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마르 (조지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시들해봇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의 도움을 받아 동음이의 처리: 다비드 - 다윗 문서로 링크 바꿈
Chobot (토론 | 기여)
잔글 봇:인터위키 링크 31 개가 위키데이터Q244007 항목으로 옮겨짐. 이동 완료.; 예쁘게 바꿈
28번째 줄:
}}
 
'''타마르'''({{llang|ka|თამარი}}, [[전자 (언어학)|번역]]: T'amar or Thamar 또는 타마라)(1160년경~1213년 1월 18일)는 [[조지아 (국가)|조지아]]의 [[바그라티오니 왕조]] 사람으로 1184년부터 1123년까지 조지아의 '''[[여왕]]'''을 지냈다. 타마르는 중세 조지아 군주국의 [[황금시대]]를 주재했다.<ref>Rapp (2003), p. 338.</ref> 그녀 자신의 권리에 의해 통치한 첫 번째 여왕으로서의 타마르의 지위는 중세 조지아의 문헌들에서 (여왕임에도) [[왕]]이라는 뜻의 ''메페''(''mep'e'')라는 칭호로 강조된다.<ref name=" Eastmond-109"/>
 
타마르는 1178년에 [[예상 후계자|황태녀]]로 책봉 되었고 그녀의 부친 [[조지아의 게오르게 3세|게오르게 3세]]와 섭정 통치를 했다. 그러나 게오르게가 죽은 후에 그녀가 통치권을 계승하고 즉위 하는데 있어서 귀족들의 반대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마르는 그러한 반대파 귀족들을 중립화 시키는데 성공했으며, [[셀주크 제국|셀주크]]와 [[비잔티움|비잔티움 제국]]의 경쟁 세력들의 몰락이 오히려 도움이 되어 활발한 외교 정책도 펼치게 되었다. 타마르는 강력한 군사 지도층에 의존하여, 그녀의 전임자들의 성공을 기반으로, [[캅카스]]를 지배하는 제국의 통합을 이룰 수 있었다. 그 제국권은 타마르가 죽은 후 20년도 채 안되어 [[몽골 제국|몽골]]의 침입으로 붕괴했다.<ref name="eastmond-94">Eastmond (1998), p. 94.</ref>
 
타마르는 두번 결혼했다. 1185년부터 1187년까지 그녀의 첫번째 남편은 [[키예프 공국|러스]]의 왕자 [[유리 보골류프스키|유리]]였는데, 그녀는 그와 이혼했으며 차후에 그의 쿠테타 시도를 진압하고 국가에서 추방했다. 1191년, 타마르가 선택한 그녀의 두번째 부군은 [[알라니아]]의 왕자 [[다비트 소슬란]]으로, 그는 그녀와의 사이에서 [[조지아의 게오르게 4세|게오르게]]와 [[조지아의 루수단|루수단]] 이 두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그들은 조지아의 왕위를 연속으로 계승한 군주들이다.<ref name="CMH-623">Toumanoff (1966), "Armenia and Georgia", p. 623.</ref><ref name="Allen-104">Allen (1932), p. 104.</ref>
37번째 줄:
 
== 유년기와 왕위 등극 ==
타마르는 [[조지아의 왕]] [[조지아의 게오르게 3세]]와 [[알라니아]] 왕의 딸인 왕비 부르두칸 사이에서 1160년경에 태어났다. 타마르에게는 [[루수단 (조지아의 게오르게 3세의 딸)|루수단]]이라는 여동생이 있었다고 하지만, 그녀의 여동생은 타마르의 통치 기간과 동시대의 모든 기록들 가운데서 딱 한번 언급됐을 뿐이다.<ref>Eastmond (1998), p. 108, fn. 49.</ref> [[타마르 (이름)|타마르]]라는 이름은 히브리어가 기원이며 [[성경]]상의 이름과 유사하고, [[연합 이스라엘 왕국|이스라엘]]의 두번째 왕인 [[다윗]]의 후손이라고 주장한 조지아의 바그라티오니 왕조가 선호한 이름이다.<ref>Toumanoff (1940), p. 299, fn. 4.</ref>
 
