태그: 시각 편집
  • 2019년 8월 19일 (월) 21:13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최응룡 (조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분류추가를 함) 태그: 시각 편집
  • 2019년 8월 19일 (월) 20:17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최영수 (의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참고문헌(參考文獻)) 태그: 새 문서에 분류 없음 시각 편집
  • 2019년 8월 19일 (월) 19:20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최응룡 (의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최응룡(崔應龍) ( ? ~1592년 宣祖25 7월10일) 조선중기(朝鮮中期)의 문신(文臣)이자 의병장(義兵將) 이다. 자(字)는 사서(士瑞). 호(號)는 송암(松巖). 본관(本貫)은 삭녕(朔寧). 문충:문정(文忠:文靖)公 항(恒)의 현손(玄孫), 통덕랑(通德郞) 경립(卿立)의 아들이다. 일찍이 음사(蔭仕)로 여러 관직(官職)을 역임(歷任)하고, 문과(文科)에 등제(登第)하여 별감(別監) 등을 거쳐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 이후 통정대부행주부(通政大夫行主簿)로 세상(世上)이 어지러워지자 더 이상 관직에 미련(未練)을 두지 않고 관직(官職)에서 물러나 고향(故鄕)으로 낙향(落鄕)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남평(南平)에서 아들 참봉(參奉) 영수(永水)와 함께 가동(家僮)을 이끌고 의병(義兵)을 모집(募集)하였다. 남평(南平)에 사는 주부(主簿) 홍민언(洪民彦)은 군량(軍糧) 10석(析)을 보내왔고, 남원출신(南原出身) 종질(從姪) 모량유사) 태그: 새 문서에 분류 없음 시각 편집
  • 2019년 8월 19일 (월) 17:12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사용자:최현일/연습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최응룡(崔應龍) ( ? ~1592년 宣祖25 7월10일)조선중기(朝鮮中期)의 문신(文臣)이자 의병장(義兵將) 이다. 자(字)는 사서(士瑞). 호(號)는 송암(松巖). 본관(本貫)은 삭녕(朔寧). 문충:문정(文忠:文靖)公 항(恒)의 현손(玄孫), 통덕랑(通德郞) 경립(卿立)의 아들이다. 일찍이 음사(蔭仕)로 여러 관직(官職)을 역임(歷任)하고, 문과(文科)에 등제(登第)하여 별감(別監) 등을 거쳐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 이후 통정대부행주부(通政大夫行主簿)로 세상(世上)이 어지러워지자 더 이상 관직에 미련(未練)을 두지 않고 관직(官職)에서 물러나 고향(故鄕)으로 낙향(落鄕)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남평(南平)에서 아들 참봉(參奉) 영수(永水)와 함께 가동(家僮)을 이끌고 의병(義兵)을 모집(募集)하였다. 남평(南平)에 사는 주부(主簿) 홍민언(洪民彦)은 군량(軍糧) 10석(析)을 보내왔고, 남원출신(南原出身) 종질(從姪) 모량유사) 태그: 시각 편집
  • 2019년 8월 16일 (금) 13:17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최응룡 (조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송암(松巖) 최응룡(崔應龍) ( ? ~1592년 宣祖25 7월10일)조선중기(朝鮮中期)의 문신(文臣)이자 의병장(義兵將) 이다. 자(字)는 사서(士瑞). 호(號)는 송암(松巖). 본관(本貫)은 삭녕(朔寧). 문충:문정(文忠:文靖)公 항(恒)의 현손(玄孫), 통덕랑(通德郞) 경립(卿立)의 아들이다. 일찍이 음사(蔭仕)로 여러 관직(官職)을 역임(歷任)하고, 문과(文科)에 등제(登第)하여 별감(別監) 등을 거쳐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 이후 통정대부행주부(通政大夫行主簿)로 세상(世上)이 어지러워지자 더 이상 관직에 미련(未練)을 두지 않고 관직(官職)에서 물러나 고향(故鄕)으로 낙향(落鄕)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남평(南平)에서 아들 참봉(參奉) 영수(永水)와 함께 가동(家僮)을 이끌고 의병(義兵)을 모집(募集)하였다. 남평(南平)에 사는 주부(主簿) 홍민언(洪民彦)은 군량(軍糧) 10석(析)을 보내왔고, 남원출신(南原出身) 종질(從姪)) 태그: 새 문서에 분류 없음 시각 편집
