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문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73번째 줄:
 梵語 pratyekabuddha-yāna。指到達緣覺果之法門,亦即指十二因緣之法。由此義,亦將緣覺之機類直接稱為緣覺乘。又作辟支佛乘、獨覺乘。為二乘之一,三乘之一,五乘之一。即觀察十二因緣之理,以期於一向一果中入於涅槃者。(參閱「二乘」206) p6134"}}
 
이에 비해 [[보살승]](菩薩乘)은 [[6바라밀]]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6바라밀]]의 첫 번째 요소는 [[보시바라밀]]인데, [[보시]](布施)에는 재물을 보시하는 [[재시]](財施){{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linktype=detail&from=&to=&srch=%EB%B3%B4%EC%82%B4%EC%8A%B9&rowno=DGUL_BS_T_0161131 財施菩薩乘(재시보살승)]".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br>"財施菩薩乘(재시보살승):
3승의 하나. 성불하기를 이상(理想) 목적으로 삼는 보살들이 수행하는 6도(度) 등의 법문. 승(乘)은 싣고 옮겨 가는 뜻, 이 법문은 보살로 하여금 번뇌의 세계를 벗어나, 이상(理想)의 불과에 이르게 하므로 이렇게 이름함. 그러므로 보살의 기류(機類)를 바로 보살승이라고 함. ⇒범승(梵乘)"}} [[6바라밀]]의 첫 번째 요소는 [[보시바라밀]]인데, [[보시]](布施)에는 재물을 보시하는 [[재시]](財施){{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link=DGUL_BS_T_016113 財施(재시)]".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br>"財施(재시):
자신의 금ㆍ은ㆍ보배 등을 다른 이에게 베풀어 주는 일 →삼시(三施) ⇒보시(布施)"}}와 교법을 보시하는 [[법시]](法施){{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link=DGUL_BS_T_006016 法施(법시)]".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br>""法施(법시):
3시의 하나. 다른 이에게 교법을 말하여 선근을 자라게 하는 것. 또 법을 말해 줌. ⇒보시(布施)}}와 [[계 (불교)|계]]를 지키어 남을 [[손뇌|침해]]하지 아니하고 또한 두려워하는 마음이 없게 하는 [[무외시]](無畏施){{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link=DGUL_BS_T_005099 無畏施(무외시)]".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br>"無畏施(무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