타마르의 유년기와 동시대에 조지아에서는 중대한 격변이 일어났다. 1117년에 그녀의 부친 게오르게 3세는 몇몇 귀족 파벌들의 반란에 직면했다. 그 반란자들은 게오르게를 폐위시키고 살해 당한 [[조지아의 다비트 5세|다비트 5세]]의 아들로 많은 사람들이 합법적인 왕위 계승권자라고 생각했던 게오르게의 조카인 [[조지아의 뎀나|뎀나]]를 왕으로 옹립하려 하였다. 뎀나가 왕이 되려는 의지는 미약했지만, 그의 왕위 계승권은 그의 양부를 사칭하는 [[보안관]] 이바네 오르벨리의 주도로 귀족들에 의해 왕권을 약화시키려는 그럴싸한 구실이 되었다.<ref>Khazanov & Wink (2001), pp. 48–49.</ref> 게오르게 3세는 반란군을 진압했고 반란에 가담했던 귀족 파벌들을 엄중 처벌하는 격렬한 군사 작전을 실시했다. 이바네 오르벨리는 처형되었고 살아남은 그의 가족들을은 조지아 밖으로 추방되었다. 뎀나 왕자는 그의 삼촌의 명령으로 거세되었고 장님을 만들어 버렸으며, 불구가 된 뎀나 왕자는 그 후로 오래 살지 못하고 얼마 못가 감옥에서 죽고 말았다.<ref>Eastmond (1998), pp. 106–107.</ref> 반란이 진압되었고 반란 가담자들 역시 제거되었는데, 그에 앞서 한때 게오르게는 타마르를 공동 통치자로 선임했었고, 그녀는 1178년에 섭정왕이 되었다. 그렇게 하여 왕은 그가 죽은 후에 조지아의 왕위 계승에 대한 그의 합법적인 혈통에 대한 어떠한 논쟁도 없게 하려 했다.<ref name="Eastmond-108">Eastmond (1998), p. 108.</ref> 그와 동시에, 게오르게는 중앙집권의 귀족 정치를 유지하기 위해 자신과 뜻을 같한다면 상류증 귀족들은 물론이고 비주류 계층의 사람들도 요직들에 임명시켰다.<ref name="Khazanov-49">Khazanov & Wink (2001), p. 49.</ref>
44번째 줄:
[[파일:Vardzia Chapel fresco.jpg|thumb|180px|left|타마르(왼쪽)와 게오르게 3세(오른쪽). 바르지아에 있는 [[성모 안식]] 교회에 있는 잔존하는 가장 오래된 타마르의 초상화. 1184~1186년경.]]
타마르는 6년동안 그의 부친이 죽던 1184년까지 섭정했고, 이어서 단일 군주가 되었으며, 조지아 동부의 [[쿠타이시]] 근교에 있는 [[겔라티 수도원]]에서 즉위식을 치렀다. 그녀는 비교적 강력한 왕국을 승계했지만, 고위급 귀족들에 의해 조장된 중앙집권을 흐트려트려 놓으려는 풍조는 가라 앉을 줄을 몰랐다. 타마르의 계승을 반대하던 심상치 않은 자들이 있었다. 그들은 그녀의 부친이 그들을 억압했던 정책에 대해 반기를 들어 올렸지만, 새로운 군주의 취약점, 즉 여성이라는 사실이 그들을 더 부추겼던 것이다.<ref name=" Eastmond-108"/> 그녀 전까지만 해도 조지아에서는 여성 군주가 단 한 명도 없었기 때문에, 귀족들의 일부는 타마르 여왕의 적법성에 대해 의문을 품었지만, 반면에 다른 사람들은 그녀의 어린 점을 이용해 그녀의 결점이 오히려 그들의 대자치권을 확고히 해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ref name=" Eastmond-108"/> 타마르의 영향력 있는 고모인 [[루수단 (조지아의 데메트레 1세의 딸)|루수단 여왕]]과 [[조지아의 모든 가톨리코스-파트리아르츠|조지아의 가톨리코스]] 미차엘 4세 미리아니시제의 열정적인 도움은 조지아 왕국을 승계한 타마르 여왕을 합법화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ref>Lordkipanidze (1987), p. 135.</ref> 그녀는 가톨리코스 미차엘의 도움에 대한 보상으로 그를 [[대법관]]에 임명했고, 그리하여 미차엘은 성직과 세속의 공무 체계 양쪽 모두에서 수장의 지위에 오르게 되었다.<ref name="Suny-39">Suny (1994), p. 39.</ref>
타마르는 그녀의 부친인 게오르게 3세가 그에게 도전하던 귀족들을 엄중 처벌하는데 도움을 줬던 그의 부친이 임명했던 사람들 중에서 낮은 신분 태생의 [[조지아의 킵차크인|조지아인화 된 킵차크인]]인 쿠바사스 보안관의 해임을 촉구하기도 했다.<ref name="Khazanov-49"/> 게오르게 3세가 비천한 신분으로의 숙명을 벗어날 수 있게 해준 그의 무명의 시중들 중에 한명은 그 때에 새로운 의회인 ''카라비''를 조직해 의회만 따로 떨어져 심사숙고 하여 정책을 결정했던 그렇게 왕권을 제한하려는 투쟁 중에 있었던 귀족 단체들과 부유한 시민들을 이끌던 [[재무 담당자]] [[쿠틀루 아슬란]]이었다.<ref name="Suny-39"/> 타마르가 쿠틀루 아슬란을 체포하고 그의 추종자들을 구슬려서 항복하게 함으로 "봉건 [[입헌 정치]]"의 시도는 수포로 돌아갔다.<ref name="Khazanov-49"/> 하지만, 상류층 귀족들의 권력을 약화시키려는 타마르의 첫 행보는 완전히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그녀는 [[교회 회의]]를 통하여 가톨리코스 미차엘을 해임시키려 했으나 실패했고, 귀족 의회 ''다르바지''가 국왕 법령의 승인권을 주장했다.<ref name="Suny-39"/> 그녀의 첫 번째 남편 마처도 귀족들에 의하여 강요된 [[루스족]] 왕자 [[유리 보골류프스키]]였다.<ref name="Suny-39"/>
 