  • 2019년 8월 16일 (금) 13:14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최영수(崔永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최영수(崔永水) ( ? ~1592) 자(字)는 원집(原集) 호(號)는 죽봉(竹峰) 문충:문정(文忠:文靖)공 항(恒)의 5대손(五代孫)이으로 송암(松巖公)공 응룡(應龍)의 아들로 참봉(參奉)을 지내던중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아버지 응룡(應龍)의 창의(倡義)에 전라도(全羅道) 남평(南平)에서 모의(募儀)하여 父親(부친)을 따라 宣傳官(선전관)으로서 從軍(종군)하여 錦山戰鬪(금산전투)에서 역전분투(力戰奮鬪)하였으나 중과부적(衆寡不敵)으로 패(敗)하여 적(賊)의 적봉(敵鋒)에 순절(殉節)하였다 이 사실이 선무원종공신녹권(宣武原從功臣錄券), 호남절의록((湖南節義錄), 오란충의록(五亂忠義錄), 유팽노 월파집(柳彭老 月波集) 등에 올라 있다 후에 승정원 도승지(承政院 都承旨)에 추증(追贈)되었다 시호(諡號)는 무열(武烈) 이다. 유록권(有錄券) 묘비(墓碑)에 유갈(有碣)이다 송암공(松巖公) 묘비(墓碑)에도 유갈(有碣)이 있다.) 태그: 새 문서에 분류 없음 시각 편집
  • 2019년 8월 16일 (금) 00:03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최민(崔岷)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최 민(崔 岷) 생ㆍ졸년 미상 본관(本貫)은 삭녕(朔寧) 이다. 태종(太宗) 5년(1405) 을유(乙酉) 식년시(式年試) 동진사(同進士) 7위(17/33)로 문과에 급제하여 1421년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 1423년 의금부 지사(義禁府知事), 1425년 나주판관(羅州判官), 1451년 도관 정랑(都官正郞), 군수(郡守)를 역임(歷任)하였다. 참고문헌(參考文獻)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태그: 새 문서에 분류 없음 토막글 시각 편집
  • 2019년 8월 15일 (목) 21:52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분류:저작권 침해가 의심되는 문서/2019년 8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분류/생졸년미상 조선의 문신 과거급제) 태그: 시각 편집
  • 2019년 8월 15일 (목) 21:20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토론:최사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2019년 8월 15일의 삭제 신청 이의: 새 문단)
  • 2019년 8월 15일 (목) 17:41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토론:최응룡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2019년 8월 15일의 삭제 신청 이의: 새 문단)
  • 2019년 8월 15일 (목) 17:25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최 민(崔 岷),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최 민(崔 岷) 생ㆍ졸년 미상 본관(本貫)은 삭녕(朔寧) 이다. 태종(太宗) 5년(1405) 을유(乙酉) 식년시(式年試) 동진사(同進士) 7위(17/33)로 문과에 급제하여 1421년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 1423년 의금부 지사(義禁府知事), 1425년 나주판관(羅州判官), 1451년 도관 정랑(都官正郞), 군수(郡守)를 역임(歷任)하였다. 참고문헌(參考文獻)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태그: 새 문서에 분류 없음 토막글 시각 편집
  • 2019년 8월 15일 (목) 17:19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최민 (조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최 민(崔 岷) 생ㆍ졸년 미상 본관(本貫)은 삭녕(朔寧) 이다. 태종(太宗) 5년(1405) 을유(乙酉) 식년시(式年試) 동진사(同進士) 7위(17/33)로 문과에 급제하여 1421년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 1423년 의금부 지사(義禁府知事), 1425년 나주판관(羅州判官), 1451년 도관 정랑(都官正郞), 군수(郡守)를 역임(歷任)하였다. 참고문헌(參考文獻)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태그: 새 문서에 분류 없음 토막글 시각 편집
