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종

웅웅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8월 10일 (수) 22:04 판

단아(旦兒) 김병종(金炳宗, Kim Byung-Jong, 1953 ~)은 대한민국의 대표화가로서 동양과 서양,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독자적 화풍을 지닌 미술가이자 문학가이다.

단아(旦兒) 김병종(金炳宗, Kim Byung-Jong, 1953~)

생애

1953년 전라북도 남원에서 태어난 김병종은 1974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에 입학했고, 1979년 전국대학미전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바 있다. 또한 그는 1980년 동아일보와 중앙일보 신춘문예에서 미술평론과 희곡 부문에 당선되어 등단하기도 했다. 이후 동대학원에서 석사 과정을 마친 김병종은 1984년에 서울대학교 동양화과의 최연소 교수로 부임한 뒤 2001년 동 미술대학의 최연소 학장으로 임명되었다. 1992년~2001년에는 성균관대학교에서 공부하여 동양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18년, 36년간 봉직한 서울대학교 퇴임식에서 46인의 퇴임교수들 중 대표연설을 한 바 있고,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및 가천대학교 석좌교수로 있다.

주요 전시로는 《송화분분》(가나아트센터, 2019), 《바보예수에서 생명의 노래까지》(서울대학교 미술관, 2018)《生命之歌 (생명의 노래)》(베이징 진르(今日)미술관, 2015) 《김병종 30년-생명을 그리다》(전북도립미술관, 2014) 등이 있으며, 서울뿐 아니라, 베이징, 파리, 시카고, 브뤼셀, 바젤, 도쿄, 베를린 등 해외에서 개인전을 20회 이상 가진 바 있다. 피악(FIAC), 아트바젤(Art Basel), 광주 비엔날레 베이징 비엔날레, 인도 트리엔날레 등 국내외 유수 아트페어에 참여했다. 안견미술문화대상, 자랑스런 전북인상을 비롯, 녹조근정훈장, 대한민국문화훈장 등 문화예술계의 중요한 상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화첩기행 1-4』(문학동네, 2014), 『중국회화연구』(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등이 있다. 그의 작품은 런던 대영박물관, 토론토 로얄 온타리오 뮤지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청와대 등에 소장되어 있다. 2018년 3월, 전북 남원에 남원시립 김병종미술관이 개관되었다.

김병종은 민족적 자의식과 한국화 고유의 정신을 유지하면서도 현대적 표현으로 매체를 넘나들어 한국화의 현대화 및 세계화를 이끌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그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바보예수》(1988~), 《생명의 노래》(1989~), 《송화분분》(2016~), 《풍죽》(2017~) 연작 등이 있다. 꽃과 나무, 예수의 초상, 여행지의 풍경, 어린 시절의 기억과 바람에 날리는 송홧가루와 대나무 숲의 풍경까지 다양한 주제로, 자유롭고 역동적이며 거침없는 표현을 구사한다. 그는 평생 생명을 주제로 작업하여 ‘생명 작가’로 불리는데, 자연을 주제로 한 여러 작품들은 분출하는 생명력과 시적 아름다움을 다채롭게 보여준다. 김병종의 여러 작품을 관통하는 또 다른 특징은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두꺼운 질감의 마티에르(matière)다. 그는 한국의 닥종이에 기반한 두꺼운 화면에 다양한 안료와 석채를 칠하는 방식을 취한다. 그의 작품에는 종종 서양의 부조(relief)나 동양의 요철방식을 닮은 특유의 표현기법이 포함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그는 기존 동양화의 관습적 양식이나 중국화의 고답적 화법을 벗어나 고유한 표현을 추구한다. 전통적 미의식과 동양화론의 핵심적 의미를 체화하여 자신만의 독자적인 한국적 현대 회화를 모색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학력

  • 1992~2001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 박사
  • 1980~1982 서울대학교 동양화 석사
  • 1974~1980 서울대학교 동양화 학사

