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술소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Jlptrbs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Chobot (토론 | 기여)
잔글 r2.7.3) (로봇: it:Consonante bilabiale 추가, ar:حرف شفوي 바꿈; 예쁘게 바꿈
9번째 줄:
== 훈민정음 초성 체계 ==
 
[[훈민정음]] [[초성]] 체계에서는 'ㅂ', 'ㅍ', 'ㅃ', 'ㅁ'의 4 자모가 설음에 분류된다. [[오음]]의 하나. 현대 [[음성학]]에서는 [[양순음|양순]] [[파열음]], [[비음]]에 해당된다. 순음에는 훈만정음 초성 체계에는 없지만 [[순경음]]이 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19번째 줄:
! 불청불탁
|-
! 순음<br />(입시울쏘리)
| [[ㅂ]] 彆<br />{{IPA|/p/}}
| [[ㅍ]] 漂<br />{{IPA|/pʰ/}}
| [[ㅃ]] 步<br />{{IPA|/p'/}}
| [[ㅁ]] 彌<br />{{IPA|/m/}}
|}
* <small>현대 [[음성학]]에서 전청(全淸)은 [[무기음|무기]] [[무성음]], 차청(次淸)은 [[유기음|유기]] [[무성음]], 전탁(全濁)은 [[경음]], 불청불탁(不淸不濁)은 [[유성음]] 가운데 [[비음]], [[유음]], [[마찰음]], 두자음 없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것을 나타낸다.</small>
 
== 중국 음운학 ==
32번째 줄:
현대 [[음성학]]에 있어서 중순음은 [[양순음|양순]] [[파열음]], [[비음]]에 해당되고 경순음은 [[순치음|순치]] [[마찰음]], [[비음]]에 해당된다.
 
[[중국어]] 중고음(中古音, [[수나라]], [[당나라]]의 발음)의 성모(두자음)을 표기하는 [[삼십육자모]](三十六字母)에서 다음과 같이 분류되어 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44번째 줄:
! rowspan=2 | [[순음]](脣音)
! 중순음(重脣音)
| 幫<br />{{IPA|/p/}}
| 滂<br />{{IPA|/pʰ/}}
| 竝<br />{{IPA|/b/}}
| 明<br />{{IPA|/m/}}
|-
! 경순음(輕脣音)
| 非<br />{{IPA|/f/}}
| 敷<br />{{IPA|/fʰ/}}
| 奉<br />{{IPA|/v/}}
| 微<br />{{IPA|/ɱ/}}
|}
* <small>현대 음성학에서 전청(全淸)은 [[무기음|무기]] [[무성음]], 차청(次淸)은 [[유기음|유기]] [[무성음]], 전탁(全濁)은 [[유성음]] 가운데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차탁(次濁)은 [[유성음]] 가운데 [[비음]], [[유음]], [[반모음]], 영성모(零聲母, 음절이 두자음 없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것)을 나타낸다.</small>
 
[[분류:닿소리]]
61번째 줄:
[[분류:음운학]]
 
[[ar:حرف شفوي]]
[[bn:ওষ্ঠ্য ব্যঞ্জনধ্বনি]]
[[br:Kensonenn gweuz]]
73번째 줄:
[[id:Konsonan bibir]]
[[is:Varahljóð]]
[[it:Consonante bilabiale]]
[[jv:Konsonan bibir]]
[[lv:Labiāls līdzskan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