  • 2019년 8월 15일 (목) 16:39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최영수(崔永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최영수(崔永水) ( ? ~1592) 자(字)는 원집(原集) 호(號)는 죽봉(竹峰) 문충:문정(文忠:文靖)공 항(恒)의 5대손(五代孫)이으로 송암(松巖公)공 응룡(應龍)의 아들로 참봉(參奉)을 지내던중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아버지 응룡(應龍)의 창의(倡義)에 전라도(全羅道) 남평(南平)에서 모의(募儀)하여 父親(부친)을 따라 宣傳官(선전관)으로서 從軍(종군)하여 錦山戰鬪(금산전투)에서 역전분투(力戰奮鬪)하였으나 중과부적(衆寡不敵)으로 패(敗)하여 적(賊)의 적봉(敵鋒)에 순절(殉節)하였다 이 사실이 선무원종공신녹권(宣武原從功臣錄券), 호남절의록((湖南節義錄), 오란충의록(五亂忠義錄), 유팽노 월파집(柳彭老 月波集) 등에 올라 있다 후에 승정원 도승지(承政院 都承旨)에 추증(追贈)되었다 시호(諡號)는 무열(武烈) 이다. 유록권(有錄券) 묘비(墓碑)에 유갈(有碣)이다 송암공(松巖公) 묘비(墓碑)에도 유갈(有碣)이 있다.) 태그: 새 문서에 분류 없음 시각 편집
  • 2019년 8월 15일 (목) 16:35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최사유(崔士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최사유(崔士柔) (1372년(공민왕 21~1455년(단종 3)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자는 휘지(徽之). 최선보(崔善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최충(崔忠)이고, 아버지는 호조전서(戶曹典書) 최윤문(崔潤文)이며, 어머니는 어백유(魚伯游)의 딸이다. 1399년(정종 1) 생원시·진사시에 모두 합격하고 1402년(태종 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409년 춘추관기사관(春秋館記事官), 1414년 장흥고사(長興庫使)가 되었는데, 이 때 질이 나쁜 종이를 납궐(納闕)한 죄로 의금부에 하옥되었다. 1432년(세종 14) 사간원좌헌납이 되었다. 이듬해 상정색녹사(詳定色錄事) 한유린(韓有隣)과 책봉도감녹사(冊封都監錄事) 허완(許完)에게 7등급을 초과하여 참직(參職)을 제수하자, 3등급을 초과할 수 없는 초천법(超遷法) 규정을 들어 이의 시정을 상소하였다. 누천(累遷)하여 성균관사예에 이르렀으나, 병으로 사직하고 퇴거하여 경사를 읽으며 세월을 보내다가 뒤에 수직(壽職)주 0) 태그: 새 문서에 분류 없음 시각 편집
  • 2019년 8월 15일 (목) 16:07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최사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최사유(崔士柔) 조선시대사인물 조선 전기의 문신. 이칭 : 휘지(徽之) 분야 : 조선시대사 유형 : 인물 시대 : 조선 성격 : 문신 성별 : 남 출생일 : 1372년(공민왕 21) 사망일 : 1455년(단종 3) 본관 : 삭녕(朔寧) 경력 : 성균관사예 개요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삭녕(朔寧). 자는 휘지(徽之). 최선보(崔善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최충(崔忠)이고, 아버지는 호조전서(戶曹典書) 최윤문(崔潤文)이며, 어머니는 어백유(魚伯游)의 딸이다. 내용 1399년(정종 1) 생원시·진사시에 모두 합격하고 1402년(태종 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409년 춘추관기사관(春秋館記事官), 1414년 장흥고사(長興庫使)가 되었는데, 이 때 질이 나쁜 종이를 납궐(納闕)한 죄로 의금부에 하옥되었다. 1432년(세종 14) 사간원좌헌납이 되었다. 이듬해 상정색녹사(詳定色錄事) 한유린(韓有隣)과 책봉도감녹사(冊封都監錄事) 허완(許完)에게 7등급을 초과하여 참직(參) 태그: 새 문서에 분류 없음 시각 편집
  • 2019년 8월 15일 (목) 16:00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최영수 (조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최영수(崔永水) ( ? ~1592) 자(字)는 원집(原集) 호(號)는 죽봉(竹峰) 문충:문정(文忠:文靖)공 항(恒)의 5대손(五代孫)이으로 송암(松巖公)공 응룡(應龍)의 아들로 참봉(參奉)을 지내던중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아버지 응룡(應龍)의 창의(倡義)에 전라도(全羅道) 남평(南平)에서 모의(募儀)하여 父親(부친)을 따라 宣傳官(선전관)으로서 從軍(종군)하여 錦山戰鬪(금산전투)에서 역전분투(力戰奮鬪)하였으나 중과부적(衆寡不敵)으로 패(敗)하여 적(賊)의 적봉(敵鋒)에 순절(殉節)하였다 이 사실이 선무원종공신녹권(宣武原從功臣錄券), 호남절의록((湖南節義錄), 오란충의록(五亂忠義錄), 유팽노 월파집(柳彭老 月波集) 등에 올라 있다 후에 승정원 도승지(承政院 都承旨)에 추증(追贈)되었다 시호(諡號)는 무열(武烈) 이다. 유록권(有錄券) 묘비(墓碑)에 유갈(有碣)이다 송암공(松巖公) 묘비(墓碑)에도 유갈(有碣)이 있다.) 태그: 새 문서에 분류 없음 시각 편집
