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칸 드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EmausBot (토론 | 기여)
잔글 r2.7.2+) (로봇: es:Sueño estadounidense에서 es:Sueño americano(으)로 바꿈
Chobot (토론 | 기여)
잔글 봇:인터위키 링크 36 개가 위키데이터Q214100 항목으로 옮겨짐. 이동 완료.; 예쁘게 바꿈
3번째 줄:
아메리칸 드림은 단결된 미국을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호평을 받아온 동시에 거기에 버금가는 높은 기대치 때문에 비난을 받아왔다. 역사적으로 하류층에 미국시민들이 아메리칸 드림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조금 더 평등해지거나, 영향력이 커진 사례는 찾아볼 없다. 그런 반면 미국의 부의 구조는 항상 상류계층에 사람들로 하여금 이익을 챙기도록 했다.<ref>Fisher, Sarah Young; Shelly, Susan: ''[http://books.google.com/books?id=kbyp-7nrOMMC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Personal Finance in Your 20s & 30s]'', Penguin Group, 2009, pg. 264</ref>
 
== 개요 ==
19세기 초부터 미국은 건국자들의 철학, 도덕적 사상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나라가 자유를 상징한다고 여겨왔고 또한 그렇게 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 이런 사상은 신대륙이 얼마만큼 자연적으로 풍요하고 여유로운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미국에 역사 속에서 아메리칸 드림이란 의미는 많이 변화되어 왔다. 처음에는 신대륙에 대한 신비감으로 땅 소유 가능성과 미국인에 무한 발전을 의미했지만 지금은 단지 성공하기 위해 상류 측의 미국 문화와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미국에서의 성공은 가족에 부나 정치적 관계 보다는 개인의 재능이나 열정으로 가능하다고 여겨져 왔다. 아메리칸 드림에서의 꿈은 아이들이 미국에 교육을 받고 자라고 그 결과 계급, 사회적 지휘, 종교, 그러고 종족에 대한 제한을 받지 않는 성공에 기회를 가지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Tommi Uschanov 이라는 연구원에 의하면 아메리칸 드림은 사실상 미국사회 보다 우월한 영국사회를 의미한다고 했다. 그 이유는 통계적으로 하류계층에서 태어난 영국인들이 신분 상승 할 수 있는 기회는 미국에서보다 영국이 더 높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ref>Book: "Mikä Vasemmistoa Vaivaa?", Author: osman kamara</ref>
 
== 기원 ==
역사가이자 저자인 제임스 트러슬로우 애덤스는 아메리칸 드림이란 문구를 그가 1931에 출간한 《미국의 서사시》라는 책에서 언급했었다.
 
17번째 줄:
{{인용문2|미국인의 꿈에 현혹돼 지난 몇 세기 동안 미국을 찾은 여러 국가의 많은 사람들에게 꿈은 단지 자원에 풍족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었다. 그들은 통제된 삶을 살았던 오래된 문명과는 달리 국경이라는 것에 통제받지 않고 모든 사람에게 이익이 되기보단 특정한 계층에게만 이익이 가도록 하는 사회 체제에도 억압받지 않은 그러한 삶을 의미하는 것이었다.<ref>Library of Congress. American Memory. [http://memory.loc.gov/learn/lessons/97/dream/thedream.html "What is the American Dream?".] Accessed August 21, 2008.</ref>}}
 
== 20세기 와 21세기 이후 ==
최근 몇 년 사이에, 국가 이상으로 아메리칸 드림의 개념은 각종 조직에 의해 공부되었다. 결론적으로 미국이 가장 부유했던 [[1990년]]과 [[2000년]] 사이에 많은 사람들은 아메리칸 드림에 대한 신뢰를 잃어버렸다.<ref name=vanityfair>''Vanity Fair'', April 2009. [http://www.vanityfair.com/culture/features/2009/04/american-dream200904 ''Rethinking the American Dream'']. Retrieved on June 20, 2009.</ref>
 
== 문화적 배경 ==
 
몇몇에 저자들은 아메리칸 드림에 대한 개념을 비평하기 위해 책을 출간하기도 했다. 저자 존 스타인벡은 《생쥐와 인간》이라는 책을 썼고, 저자 신클레어 루이스는 그의 책 《배빗》에서 20세기의 억압적이고, 이기적인 사회를 비판하였으며, 저자 F. 소코트 피츠제랄드 또한 《[[위대한 개츠비]]》 라는 책 속에서 아메리칸 드림에 관한 이기적, 매춘, 주류밀매, 간동, 출세를 위한 노력 등 어두운 면모를 주제로 다뤘다. 또한 저자 헌터 S. 톰슨의 책, 《라스베가스의 공포와 혐오》 속에서 아메리칸 드림의 기반을 잡기위해 1970년도 초 [[리처드 닉슨]]의 냉소적인 정치제도, 폭력, 탐욕, 무지, 부도덕한 애국심, 개인소외, 풍토병 같은 악조건과 싸워야했던 당시 미국 사회를 잘 묘사했다.
 
[[아서 밀러]]의 책 《세일즈맨의 죽음》 또한 아메리칸 드림에 대한 비평 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주인공인 세일즈맨은 아메리칸 드림에 대한 희망을 쫓아가다 파멸하게 되는데, 이 주인공의 삶은 월스트리트의 붕괴로 인해 자신의 가족이 운영하던 기업이 파산하게 된 저자의 아픈 기억을 반영하는 것이다. 아메리칸 드림에 대한 연구는 영화에서도 계속됐다. 그중 1969년도에 개봉한 영화 《이지 라이더》에서 배우들은 진정한 미국을 찾기 위해 긴 여행을 한다. 미국 코미디언 조지 칼린은 “미국인의 꿈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그것을 믿기 위해선 수면상태여야 하기 때문이다,” 라고 농담을 했다. 캐스팅 크라운즈은 그들의 첫 앨범에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곡을 수록했다. 이 곡의 내용은 물질적인 부와, 힘을 추구하는 삶이 초래할 수 있는 부정적인 결과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워치맨》이라는 책 속에서의 아메리칸 드림은 이렇게 묘사되었다.
34번째 줄:
 
[[분류:미국의 문화]]
 
[[ar:الحلم الأمريكي]]
[[az:Amerikan xəyalı]]
[[bg:Американската мечта]]
[[ca:Somni americà]]
[[ckb:خەونی ئەمەریکی]]
[[cs:Americký sen]]
[[da:Den amerikanske drøm]]
[[de:American Dream]]
[[el:Αμερικανικό Όνειρο]]
[[en:American Dream]]
[[eo:Usona revo]]
[[es:Sueño americano]]
[[eu:Amerikar ametsa]]
[[fa:رؤیای آمریکایی]]
[[fi:Amerikkalainen unelma]]
[[fr:Rêve américain]]
[[he:החלום האמריקאי]]
[[hu:Az amerikai álom]]
[[it:Sogno americano]]
[[ja:アメリカン・ドリーム]]
[[ka:ამერიკული ოცნება]]
[[lt:Amerikietiška svajonė]]
[[nl:American Dream]]
[[no:Den amerikanske drømmen]]
[[pl:American dream]]
[[pt:Sonho Americano]]
[[ru:Американская мечта]]
[[simple:American Dream]]
[[sv:Amerikanska drömmen]]
[[ta:அமெரிக்கக் கனவு]]
[[th:ความฝันอเมริกัน]]
[[tr:Amerikan Rüyası]]
[[tt:Америка хыялы]]
[[uk:Американська мрія]]
[[vi:Giấc mơ Mỹ]]
[[zh:美国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