왕조의 위엄과 그 시대의 관습에 따라, 귀족들은 군대의 지도자와 결혼하기를 요구했고 왕위의 계승권자를 책봉하기를 바랐다.<ref name="eastmond-94"/><ref name="Khazanov-49"/> 귀족들의 선택은 그 무렵 [[남캅카스]]의 [[킵차크인]]들 중에 피난처에서 살았던 살해당한 [[블라디미르-수즈달]]의 [[안드레이 보골류프스키|안드레이 1세 보골류프스키]]왕자의 아들인 유리에게로 기울었다. 그 선택은 타마르의 고모인 루수단에 의해 공인 되었으며, 그 왕자는 여왕과 결혼하기 위해서 1185년에 조지아로 보내졌다.<ref>Lordkipanidze (1987), p. 141.</ref> 유리는 뛰어난 군인임을 자랑했지만, 까다로운 사람이었고 얼마 못가 그와 타마르 사이에서는 불화가 잦게 되었다.<ref name="eastmond-94"/><ref name="Khazanov-49"/> 그 둘의 팽팽한 결혼 관계는 여왕 통치가 우세한 그녀의 권리에 대하여 더더욱 확신하게 된 왕실 내의 쓰라린 파벌 싸움을 반영했다.<ref name="Lordkipanidze-142">Lordkipanidze (1987), p. 142.</ref> 타마르에게 행운이 된 전환점은 여왕이 대법관으로도 대체 시켰던 가톨리코스 미차엘의 죽음이었고 대법관의 자리는 그녀의 지지자인 안톤 글로니스타비스제로 교체 되었다.<ref name="Lordkipanidze-142"/> 타마르는 점진적으로 자신의 권력 기반을 넓혀갔고 그녀에게 충성하는 귀족들을 왕실의 고위 직책으로 승진시켰다. 그 때 승진한 귀족들 중 가장 두드려 졌던 가문으로는 [[아르메니아인|아르메니아인화]] 된 [[쿠르드인]] 가문인 므크하르그르드젤리라고도 알려진 [[자카리드-므크하르그르젤리|자차리아드]] 가문이다.<ref name="Suny-39"/>
68번째 줄:
조지아의 성공에 자극받은 셀주크 룸술탄의 [[룸 술탄국|룸 술탄]] [[술레이만샤흐 2세]]는 봉신 [[아미르|에미르]]들을 소집해서 조지아에 대항하는 공격에 착수했지만, 1203년 또는 1204년에 [[바시안 전투]]에서 다비트 소슬란이 이끄는 군대에게 기습당해 패배했다. 타마르의 연대기 편자는 그 군대가 바시안으로 움직이기 전에 어떻게 [[바르지아]]의 암석 도시로 집결했는가와 어떻게 여왕이 교회 전망대에서 대군에게 명령을 하달했는지에 대해서 서술했다.<ref>Eastmond (1998), p. 121.</ref><ref>Lordkipanidze (1987), pp. 150–151.</ref>
 
