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우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홍우원'''(洪宇遠, [[1605년]] [[7월 29일]] ∼ [[1687년]] [[7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이며 [[남인]] 중진이었다. [[소현세자]]의 비 [[민회빈 강씨]]의 사면 복권을 주장했고, 제1차 예송 논쟁과 제2차 예송 논쟁 당시 [[윤선도]], [[허목]], [[윤휴]]의 참최복과 기년복 설 주장에 동조하였다.
 
[[남인]] 중진으로 당색을 초월하여 [[서인]] [[김육]]의 [[대동법]]에 적극 지지를 보냈으며, [[소현세자]]의 아들 석철의 석방을 탄원하였고, [[민회빈 강씨]]의 억울함을 상소하다 장살당한 [[김홍욱]]의 사면, 복권 여론을 주도하다가 파면당하기도 했다. 이후 당색을 넘어 [[송시열]] 등의 [[소현세자]] 일가 복권 운동에 동참하였다. [[1660년]] [[제1차 예송 논쟁]] 때에는 [[송시열]], [[송준길]]의 기년복에 반대하였으며, [[1663년]] [[윤선도]]가 상소를 올렸다가 유배되자, 여러 번 [[윤선도]]를 옹호하다가 파직, 금고당하기도 했다.
 
[[1669년]] [[강원도]] 고성군수로 나가 치적을 쌓았고 [[1672년]] 그가 사직하자 강원도관찰사 안진이 다시 상소를 올려 특별히 고성군수에 재임명되었다. 이후 제2차 예송으로 남인이 집권하자 승지, 부제학, 이조참의, 대사헌, 공조참판 등을 거쳐 이조판서가 되었다. [[1676년]](숙종 2) 대사성, 예조판서, 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했다. [[허견의 옥사]]에 같은 [[남인]] 당원이라는 이유로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유배지에서 병을 얻어 죽었다. 1689년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신원(伸寃)되고 [[1690년]]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되었다.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자는 군징(君徵), 호는 남파(南坡)이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 생애 ==
9번째 줄:
남파 홍우원은 [[1605년]] [[7월 29일]] [[안성군]] 대덕면 소현리(蘇峴里)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형조]][[판서]]를 지낸 [[홍가신]](洪可臣)이며, 아버지는 [[한성부]] [[서윤]]을 지내고 사후 [[증직|증]]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된 [[홍영]](洪榮)이고, 어머니는 양천허씨로 [[허성]](許筬)의 딸이며 [[허엽]]의 손녀이다. [[홍길동전]]의 저자 교산 [[허균]]은 어머니 양천허씨의 배다른 삼촌이 된다.
 
당색으로는 [[남인]]이었다. 소년 시절 [[광해군]]의 [[인목대비]] 폐모론과 [[임해군]], [[영창대군]] 처형을 패륜, 부도덕으로 규정하여 관직에 나가지 않았고, [[허목]], [[윤선도]], [[송시열]] 등과 두루 교류하며 학문을 연마하였다.
 
그 뒤 [[1623년]] [[인조 반정]]이 벌어졌으나 그는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그러나 과거에 응시하라는 가족들과 친지들의 권고로 [[1645년]](인조 23) 왕세자의 세자책봉을 축하하는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응시하여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후 권지를 거쳐 [[시강원]] 설서(侍講院說書)가 되었다. 1645년 [[강빈 옥사]]에 연루, 체포되어 삭직 당하였으나 곧 복관되었다.
 
=== 강빈 복권 여론 ===
[[1646년]] 강빈(姜嬪, 소현세자빈)의 옥사(獄事)를 동정한 그는 [[강빈 옥사]] 때 유배된 소현세자의 세 아들을 풀어 주고 강빈의 옥사도 날조된 것이니 이를 신원(伸寃)해야 된다고 주장했다가 인조의 진노를 사서 외직으로 좌천당했다. [[1647년]] 예문관검열이 되고, 주서(注書)·정자(正字)를 지내고, 검열, 예문관대교, 성균관 전적 등을 역임했다. [[1648년]] [[예문관]] 봉교가 되었다. 그해 봉교로 [[태백산 사고]]와 [[오대산 사고]]를 살피고 돌아왔다. 1649년(인조 27) 병조 정랑이 되었으며 이후 사간원정언을 거쳐 [[1651년]](효종 2) 예안현감이[[예안]][[현감]]이 되어 시폐(時弊)를 논하는 장문의 소를 올렸다.
 
[[1654년]](효종 5년) [[홍문관]][[부수찬]](副修撰)이 되었다. [[1654년]] [[6월 17일]] 부수찬으로 재직 중 그는 [[소현세자]]의 석철의 석방을 주장하는 상소를 올렸다. 이어 [[강빈 옥사]]도 날조된 것이니 이를 신원, 복권시켜 주어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조야의 여론이 강빈의 신원을 찬동하게 되었다. 효종은 이를 받아들이지는 않았으나 "사람들이 말하기 어려워하는 말을 그대가 능히 말하니 진실로 가상하다. 유념하도록 하겠다."라고 하여 그 상소를 문제삼는 의견을 물리치고 특별하게 해를 입히지 않았다.
 
