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불교}}
'''귀의'''(歸依)는 [[불보부처|불]](佛, Buddha){{.cw}}[[법보법 (불교)|법]](法, Dharma){{.cw}}[[승보승가|승]](僧, Saṃgha)의 [[삼보 (불교)|3보]](三寶)에 귀투(歸投)하여 [[믿음]]에 몸을 맡기고 [[믿음|신앙]]함을 말한다.<ref name="글로벌-귀의">[[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사상/사 상 용 어/동양사상 관계/불교 관계#귀의|세계사상 > 사 상 용 어 > 동양사상 관계 > 불교 관계 > 귀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이를 '''삼귀의'''(三歸依)라고 하며, 불교신앙의 전부를 나타낸다.<ref name="글로벌-귀의"/> 그리고 '''귀명'''(歸命)은 범어 '''나마스'''의 역어로, 그 음을 따서 '''나무'''(南無)라 하는데, 이는 귀의한 마음을 말로 나타낸 것이다.<ref name="글로벌-귀의"/>
 
[[삼보 (불교)|3보]](三寶)에 대해서 귀의하는 맹서의 말은 일반적으로 '''삼귀의문'''(三歸依文)이라고 불리는데, "나무귀의불(南無歸依佛), 나무귀의법(南無歸依法), 나무귀의승(南無歸依僧)"이라는 문구이다.<ref name="글로벌-삼귀의">[[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세계의 종교/불 교/불교의 의례와 수행·교단조직#삼귀의|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의례와 수행·교단조직 > 의례와 수행 > 삼귀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칠부중|불교도]]로서의 [[수계 (불교)|계(戒)를 받을 때]]에 맹세의 말로 세 번 되풀이해서 왼다.<ref name="글로벌-삼귀의"/> 즉 이 맹세로 [[칠부중|불교도]]가 되는 일이 결정된다.<ref name="글로벌-삼귀의"/>
 
무엇 때문에 [[3보]]에 귀의하는가 하는 이유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 있다:<ref name="글로벌-삼귀의"/>
* 귀의불무상존(歸依佛無上尊): [[부처]]는 최상무상(最上無上)의 인격 완성자이기 때문에 귀의한다.
* 귀의법이욕존(歸依法離欲尊): [[법 (불교)|불법]]은 [[탐|탐욕]]을 떠나게 하는 존귀한 가르침이기 때문에 귀의한다.
* 귀의승화합존(歸依僧和合尊): [[승가|불교 교단]]은 평등화합의 이상사회이기 때문에 귀의한다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