1206년에 므크하르그르드젤리는 조지아 왕의 편에서 [[카르스 (터키)|카르스]]를 점령했지만, 1209년에는 [[아흘라트]] 방펵을 넘지는 못했다. 적군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새 통치 가문이 들어선 [[다마스쿠스]]의 [[아이유브 왕조|아이유브조]]의 수유지에 있는 [[반 호수]] 지역을 떠나<ref>Humphreys (1977), pp. 130–131.</ref> 아르메니아 영토에서 진을 치고<ref name="Lordkipanidze-154">Lordkipanidze (1987), p. 154.</ref> 전투를 벌였던 것이었다.<ref name="Lordkipanidze-154" /> 조지아 연보와 아르메니아 연보에 따르면 1209년에 므크하르그르드젤리 형제는 [[아르다빌]]을 초토화 시켰다고 한다. 즉, 그 형제는 지방 무슬림 통치자의 아니를 공격한 사실과 도시의 그리스도인들을 대학살한 만행에 대해 보복을 했던 것이다.<ref name="Lordkipanidze-154"/> 최후의 대출격으로, 형제는 그들의 행군에서 타마르의 소유지들과 봉신 영토들 도처에 있는 군사령관들을 이끌며 [[나흐체반]]과 [[줄파 (도시)]]를 지나 [[이란]] 북부의 [[마란드]], [[타브리즈]]와[[캐즈빈|콰즈빈]]으로 진격하며 그들의 가는 길의 수 많은 정착지들에서 전리품들을 획득했다.<ref name="Lordkipanidze-154"/>
 
=== 트레비존드와 중동 ===
[[파일:Iviron Aug2006.jpg|thumb|아토스 산에 있는 [[이비론 수도원]], 조지아 왕권의 혜택을 받은 그리스도교 문화의 주요한 중심지]]
[[파일:MinzarHamatzleva ST 04.jpg|thumb|예루살렘에 있는 [[십자가의 수도원]], 과거에 조지아의 수사들이 거주했으며 타마르 여왕의 후원을 받았다.]]
타마르의 통치 기간 중에 주목할 만한 사건은 1204년에 [[흑해]]에서 [[트라페주스 제국|트레비존드 제국]]의 건국이이었다. 그 왕국은 [[알렉시오스 1세 (트라페주스)|알렉시오스 콤네누스]]와 그의 동생 [[다비트 콤네누스|다비트]]가 조지아 대군의 원조를 받아 해체된 [[비잔티움 제국]] 북동부의 [[폰토스|폰티크]]에 설립한 나라였다. 알렉시오스와 다비트는 타마르의 친척으로 조지아 왕실에서 추대된 일시적인 비잔티움 왕자들이었다.<ref>Tamar's paternal aunt was the Comnenoi's grandmother on their father’s side, as it has been conjectured by Toumanoff (1940).</ref> 타마르의 공식 역사가에 따르면, 조지아의 트레비존드 원정의 목적은 비잔티움의 황제 [[알렉시우스 4세|알렉시우스 4세 안겔루스]]가 조지아의 여왕이 [[안티오키아|안티오크]]와 [[아토스 산]]에 보낼 봉헌금 선적을 강탈한 것에 대한 처벌이었다. 그러나, 타마르의 폰티크 원정은 콘스탄티노플에 대항하는 [[서유럽]]의 [[제4차 십자군]] 전쟁을 기회로 활용해 조지아의 서남쪽의 바로 인접한 영토에 왕조의 연대에서 소외된 콤네노이에 의해 건국된 우방국을 두려는 그녀의 열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ref>Eastmond (1998), pp. 153–154.</ref><ref>Vasiliev (1935), pp. 15–19.</ref>
 