  • 2019년 8월 15일 (목) 15:53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최영호 (조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최영호(崔永灝) (1457 世祖3 ~ 1481 成宗12 10月) 초휘(初諱) 처인(處仁) 자(字)는 광원(光元) 1457(世祖3 天順1 丁丑)년에 서울 서소문안에서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문충:문정(文忠公:文靖公)공 (崔恒)의 차자(次子)로 출생. 총명 절륜하여 장사랑(將仕郞) 藝文館(예문관) 한림(翰林)을 지내고 1477(성종 8 成化13 丁酉)년 21세 때 식년시(式年試)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병과1위(丙科一位)로 소년급제(少年及第)하였다. 특명(特命)으로 사제감정(司宰監正)에 제수되고 이어서 사도시정(司導寺正)을 거쳐 사옹원정(司饔院正)에 전임되었다. 경차관(敬差官:判事 왕명으로 지방에 파견하는 특수직책으로 전곡(田穀)의 손실을 조사하고 민정을 살피는 임무)으로 경상남도(慶尙南道) 고성(固城) 임지(任地)에서 급병을 얻어 1481(成宗12)년 10월에 25세의 젊은 나이에 서거(逝去)하자 성종대왕과 대신들 까지 조야(朝野)에서 그의 문재(文才)를 애석해 하였으며) 태그: 새 문서에 분류 없음 시각 편집
  • 2019년 8월 15일 (목) 15:48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최응룡(崔應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 ~1592년 宣祖25 7월10일) 조선중기(朝鮮中期)의 문신(文臣)이자 의병장(義兵將) 이다. 자(字)는 사서(士瑞). 호(號)는 송암(松巖). 본관(本貫)은 삭녕(朔寧). 문충:문정(文忠:文靖)公 항(恒)의 현손(玄孫), 통덕랑(通德郞) 경립(卿立)의 아들이다. 일찍이 음사(蔭仕)로 여러 관직(官職)을 역임(歷任)하고, 문과(文科)에 등제(登第)하여 별감(別監) 등을 거쳐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 이후 통정대부행주부(通政大夫行主簿)로 세상(世上)이 어지러워지자 더 이상 관직에 미련(未練)을 두지 않고 관직(官職)에서 물러나 고향(故鄕)으로 낙향(落鄕)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남평(南平)에서 아들 참봉(參奉) 영수(永水)와 함께 가동(家僮)을 이끌고 의병(義兵)을 모집(募集)하였다. 남평(南平)에 사는 주부(主簿) 홍민언(洪民彦)은 군량(軍糧) 10석(析)을 보내왔고, 남원출신(南原出身) 종질(從姪) 모량유사(募糧有司) 미능재() 태그: 새 문서에 분류 없음 시각 편집
  • 2019년 8월 15일 (목) 15:43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최응룡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최응룡(崔應龍)( ? ~1592년 宣祖25 7월10일) 조선중기(朝鮮中期)의 문신(文臣)이자 의병장(義兵將) 이다. 자(字)는 사서(士瑞). 호(號)는 송암(松巖). 본관(本貫)은 삭녕(朔寧). 문충:문정(文忠:文靖)公 항(恒)의 현손(玄孫), 통덕랑(通德郞) 경립(卿立)의 아들이다. 일찍이 음사(蔭仕)로 여러 관직(官職)을 역임(歷任)하고, 문과(文科)에 등제(登第)하여 별감(別監) 등을 거쳐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 이후 통정대부행주부(通政大夫行主簿)로 세상(世上)이 어지러워지자 더 이상 관직에 미련(未練)을 두지 않고 관직(官職)에서 물러나 고향(故鄕)으로 낙향(落鄕)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남평(南平)에서 아들 참봉(參奉) 영수(永水)와 함께 가동(家僮)을 이끌고 의병(義兵)을 모집(募集)하였다. 남평(南平)에 사는 주부(主簿) 홍민언(洪民彦)은 군량(軍糧) 10석(析)을 보내왔고, 남원출신(南原出身) 종질(從姪) 모량유사) 태그: 새 문서에 분류 없음 시각 편집
  • 2019년 7월 29일 (월) 02:05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1592선조(宣祖 25)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1592년도) 태그: 새 문서에 분류 없음 토막글 시각 편집
  • 2019년 7월 28일 (일) 03:02 최현일 토론 기여님이 사용자:최현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최응룡(崔應龍)) 태그: 2017 원본 편집
  • 2018년 3월 13일 (화) 21:08 최현일 토론 기여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