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면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Meulsari (토론 | 기여)
명칭변환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22번째 줄:
|작성일자=2003-04-01
|확인일자=2008-05-05
}}</ref>)은 [[일제 강점기]]부터 대중음악 작곡가로 활동한 [[북조선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음악인이다. '''이운정'''(李雲亭)이라는 예명도 사용했다.
 
== 생애 ==
45번째 줄:
}}</ref>해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선정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음악 부문에 포함되었다. [[1937년]] 열린 '황국위문조성 조선문예회 신작발표애국다교대회’에 시국 가요 네 편을 출품한 기록이 있으며, 이후 〈종군간호부의 노래〉, 〈정의의 사여〉, 〈총후의남(銃後義男)〉등 군국 가요를 잇따라 발표했다.
 
[[태평양 전쟁]] 종전 후 고향인 함흥에서 활동하면서 자연스럽게 월북 예술인이 되었다. 북조선에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함남 음악건설동맹 위원장에 오른 것을 시작으로 [[북조선음악건설동맹]] 위원장을 지내 북조선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대표하는 음악인으로 활동했다. [[1948년]] [[최고인민회의]] 초대 대의원에도 뽑혔다.
 
이면상은 [[김순남 (작곡가)|김순남]] 등 몰락한 것으로 알려진 [[남로당]] 계열의 월북 음악인들과는 달리 정치적으로도 크게 성공했다. [[평양음악대학]] 총장을 역임하고 [[1971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의 위원을 맡았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민예술가]] 칭호를 받았다. 묘지는 [[애국렬사릉]]에 마련되어 있다.<ref>{{뉴스 인용
56번째 줄:
}}</ref>
 
일제 강점기에 작곡한 신민요 음악으로는 [[김상희 (가수)|김상희]]가 다시 불러 널리 알려진 〈울산 큰애기〉가 유명하다. 북조선에서는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빛나는 조국〉, 〈김일성 대원수님 만세〉, 〈눈이 내린다〉, 〈영광의 땅 보천보〉를 비롯하여 정치적인 내용을 담은 노래를 다수 창작했다. [[혁명가극]]의 대표격인 《[[피바다]]》(1971) 창작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가극혁명을 주도하기도 했다.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