타마르는 국제 무대에서 조지아의 위치를 확고히 하고 [[중동]]의 그리스도교의 보호국이었던 비잔티움 국왕의 전통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십자군이 아이유브조 [[이집트의 술탄|술탄]] [[살라흐 앗딘|살라딘]]과 대립하고 비잔티움 제국이 쇠퇴하는 국면을 이용한 듯 하다.<ref name="Pahlitzsch-38-39">Pahlitzsch, Johannes, "Georgians and Greeks in Jerusalem (1099-1310)", in Ciggaar & Herman (1996), pp. 38–39.</ref><ref name="Eastmond 1998, p. 96">Eastmond (1998), p. 96.</ref> 조지아의 그리스토교 선교사들은 [[남캅카스]]에서 활동했고 국외의 자국인 수도원 공동체들은 [[지중해]] 동부 전역에 산재해 있었다. 타마르의 공식 연대기에서는 [[이집트]]에서 [[불가리아]]와 [[키프로스|키프러스]]까지의 그녀의 그리스도교에 대한 전체적인 보호, 그리고 교회들과 수도원들에 대한 후원 활동을 찬양한다.<ref name="Eastmond-122-123">Eastmond (1998), pp. 122–123.</ref>
84번째 줄:
타마르 시대의 정치와 문화적 위업들은 그녀 이전의 조지아 역사에서는 선례가 없었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업적들은 깊고 복합적인 과거의 역사와 선대가 그 뿌리를 이뤘다. 타마르가 성취한 업적들은 대부분 그녀의 증조부 다비트 4세(즉위. 1189~1125)의 개혁과 가장 직접적인 연관이 있고, 좀 더 간접적으로는 11세기의 처음 10년 동안에 조지아의 여러 왕국들과 공국들의 정치적인 통합을 계획하고 실행했던 [[타오의 다비트 3세|다비트 3세]]와 [[조지아의 바그라트 3세|바그라트 3세]]의 단합된 노력이 기반이 되었다.<ref>Rapp (2003), p. 413.</ref> [[중세 시대]], 그녀의 통치 기간에서 마지막 해 쯤에, 조지아 왕국의 국력과 명성은 절정에 달했다. 타마르의 왕국 영역은 북부와 중앙 아르메니아에서의 충성스러운 자차리아드 관리 체제와 봉신인 시르반과 동맹인 트레비존드를 형성하므로, 북쪽의 [[볼쇼이캅카스 산맥|대캅카스]] 산마루에서 부터 남쪽의 [[에르주룸]]까지 그리고 북서쪽의 [[지기 (조지아)|지기]]에서 동남쪽의 [[간자]]까지 확장되었 판-팝카스 제국을 이뤘다. 동시대의 조지아 역사가는 타마르를 "폰투스의 바다(흑해)에서 부터 [[고르간]]의 바다([[카스피해]])까지, [[스페르 (조지아)|스페리]]부터 [[데르벤트|데르벤드]]까지 그리고 [[하자르족|카자리아]]와 [[스키타이|스키타이아]]의 이쪽에서 저쪽까지"의 모든 영토의 주인이라며 격찬했다.<ref>{{언어링크|ka}} Shengelia, N., [http://www.nplg.gov.ge/ic/DGL/work/SIN/sin%203+/nawili%201/5/2.htm#_ftnref75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ს საგარეო პოლიტიკური ურთიერთობანი თამარის მეფობაში] ("Foreign Relations of Georgia during the reign of Tamar"), in Melikishvili (1979).</ref><ref>Salia (1983), pp. 177–190.</ref>
 
