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9번째 줄:
<br>1. 세다 2. 셈하다, 계산하다(計算--) 3. 헤아리다 4. 꾀하다 5. 수학 6. 산수 7. 셈"</ref> '헤아린다'라는 뜻의 한자어 '''계'''(計)는 전통적인 용어인 '''계탁'''(計度) 또는 '''계탁분별'''(計度分別)의 줄임말이다. [[계탁분별]]을 줄여서 그냥 '''분별'''(分別)이라고도 한다. 계{{.cw}}계탁{{.cw}}계탁분별{{.cw}}분별을 순한글로는 일반적으로 '''헤아림'''이라고 한다.
 
계{{.cw}}계탁{{.cw}}계탁분별{{.cw}}분별{{.cw}}헤아림은 특히 [[제6의식]]의 작용을 말하는 것으로, 사물에 대해 생각[量]하고 사유(思惟: 특히 심사숙고)하고 구별[分別]하고 [[추론]]하고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이하 '계{{sfn|곽철환|2003|loc="[http://terms.cw}}계탁{{naver.cw}}com/entry.nhn?cid=2886&docId=896979&categoryId=2886 계탁분별{{(計度分別)]".cw}}분별{{.cw}}헤아림'을 가리키는2013년 낱말로서3월 '2일에 확인|quote=<br>"계탁분별'을 사용한다.(計度分別):
삼분별(三分別)의 하나. 대상을 구별하여 사유하고 판단함."}} (이하 '계{{.cw}}계탁{{.cw}}계탁분별{{.cw}}분별{{.cw}}헤아림'을 가리키는 낱말로서 '계탁분별'을 사용한다.)
 
《[[아비달마구사론]]》 제2권에 따르면 [[계탁분별]]의 [[본질적 성질]] 즉 [[본질 (불교)|본질]]은 [[제6의식]]과 [[상응]]하는 '''산혜'''(散慧) 즉 '''산란된 지혜'''이다. 그리고 산란된 [[지혜 (불교)|지혜]][慧]는 [[정 (마음작용)|선정]][定]에 의해 나타나는 '바른 지혜'가 아닌 다른 형태의 [[지혜 (불교)|지혜]]를 말한다. 즉 [[무루혜]]가 아닌 [[유루]]의 [[지혜 (불교)|지혜]]인 [[문혜]]{{.cw}}[[사혜]]{{.cw}}[[수혜]]의 [[3혜]] 또는 여기에 [[생득혜]]를 더한 [[4혜]]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