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벨레: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EmausBot (토론 | 기여)
잔글 r2.7.3) (로봇이 바꿈: eu:Zibele
Chobot (토론 | 기여)
잔글 봇:인터위키 링크 40 개가 위키데이터Q188236 항목으로 옮겨짐. 이동 완료.; 예쁘게 바꿈
2번째 줄:
'''키벨레'''({{llang|en|Cybele}}, {{llang|el|Κυβέλη}})는 [[아나톨리아]] 반도의 [[프리기아]] 왕국에서 숭배된 [[대지모]]신이다. 차후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에도 전파되었다. 간혹 '''시벨레'''라고도 적지만 틀린 표기이다.<ref>[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8994400 표준대국어사전]</ref>
 
== 이름 ==
자주 "머리카락이 있는 여성"의 어원으로 여겨지지만, 그것은 본래의 [[프리기아어]]가 아닌 [[그리스어]]의 경우이다. [[그리스 신화]]에 받아들여지기 전의 프리기아에서의 통칭은 '''쿠바바'''(kubaba)이며, 옛 아나톨리아 반도에서 사용된 [[루비아어]]에서 기원했다라는 것을 통설로 여기고 있다. [[로마 신화]]로는 '''마그나 마테르'''(Magna Mater)에 대응한다. 또한 [[반음양]]의 성질을 가지고 있었을 때는 '''아그디스티스'''(Agdistis)라고 부르기도 했다.<ref>[[스트라본|strabo]], xii. p. 567; comp. x. p. 469</ref>
 
== 개요 ==
아나톨리아의 [[신석기 시대]]로부터 숭배되고 있던 대지모신의 계보를 잇고 있다. [[가이아]]나 [[크레타 섬]]의 여신 [[레아 (신화)|레아]]와 같이, 키벨레는 비옥한 대지나 자연 그리고 동물([[사자]]나 [[벌 (곤충)|벌]])을 체현한다. '''백수의 여왕'''({{llang|el|Ποτνια θερων}})이라는 칭호는 크레타 섬의 레아와도 관련해, 이 여신이 [[구석기 시대]]에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를 가진 것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그녀는 죽음과 재생의 신이다. 키벨레의 아들이자 애인이기도 한 [[아티스]]는 키벨레의 시기로 인해 정신질환에 걸려 거세하고 자살하지만, 키벨레가 그를 [[전나무]]로 재생시켰는데 이것은 부활의 상징으로서 로마에서 숭배되었다.
 
키벨레는 [[소아시아]]의 [[이다 산 (터키)|이다 산]]([[:en:Mount Ida (Turkey)]])에서 태어났다고 여겨지며, 로마에서 그녀를 "이다 신들의 대모"(Magna Mater deorum Idaea)라고 부르는 것은 여기서 비롯되었다.
 
== 숭배 ==
키벨레의 열광적인 신봉자들은 의식에 의해 스스로를 거세한 남성들이다. 그들은 여성의 의상을 입어 사회적으로 여성으로 간주되었다. 동시대의 주석가인 [[칼리마코스]]는 그들을 갈라이(gallai, 그리스어 복수형)라고 불렀지만, 고대 그리스나 로마의 다른 주석가들은 갈로스(gallos, 그리스어 단수형)나 갈리(galli, 라틴어 복수형)로 불렀다. 본래의 여성 사제들은 사람들을 난교 의식에 이끌었다. 여신의 신봉자들은 프리기아어로 [[코류반테스]]라고 불렸으며 밤새 계속되는 북의 난타와 검과 방패를 쳐 울리는 야성적인 음악, 춤과 큰 소리로 외치는 노래 등으로 여신에 대한 숭배를 나타냈다.
 
== 숭배의 역사 ==
프리기아의 [[펫시누스]]([[:en:Pessinus]])에서는 키벨레의 원형으로서 [[아그디스티스]]([[:en:Agdistis]]) 여신의 신앙이 존재했다. 기원전 203년 펫시누스의 대모를 구현한 숭배물(신상은 아님)이 로마에 옮겨졌다.
 
20번째 줄:
그리스에서 키벨레의 숭배는 주신 [[디오니소스]]와도 밀접하게 관련지을 수 있다. 오히려 키벨레는 디오니소스보다 먼저 입문식을 받았다고도 전래된다. 그리스 사람들은 또한 키벨레를 레아와 동일시했다.
 
=== 아나톨리아 ===
[[파일:Ankara Muzeum B19-36.jpg|thumb|150px|차탈 후유크에서 발견된 조각상([[앙카라]] 박물관)]]
아나톨리아에서의 키벨레 숭배는 [[청동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차탈 후유크]]([[:en:Çatalhöyük]])에서 발견된 조각상은 기원전 6000년 정도의 것으로 여겨진다.<ref>Eugene N. Lane, ''Cybele, Attis and related cults: essays in memory of M.J. Vermaseren'' 1996:376</ref> 그 조각상은 살집이 좋은 여신이 사자의 머리를 본 뜬 왕자에 앉아 출산하려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조각상이 발견된 신전에는 [[성벽관]]([[:en:mural crown]])이 발견되어 도시의 수호신으로서의 활약하고 있었다고 짐작된다.
31번째 줄:
프리기아에서 키벨레의 우상은 대개 건물의 현관에 새겨져 있다. 외관 그 자체가 프리기아의 고지에 있는 바위를 깍아 만들어진 비석과 관계가 있다. 벨트가 있는 긴 드레스를 입고 있으며, 원통형의 키가 큰 모자를 쓰고 전신을 베일로 가리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맹금류와 항아리를 함께 지니고 있다. 그 후, [[페이디아스]]의 제자인 [[아고라크리토스]]([[:en:Agoracritos]])는 전형적인 키벨레의 성상을 만들었다. 그것에서 키벨레는 왕좌에 앉아 있지만 기품과 함께 모성을 지니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된다. 한 손은 사자의 갈기를 쓰다듬으며 나머지 손으로는 [[탬버린]]과 같은 악기를 들고 있다.
 