국왕의 칭호는 상대적으로 강화되었다. 그 칭호는 조지아 왕국 영역의 전통적인 구획들을 좌지우지 했을 뿐만아니라, 이웃한 영토들에서도 조지아의 제왕 패권을 강조하는 새로운 성분을 포함했다. 따라서, 주화들과 헌장들은 그녀의 이름으로 발행되었으며, 타마르는 "하느님의 뜻에 의하여, [[압하스 왕국|압하지아]],<ref>중세 시대에 "압하지아"와 "압하지아인"이라는 용어는 보통 서부 조지아 전역에서 모든 실제적인 용도들이 포함된 넓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 용어는 15/16세기에 조지아 왕국이 분열된 후에야, 오늘날 [[압하스 공화국|압하지아]]와 그 지역에 사는 [[:en:Abkhaz people|민족 집단]]에게 한정되는 새로운 의미로 다시 사용되었다. [[:en:Vasily Bartold|Barthold, Wasil]] & [[:en:Vladimir Minorsky|Minorsky, Vladimir]], "Abkhaz", in ''[[:en:The Encyclopaedia of Islam|The Encyclopaedia of Islam]]'', vol. 1, 1960.</ref> [[카르틀리|카르트벨리아]],<ref>"카르트벨리아인"은 현시대의 조지아인들이 그들 스스로를 자칭하는 용어이며, 본래는 [[고전 고대]]와 비잔티움 자료들에서 조지아의 [[카르틀리]]-[[캅카스 이베리아|이베리아]]의 중앙 지방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용어였다. 9세기 경에, 조지아의 문학가들은 "카르틀리"의 의미를 종교, 문화, 언어에 의해 하나가 된 중세 조지아의 다른 지역들까지 넓혔다. Rapp (2003), pp. 429–430.</ref> [[아르란]], [[카케티]], [[아르메니아인]]들의 왕들 중에 왕이이며 여왕들 중에 여왕이시고, [[시르반샤흐]]와 [[샤한샤흐]]이시며, 모든 동방과 서방의 [[전제 군주]]이시고, 세계와 신앙의 영광이시며, [[메시아]]의 투사이신 분"으로 확인된다.<ref>Lordkipanidze (1987), p. 157.</ref><ref>Eastmond (1998), p. 135.</ref><ref>Rapp (2003), p. 422.</ref>
[[File파일:GEORGIA, Kingdom. T’amar. Queen Regnant, 1184-1213. Æ Fals (26mm, 6.65 g, 3h). Dated Year 420 of the Paschal cycle (AD 1200).jpg|thumb|타마르의 [[모노그램]]이 특징인 조지아어와 아랍어가 새겨진 구리 동전 (1200년)]]
그 여왕은 단 한번도 독재 권력을 휘두른 적이 없으며 귀족 의회는 계속 기능했다. 그러나 타마르 자신의 명성은 그리고 조지아의 [[봉건 제도]] 번역서인 ''파트론크모바''의 확장본에서는 그녀는 해체된 왕국에서 온 더 강력한 왕조의 왕자들을 유지시켰다고 한다. 그때는 조지아 봉건주의 역사에서 고전시대였다.<ref>Suny (1994), p. 43.</ref> 그들에게 이전에 대부분 알려지지 않은 지역들에의 봉건제도 시행 이식 시도는 반대없인 통과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1212년에 조지아의 북동 국경의 [[프코비]]와 [[체즈족|디도]]의 산악 지방 사람들 사이에서 반란이 일어났고, 이바네 므크하르그르드젤리가 이끄는 군대와의 3달 간의 격렬한 전투 후에 진압되었다.<ref>[[:en:Kevin Tuite|Tuite, Kevin]] (2003), "Political and social significance of highland shrines in post-Soviet Georgia." ''Amirani'' '''9''': pp. 7–23.</ref>
 
91번째 줄:
 
=== 문화 ===
[[File파일:Descent into Hell. John the Evangelist. Vani Gospels A-1335, 210v, 12th c.jpg|thumb|타마르 여왕의 지령으로 복사된 [[바니 복음서]] 원고에 있는 폴리오.]]
그러한 번영은 비잔티움 서부와 이란의 동부 양쪽 모두다 친근하게 느껴지는 [[기독교]]와 세속이 혼합된 조지아의 독특한 문화의 분출을 이루었다.<ref>Suny (1994), pp. 38–39.</ref> 조지아의 군주권은 그리스도교에 의해 강화 되었으며 그 지위는 하느님께서 내리셨다고 여겨졌다. 그 시대에 조지아 정교회 건축은 재설계 되었으며 연속적으로 대규모의 도형 대성당이 건설되었다. 비잔티움에서 전래된 황권에 대한 표현은 비길데 없는 자신의 통치권을 지니는 여성 통치자로의 타마르의 위치를 더욱 강화시키는 다양한 방식으로 개선되었다. 현존하는 다섯 기념 교회의 타마르 여왕을 표현한 초상화들은 명백하게 비잔티움의 심상으로 그려졌을 뿐만아니라, 이란의 이상적인 아름다운 여성상에도 가까운 모습이 조지아의 화법으로 특히 강조되었다.<ref>Eastmond, pp. 94, 108–110.</ref> 중동과 조지아의 친밀한 관계는 조지아어와 [[아랍어]]가 녹아있는 동시대의 전설이 표현된 조지아 주조 화폐에서도 강조되었다. 1200년 경에 주조된 일련의 동전들의 비잔틴식의 [[앞면 뒷면|앞면]]에는 지방마다 상이하게 묘사된 타마르의 이름이 새겨져 있으며 [[앞면 뒷면|뒷면]]에는 타마르를 "메시아의 투사"로 찬양한 아랍어 명각이 새겨져 있다.<ref>Rapp (1993), pp. 309–330.</ref>
 