그러나 그해 [[7월]] [[서인]]인 [[황해도]] [[관찰사]] [[김홍욱]](金弘郁)이 [[소현세자]]빈 강씨의 옥사가 허위이며 복권을 주청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장살(杖殺)당했다. [[1654년]]말 홍우원은 [[홍문관]]수찬이 되었는데, 이때 그는 당색을 초월하여 [[김홍욱]]의 사면, 복권 여론을 주도한다. [[소현세자]]의 빈 강빈(姜嬪) 옥사는 허위임을 다시 직언하다 장살당한 [[김홍욱]]의 신원(伸寃)과 복권을 상소했다가 파직당하였다.
24번째 줄:
{{참고|예송}}
[[1659년]](현종 즉위) [[홍문관]]부수찬에 복직되고, 수찬이 되었다. [[1660년]](현종 1) 효종 사후 상복을 놓고 효종을 차남으로 간주하고 [[기년설]](朞年說, 1년복)을 주장한 [[송시열]], [[송준길]]의 설을 잘못이라고 비판했다. 바로 사수찬겸부소회소(辭修撰兼附所懷疏)를 올려 [[송시열]], [[송준길]]의 예론(禮論)을 논박했다가 파직, 곧 복직되어 [[공주]] [[목사]](公州牧使)로 나갔다가 다시 [[의정부]][[사인]](舍人)에 제수되었지만 사직하였다. 그해 [[윤선도]](尹善道)가 [[송시열]]의 예론을 비판하는 상소를 계속 올렸다. 그 중 [[송시열]]이 [[효종]]의 정통성을 부정한다는 상소를 올려 파란을 불러왔다. [[윤선도]]가 [[송시열]]을 비판한 근거로는 [[송시열]]의 체이부정 주장과 [[서인]]이 당론으로 [[소현세자]]와 [[민회빈 강씨]], [[김홍욱]] 복권운동을 벌이는 점을 근거로 송시열이 효종의 정통성을 부정한다는 근거로 삼았다. 홍우원은 [[윤선도]]에게 [[김홍욱]]을 변호하며 의리를 지키다가 순절한 선비를 엮지 말라고 지적하였다.
 
그 뒤 공주목사·[[의정부]]사인·, [[사헌부]]장령을 거쳐, 1663년 다시 수찬이 되어 자의왕후(慈懿王后) 조씨(趙氏)의 복상문제로 [[윤선도]]가 유배되자 그의 석방을 주장하였으나 거절당했다. 그 뒤 탄옹 [[권시]]가 [[윤선도]]의 석방을 요청했다가 심한 탄핵을 받고 파직되자, 홍우원은 소를 올려 [[권시]]에게는 잘못이 없으며, [[권시]]의 복권과 [[윤선도]]의 석방을 적극 주장하다 파직당하였다.
 
==== 1차 예송 이후 ====
38번째 줄:
 
=== 생애 후반 ===
==== 정치개혁 활동정책 ====
[[1676년]](숙종 2) [[성균관]][[대사성]]이 되었다가 그해 다시 [[예조판서]]·지중추부사 등을 지냈다. 이듬해 우참찬이[[우참찬]]이 되어 흉년임을 들어 [[대동미]](大同米) 조세를 감량할 것, 납물교생(納物校生)의 면역(免役)을 중지할 것, 납속자(納粟子)에 대한 불신을 없앨 것 등을 진언하여 성사시켰다. 이어서 강화유수·이조판서를 역임하고 [[1677년]](숙종 3) [[이조판서]]를 거쳐 [[좌참찬]](左參贊)이 되었다.되고, 1678년 공조판서가 되어되었다.

공조판서로 재직 중 [[윤휴]] 등과 함께 백골징포와 황구첨정의 부당함을 간하여 군포 납부의 폐단을 시정하였고, 이어 각 아문(衙門)의 둔전을 혁파하고 훈련도감·총융청·수어청·어영청 등 4군영문의 재정은 은포(銀布)로 징수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는 [[허목]], [[윤휴]](尹鑴), 권대운(權大運), [[이원정]], 이봉징, [[이서우]] 등과 함께 [[남인]] 강경파인 청남(淸南)을 형성하여 서인과 철저한 대립관계에 있었고, 허적(許積)·민희(閔熙) 등 [[남인]]내 온건파인 탁남(濁南)과도 대립했다. 그는 [[남인]]임에도 [[허적]], [[허목]] 등과 [[서인]] [[김육]]의 [[대동법]]의 취지를 이해하여 당색으로 초월하여 적극적인 지지를 보냈다. 또한 [[서인 (정치)|서인]] [[김홍욱]], [[송시열]] 등이 주도한 [[소현세자]]빈 [[민회빈 강씨]]의 복권 여론에도 당색을 초월하여 지지를 보내기도 했다.<ref>소현세자빈의 복권을 놓고 [[남인]] 내에서는 [[송시열]] 등이 [[효종]]의 종통을 부정하는 것이라는 악의적인 주장을 하기도 했다.</ref>
 
==== 유배와 최후 ====
줄 60 ⟶ 62:
* 《남파문집》 13권
* 백흑난
* 목근침설(수필)
 
=== 작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