=== 에게 해 ===
키벨레 숭배는 아나톨리아와 [[시리아]]의 내륙으로부터 [[크레타 섬]]을 비롯한 다른 [[에게 해]]의 섬들과 그리스까지 퍼졌다. 특히 [[아테네]]에서 유행하였다.
 
40번째 줄:
하지만 키벨레는 [[트라키아]] 북방의 가부장적인 [[스키타이인]]들에게는 환영받지 못했다. 일례로 그리스의 전역을 여행해 여러가지 지식을 얻은 스키타이인인 [[아나카르시스]]([[:en:Anacharsis]], 기원전 6세기)는 그들에게 있어 이교였던 마그나 마테르(키벨레)를 소개하기 위하여 기도하는 도중 하인에게 살해당했다.<ref>[[헤로도토스]] 《역사》 4.76-7</ref>
 
=== 로마 ===
로마에서는 기원전 203년에 마그나 마테르로서 키벨레 신앙이 공식적으로 허용되었다. 당시의 로마는 [[제2차 포에니 전쟁|제2 차 포에니 전쟁]]을 치르고 있었다. 그 전년에, 《[[신탁집]]》([[:en:Sibylline Books]])에서 펫시누스의 키벨레에 대한 예언을 찾아내었다. 신탁에선 어떠한 외적이 이탈리아에 싸움을 걸었을 때, 마그나 마테르를 로마에 부르면 적을 격퇴할 수 있다고 적혀 있었다.<ref>Boatwright et al., ''The Romans, from Village to Empire'' ISBN 978-0-19-511875-9</ref> 신탁을 받은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스키피오]]는 여신을 만나고 싶다고 하는 모든 부녀자를 동반해 [[오스티아]]([[:en:Ostia (Rome)]])의 항으로 향했다. 그리고 스키피오는 여신<ref>펫사누스의 대모를 상징하는 숭배물</ref>을 배에 싣고 되돌아와 [[파르테논 신전]]에 안치했다. 그 날은 4월 12일의 메갈레시안(Megalesian)의 축제였는데 모두가 볼 수 있었다.<ref>[[티투스]], 《로마의 역사》 29.10-11, .14 </ref>
 
로마에서는 이 여신이 프리기아에서 유래한 사실을 [[카툴루스]]에 의해 알려졌다. 그는 아티스를 테마로 한 유명한 시에서 키벨레의 신앙을 퍼트렸다. 그러나 [[성모 대성전]]이 키벨레의 신전이 있던 장소에 쌓아 올려졌을 때, 키벨레 신앙은 점차 쇠퇴했다.
 
== 영향 ==
[[파일:Plaza-de-cibeles.jpg|thumb|200px|시벨레스 광장의 키벨레 상]]
* [[마드리드]]의 [[시벨레스 광장]]([[:en:Plaza de Cibeles]])에는 키벨레의 조각상이 있다.(우측사진)
51번째 줄:
* [[애니메이션]] [[기동전사Z건담]] 및 [[기동전사건담ZZ]]에 등장하는 [[모빌 슈트]] 중에 하나인 [[큐베레이]]는 키벨레의 이름을 따 붙여졌다.
 
== 참고문헌 ==
{{Commonscat|Cybele}}
* George E. Bean, ''Aegean Turkey: An archaeological guide'' ISBN 978-0-510-03200-5, 1967
61번째 줄:
* Roller, Lynn E. ''In Search of God the Mother: the cult of Anatolian Cybele'' (U. of California Press, 1999) pp.230-231
 
== 주석 ==
{{주석|2}}
 
67번째 줄:
[[분류:삶과 죽음의 신]]
[[분류:지모신]]
 
[[ar:كوبيلي]]
[[ast:Cibeles]]
[[az:Kibela]]
[[bg:Кибела]]
[[br:Kybele]]
[[ca:Cíbele]]
[[cs:Kybelé]]
[[da:Kybele]]
[[de:Kybele- und Attiskult]]
[[el:Κυβέλη (μυθολογία)]]
[[en:Cybele]]
[[eo:Cibelo]]
[[es:Cibeles]]
[[eu:Zibele]]
[[fa:کوبله]]
[[fi:Kybele]]
[[fr:Cybèle]]
[[gl:Cibeles]]
[[hr:Kibela]]
[[ia:Cybele]]
[[id:Kibele]]
[[it:Cibele]]
[[ja:キュベレー]]
[[ka:კიბელე]]
[[kw:Mamm Veur an Dhuwow]]
[[la:Cybele]]
[[lt:Kibelė]]
[[nl:Cybele (mythologie)]]
[[no:Kybele]]
[[pl:Kybele]]
[[pt:Cibele]]
[[ro:Cybele]]
[[ru:Кибела]]
[[sh:Kibela]]
[[simple:Cibeles]]
[[sr:Кибела]]
[[sv:Kybele]]
[[tr:Kibele]]
[[uk:Кібела]]
[[zh:库柏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