동시대의 조지아 연대기에 따르면 그리스도교의 덕행과 교부 문학은 전성기가 계속되었지만, 후반에 들어서, 이웃국들의 문화들과 의 관계가 가깝게 발전했을 지라도, 초기에 우세했던 매우 독창적인 세속 문학의 지위는 쇠퇴해 갔다. 그 경향은 [[기사도]]의 이상을 찬양하는 [[쇼타 루스타벨리]]의 [[서사시]] ''[[표범 가죽을 입은 기사]]''(''베프키스트카오사니'')에서 절정에 달했고, 그 서사시는 오늘날 조지아에서 가장 훌륭한 토착 문학의 성취였다며 극찬 받는다.<ref name="Suny-39"/><ref name="Eastmond 1998, p. 96"/><ref>Rayfield (2000), pp. 76–83.</ref>
 
== 죽음과 묘소 ==
106번째 줄:
== 유산과 대중 문화 ==
=== 중세 ===
[[File파일:Vepkhistkaosani zichy.jpg|thumb|170px|''쇼타 루트타벨리가 타마르 여왕에게 그의 시를 낭송하고 있다.'' [[헝가리인]] 예술가 [[미할리 지치]]의 그림 (1880년대)]]
여러 세기 동안, 타마르 여왕은 조지아 역사의 [[판테온]]에서 압도적인 양상을 띄었다. 그러나, "황금 시대"였던 그녀의 통치 기간의 그녀에 대한 건축은 그녀의 통치 시대에 이미 시작되었으며 타마르는 그 시대의 중심이 되었다.<ref name="Eastmond 1998, p. 97">Eastmond (1998), p. 97.</ref> 쇼타 루스타벨리를 포함한 중세 조지아의 많은 시인들은 타마르가 그들의 작품들에 영감을 주었다고 했다. 루스타벨리가 여왕에 대한 사랑으로 인생을 허비했으며 그의 마지막 날은 수도원에서 끝마쳤다는 전설이 있다. 루스타벨리의 시에서 연출되는 노련한 왕인 로스테반이 그의 딸 티나틴을 왕위에 앉히게 되는 드라마틱한 장면들은 게오르게 3과 섭정왕 타마르에 비유한 장면이다.<ref>Rayfield (2000), p. 77.</ref>
 
121번째 줄:
많은 현시대 사람들의 타마르 여왕에 대한 인식은 19세기 [[낭만주의]]와 그 시대 조지아의 지성인들 사이에서 [[국가주의]]의 성장의 영향에 의해 각인된 심상이다. 19세기의 러시아 문학과 서유럽 문학에서, 타마르 여왕의 이미지는 조지아를 인식한 유럽의 [[동양주의|동양 개념]]과 그녀의 지위와 여성으로의 특성을 반영한다.<ref>Eastmond, Antony. "Gender and Orientalism in Georgia in the Age of Queen Tamar", in James (1997), p. 116, n. 39.</ref> [[티롤]] 작가 [[자콥 필립프 팔르메라이예르]]는 타마르를 "캅카스의 [[세미라미스]]"로 묘사했다.<ref>Vasiliev (1935), p. 13.</ref> [[에그조티시즘]]에 매료된 러시아의 시인 [[미하일 레몬토프]]는 낭만주의 시 ''타마라''({{llang|ru|Тамара}}, 1841년)에서 그는 옛 조지아의 전설을 활용하여 여왕 타마르의 이름을 가진 [[세이렌|시렌]]과 흡사한 산악 지방 공주를 시에 표현했다. 레몬토프가 아무런 역사적인 근거도 없이 조지아의 여왕을 치명적인 요부로 묘사했는데도 불구하고, 그 시는 타마르의 섹시함에 대한 관심과 궁금증을 자아내기에 충분했으며 그러한 묘사는 19세기 유럽의 작가들에 의해 더 두드러지게 되었다. [[밀리 말라키레프]]는 레몬토프의 시를 [[교향곡]]으로 편곡했으며 그 음악은 1912년에 [[레온 박스트]]이 무대 미술을 담당해 동양 화법이 아낌없이 구사된 [[발레 루스]]의 공연으로 유럽의 청중들에게 소개 되었다.<ref>Eastmond, Antony. "Gender and Orientalism in Georgia in the Age of Queen Tamar", in James (1997), pp. 103–104.</ref> [[크누트 함순]]의 1903년 작품 ''드론닝 타마라''("여왕 타마라")는 약간의 성공을 거뒀다. 공연 평론자들은 그 극을 "현시대의 여성이 중세 복장의 옷을 입었다."고 했고 "1890년대의 신여성에 대한 시사 해설"이라고 평가했다.<ref>Københavns, Elisabeth Oxfeldt (2005), ''Nordic Orientalism: Paris and the Cosmopolitan Imagination'', p. 220, n. 117. Museum Tusculanum Press, ISBN 87-635-0134-1.</ref>
 
