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문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58번째 줄:
나아가 대승불교에서는 성문의 성격에 대해 여러 가지로 구분하여, '''2종성문'''(二種聲聞){{.cw}}'''3종성문'''(三種聲聞){{.cw}}'''4종성문'''(四種聲聞) 또는 '''5종성문'''(五種聲聞)으로 분류하였다. 이 가운데 2종성문은 성문을 '''정성성문'''(定性聲聞){{.cw}}'''부정성성문'''(不定性聲聞)으로 구분하는 것인데, [[정성성문]]은 성문으로서의 성격[性]이 고정[定]되어서 [[성문승]] 즉 [[성문의 길]]에서 [[보살승]] 즉 [[보살의 길]]로 들어갈 여지가 없는 수행자를 말하고, [[부정성성문]]은 아직 성문으로서의 성격이 고정되어 있지 않아서 [[보살승]] 즉 [[보살의 길]]로 들어설 수 있는 여지가 있는 성문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907&DTITLE=%C1n%BBD 聲聞]". 2013년 4월 9일에 확인}}<ref name="종교학대사전-성문"/>
 
하지만, [[3승]]의 교의와 성문에 대한 이러한 분류는 모두 [[대승불교]]에 의한 것으로, 《[[품류족론]]》《[[발지론]]》《[[대비바사론]]》《[[구사론]]》 등의 [[부파불교]]의 [[아비달마]] 논서 어디에서도 [[4제현관]](四諦現觀)을 [[열반]]을 [[증득]]하기 위한 주요 수행법으로 한다는 것외에는 성문에 대한 이러한 성격 규정이나 분류는 존재하지 않으며, 성문에는 오직 [[출가 수행자]]로서의 [[부처]]의 가르침에 따라, 특히 불교의 근본 교의인 [[4성제]]에 따라 [[열반]]을 증득하기 위해 수행에 전념하는 이라는[[출가 수행자]]라는 의미만이 있을 뿐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907&DTITLE=%C1n%BBD 聲聞]". 2013년 4월 9일에 확인}}
 
현대학자들도 성문의 길 즉 '[[부파불교]]의 수행자의 길 또는 [[방편]]'인 [[4제현관]]과 그 계위인 [[성문4과]]는 [[보살의 길]] 즉 '[[대승불교]]의 수행자의 길 또는 [[방편]]'인 [[6바라밀]]과 그 계위인 [[보살 10지]]와 마찬가지로 깊은 수행을 요구하며 그 경지가 높은 것으로 모두 [[부처의 지위]] 즉 [[열반]]에 이르기 위한 길이라고 본다. 이에 따라, 성문과 보살은 모두 [[불제자]]이지만 [[보살]]에는 다른 [[유정 (불교)|유정]]을 위한 실천 즉 [[이타]](利他)가 있어 [[자리 (불교)|자리]](自利)와 [[이타]](利他)를 동시에 강조하는 반면, 성문은 [[자리 (불교)|자리]](自利) 즉 자신의 [[깨달음]] 즉 [[열반]]의 [[증득]]에 치중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라고 본다.<ref name="종교학대사전-성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