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2번째 줄:
↔ 오팔무집(五八無執). 유식종에서는 8식 중 경계에 대하여 허망 분별을 일으켜 아(我)다, 법(法)이다라고 집착하는 능변계(能遍計)의 뜻이 있는 것은 제6식과 제7식뿐이라고 하는 말. 제7식은 제8식의 견분(見分)을 반연하여 아집(我執)을 일으키고, 제6식은 온갖 법경(法境)에 대하여 아집ㆍ법집을 일으킴. 그러나 전5식과 제8식은 아집ㆍ법집이 없고 능변계하는 뜻도 없다 함. 이는 호법(護法)의 학설."}}
 
한편,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 따르면, [[제7말나식]]도 [[계탁]]을 하지만, 두루 즉 항상 [[계탁]]하지는 않는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9%81%8D%E8%A8%88&rowno=1 能遍計(능변계)]". 2013년 3월 2일에 확인}} 대신, [[제7말나식]]은 [[아뢰야식]]의 [[견분]](見分)을 자신의 [[실아]]라고 여기는 [[근본 무명]]을 비롯한 [[4번뇌]]를 항상 일으킨다.
 
변계(遍計)라는 낱말이 사용된 불교 용어로는,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cw}}[[변계소기색]](遍計所起色){{.cw}}[[능변계]](能遍計){{.cw}}[[소변계]](所遍計)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