조지아 문학에서, 타마르는 낭만주의화 되었지만, 러시아와 서유럽의 관련과는 판이하게 달랐다. 조지아의 낭만주의자들은 타마르를 묘사하는데 있어서 중세의 전통에 따라 전쟁이 나도 영원히 나라를 지켜 줄 것 같은 온화하고, 숭고한 여성으로 여겼다. 그러한 감성은 타마르와 동시대의 13세기의, 그 이후에 폐허가 됐지만 1840년대에 [[그리고리 가가린]]왕자에 의해 모습을 드러내고 복원 된 [[베타니아 수도원]]의 벽화의 재발견에 의해 영감이 더해졌다. 그 프레스코화는 그 때에 조지아를 순회하며 무수히 많은 판화의 원본이 되었고 시인 [[그리골 오르벨리아니]]가 헌정한 낭만주의 시에 영감이 되었다. 더 나아가 조지아에서의 [[러시아 제국|러시아]] 통치와 국가 성립에 대한 억제에 반항하던 조지아의 인텔리들은 그들의 문학 작품에서 타마르의 시대와 그들의 동시대 상황을 비교하며 돌이킬 수 없는 잃어버린 과거를 애통해 했다. 그러므로, 오늘날 조지아인들의 마음 속에 타마르는 조지아의 전성기가 의인화 되어서 간직되어 있다.<ref>Eastmond, Antony. "Gender and Orientalism in Georgia in the Age of Queen Tamar", in James (1997), pp. 103–111.</ref>
 
== 족보 ==
140번째 줄:
{{가계도/끝}}
 
=== 조상들 ===
<div style="clear: both; width: 100%; padding: 0; text-align: left; border: none;" class="NavFrame">
<div style="background:#cdc; text-align:center; border:1px solid #676;" class="NavHead">'''조지아의 타마르와 그녀의 조상들'''
185번째 줄:
 
=== 러시아어 ===
* Dondua, Varlam & Berdzenishvili, Niko (transl., comment., 1985), [http://www.nplg.gov.ge/ic/DGL/work/Jizn_carici_tamar/soderjanie.htm Жизнь царицы цариц Тамар] (''The Life of the Queen of Queens Tamar''), [http://www.nplg.gov.ge/ic/DGL/work/Jizn_carici_tamar/The%20Life.htm English summary]. Tbilisi: Metsniereba.
* Vateĭshvili, Dzhuansher Levanovich (2003), Грузия и европейские страны. Очерки истории взаимоотношений, XIII-XIX века. Том 1. Грузия и Западная Европа, XIII-XVII века. Книга 1. ("Georgia and the European countries: studies of interrelationship in the 13th–19th centuries. Volume 1: Georgia and Western Europe, 13th–17th centuries. Book 1."). [[:en:Nauka|Nauka]], ISBN 5-02-008869-2.
 
208번째 줄:
[[분류:동방 정교회 성인]]
[[분류:13세기 기독교 성인]]
{{Link GA|en}}
{{Link FA|eo}}
 
{{Link FA|eo}}
[[ab:Аҳәынҭқaрҧҳәыс Ҭaмaр]]
{{Link GA|en}}
[[az:Tamar]]
[[be:Тамара Вялікая]]
[[bg:Тамара]]
[[ca:Tamara de Geòrgia]]
[[cs:Tamara Gruzínská]]
[[de:Tamar (Georgien)]]
[[en:Tamar of Georgia]]
[[eo:Tamara de Kartvelio]]
[[es:Tamar de Georgia]]
[[fa:ملکه تامار]]
[[fi:Tamar (Georgia)]]
[[fr:Tamar de Géorgie]]
[[he:תמר, מלכת גאורגיה]]
[[hu:I. Tamar grúz királynő]]
[[hy:Թամար]]
[[id:Tamar dari Georgia]]
[[it:Tamara di Georgia]]
[[ja:タマル (グルジア女王)]]
[[ka:თამარ მეფე]]
[[lt:Tamara]]
[[mzn:تامار]]
[[nl:Tamara van Georgië]]
[[os:Тамар (ус-паддзах)]]
[[pl:Tamara (królowa Gruzji)]]
[[pt:Tamara I da Geórgia]]
[[ru:Тамара (царица Грузии)]]
[[sr:Тамара (грузијска краљица)]]
[[sv:Tamar av Georgien]]
[[tr:Tamar]]
[[uk:Свята Тамара Велик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