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아비달마집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불교}} 용어
| fontsize=100%
| title=Mahāyānābhidharma-samuccaya
| sa= Mahāyānābhidharma-samuccaya
| en= Compendium of Abhidharma
| bo= མངོན་པ་ཀུན་བཏུས་
| bo-Latn=[[Wylie transliteration|Wylie]]: mngon pa kun btus; <br />[[THL_Simplified_Phonetic_Transcription|THL]]: ngönpa küntü
| ko = 대승아비달마집론, 집론
| ko-Latn = Daeseung-abidalma-jiblon
| zh=大乘阿毘達磨集論(T)<br/>大乘阿毗达磨集论(S)
}}
<!--{{불교}}-->
 
《'''대승아비달마집론'''(大乘阿毗達磨雜集論)》({{llang|sa|[[:en:Mahāyānābhidharma-samuccaya|<span style="color: black">Mahāyānābhidharma-samuccaya</span>]]}}, {{lang|sa|[[:en:Abhidharma-samuccaya|<span style="color: black">Abhidharma-samuccaya</span>]]}}, {{lang|en|[[:en:Compendium of Abhidharma|<span style="color: black">Compendium of Abhidharma</span>]]}})는 [[미륵보살]]과 함께 [[인도불교]]의 [[유식학]](唯識學) 총 3기 중 제1기의 논사인 [[무착]](無着: 300?~390?)이 지은 논서로, [[당나라|당]](唐)의 [[현장]](玄奘: 602~664)의 [[한역본]]이 있다.{{sfn|황욱|1999|pp=16-17|quote=<br>"유식학에서는 그 학설의 내용에 따라 인도의 유식학을 3기로 나누어 설명하기도 한다. 제1기는 미륵과 무착의 유식학을 말하고, 제2기는 세친의 유식학을 말하며, 제3기는 護法[Dharmapāla]과 安慧[Sthitamati] 등 十大論師들의 유식학을 의미한다. 한편 제1기와 제2기를 합쳐서 初期唯識學이라고도 부른다.<sup style="color: blue">45)</sup>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처음으로 유식학의 이론적 체계를 세운 무착이 유식학에 끼친 공헌은 실로 대단한 것이다. 그것은 미륵이 실존인물인지 아니면 무착 자신인가에 대한 논란과는 별개로 그가 유식학의 주창자로 자리매김 되어도 조금도 부족함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식사상은 신앙적인 면에서 볼 때에는 미륵이 始祖이지만, 실제적이고 역사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무착이 시조라 해도 틀림이 없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