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87번째 줄:
{{본문|10인|l1=10인(十因)}}
 
[[10인]](十因)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인과설 (불교)|인과설]]에서, 모든 직접적{{.cw}}간접적 원인에 대한 분류 가운데 하나인 [[4연]](四緣)을 더 세분하여 [[수설인]](隨說因){{.cw}}[[관대인]](觀待因){{.cw}}[[견인인]](牽引因){{.cw}}[[생기인]](生起因){{.cw}}[[섭수인]](攝受因){{.cw}}[[인발인]]{{.cw}}[[정이인]](定異因){{.cw}}[[동사인]](同事因){{.cw}}[[상위인]](相違因){{.cw}}[[불상위인]](不相違因)의 10가지로 구분한 것이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5%8D%81%E5%9B%A0&rowno=1 十因(십인)]". 2013년 3월 27일에 확인|quote=<br>"十因(십인): 또는 십종인(十種因). 유식종에서 인과 관계에 대하여 세운 4연(緣)을 다시 분석하여 10종으로 나눈 것. (1) 수설인(隨說因). 언어(言語)를 말함. 우리가 견문각지(見聞覺知)함에 따라 그 뜻을 말하기 때문임. (2) 관대인(觀待因). 몸과 마음이 낙(樂)을 구하여 수용할 적에 그 얻은 데 대하여, 구하는 원인이 된 것을 관대인이라 하니, 고(苦)는 낙(樂)의 관대이고, 기갈(飢渴)은 음식의 관대. (3) 견인인(牽引因). 습기(習氣)를 말함. 물(物)ㆍ심(心)의 온갖 법은 견문각지할 때마다 아뢰야식에 훈습(熏習)하며, 이것이 원인이 되어서 장차 연(緣)을 만나면 물ㆍ심의 온갖 현상을 내거니와, 이것이 야뢰야식 중에 있어서 아직 현실로 특수한 과를 끌어오지 아니하였을 적에, 벌써 그 자체에 어떤 결과를 인생(引生)할 정성(定性)이 있으므로, 종자를 견인인이라 함. (4) 생기인(生起因). 위에 말한 종자가 진정한 자과(自果)를 내는 편에서 종자를 말하는 것. (5) 섭수인(攝受因). 유루법ㆍ무루법이 성립하는데 섭수(攝受)하는 것을 말하니, 무간멸(無間滅)ㆍ경계(境界)ㆍ근(根)ㆍ작용(作用)ㆍ사용(士用)ㆍ진실견(眞實見)의 여섯을 말함. (6) 인발인(引發因). 아뢰야식 중의 종자와 현행(現行)이 선ㆍ악ㆍ무기(無記)의 세 성질을 갖추어, 자기의 동류(同類)나 자기 이상으로 수승한 힘이 있는 온갖 법을 인발(引發)하는 것. (7) 정이인(定異因). 정별인(定別因)이라고도 함. 온갖 법의 자성공능(自性功能)의 차별성을 말함. 곧 선인(善因)은 선과(善果)를, 악인(惡因)은 악과(惡果)를, 물(物)은 물(物), 심(心)은 심(心), 이와 같이 각자가 다른 것과 다른 결정된 자성이, 자성의 원인인 것을 말함. (8) 동사인(同事因). 제1을 제하고, 제2 관대인에서 정이인까지의 여러 인(因)과 같이 과(果)를 끌어오며, 과(果)를 이루기 위하여 화합하여 일을 함께 하는 인(因)을 말함. (9) 상위인(相違因). 과(果)를 내는 것과 과를 내는 데 장애(障礙)가 되는 것. (10) 불상위인(不相違因). 과(果)를 내며, 과(果)를 이루는 데 그것을 순익(順益)하는 것을 말함. ⇒인발인(引發因)"}}
[[10인]](十因)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인과설 (불교)|인과설]]에서, 모든 직접적{{.cw}}간접적 원인에 대한 분류 가운데 하나인 [[4연]](四緣)을 더 세분하여 [[수설인]](隨說因){{.cw}}[[관대인]](觀待因){{.cw}}[[견인인]](牽引因){{.cw}}[[생기인]](生起因){{.cw}}[[섭수인]](攝受因){{.cw}}[[인발인]]{{.cw}}[[정이인]](定異因){{.cw}}[[동사인]](同事因){{.cw}}[[상위인]](相違因){{.cw}}[[불상위인]](不相違因)의 10가지로 구분한 것이다.
 
==직접적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