수상내역

  • 2019 자랑스러운 전북인 대상
  • 2018 허백련 미술상
  • 2018 대한민국 녹조 근정 훈장
  • 2014 대한민국 문화훈장 외
  • 2004 대한민국기독문화훈장
  • 1997 기독문화대상
  • 1995 선미술상
  • 1992 한국미술작가상
  • 1989 한국출판문학상
  • 1989 한국미술기자상
  • 1981 삼성재단저작상
  • 1981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 1979 전국대학미전 대통령상

경력사항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학장
  • 서울대학교 미술 관장
  • 서울대학교 조형연구소장
  • 서울대학교 평의원
  • 서울시립미술관 운영, 자문위원

저서

  • 《시화기행 1(파리, 고요한 황홀》. 문학동네. 2021년
  • 《나무 집 예찬(집이 그림이 되는 순간이 있다)》. 열림원. 2014년
  • 《자스민, 어디로 가니?(작은 강아지 한 마리가 가르쳐준 삶의 진실)》. 열림원. 2014년
  • 《화첩기행 1(남도 산천에 울려 퍼지는 예의 노래)》. 문학동네. 2014년
  • 《화첩기행 2(예인의 혼을 찾아 옛 거리를 거닐다)》. 문학동네. 2014년
  • 《화첩기행 3(타향의 예술가들에게 보내는 편지)》. 문학동네. 2014년
  • 《화첩기행 4(황홀과 색채의 덩어리, 라틴아메리카)》. 문학동네. 2014년
  • 《화첩기행 5(북아프리카 사막위로 쏟아지는 찬란한 별빛)》. 문학동네. 2014년
  • 《오늘 밤, 나는 당신 안에 머물다(그리며 사랑하며, 김병종의 그림묵상)》. 문학동네. 2009년
  • 《여행 - ON THE ROAD 전3권》. 열화당. 2008년
  • 《김병종의 라틴화첩기행》. 랜덤하우스코리아. 2008년
  • 《김병종의 모노레터(화첩기행 네 번째》. 효형출판. 2006년
  • 《묵상 바보 예수》. 솔과학. 2005년
  • 《김병종의 화첩기행 1》. 효형출판. 2005년
  • 《김병종의 화첩기행 2(달이 뜬다 북을 울려라》. 효형출판. 2005년
  • 《화첩기행 3/완결》. 효형출판. 2005년
  • 《바보 예수(김병종 화집 1》. 효형출판. 2005년
  • 《생명의 노래(김병종 화집2)》. 효형출판. 2005년
  • 《나의 생명이야기》. 효형출판. 2004년
  • 《나의 생명 이야기》. 효형출판 그림. 2004년
  • 《나를 매혹시킨 한 편의 시 7(시는 모든 예술의 고향)》. 문학사상사. 2003년
  • 《화첩기행 2(달이 뜬다 북을 울려라)》. 효형출판. 2000년
  • 《화첩기행 1(예의 길을 가다》. 효형출판. 1999년
  • 《미술강의》. 통나무. 1998
  • 《중국회화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년
  • 《화혼을 사르며》.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년
  • 《김병종(아르비방 13)》. 시공사. 1995년
  • 《먹으로 그린 새가 하늘로 가네》. 비룡소. 1994년
  • 《중국회화의 조형의식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9년

전시이력

개인전

  • 2020 화이트원 미술상 수상 기념전, 김병종, 갤러리화이트원
  • 2019 김병종:송화분분, 가나아트센터
  • 2005 김병종전, 김재선갤러리
  • 2004 생명의 노래, 가나아트센터
  • 2003 개인전, 가나아트센터
  • 1999 개인전, 가나아트센터
  • 1999 김병종의 화첩기행전, 조선일보미술관
  • 1999 개인전-김병종. 생명의 노래, 가나아트센터
  • 1997 개인전, 파리 몽뜨니갤러리
  • 1996 개인전, 가나보부르갤러리, 파리
  • 1994 개인전, 가나화랑
  • 1993 개인전, 베를린 구아르니드미술관
  • 1992 개인전, 조선일보미술관
  • 1992 개인전, 예화랑
  • 1990 개인전, 동산방
  • 1990 개인전, 폴란드 베즈티루르
  • 1990 개인전, 기욜시립미술관
  • 1989 개인전, 베를린 Roho갤러리
  • 1989 개인전, 동덕미술관

외부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