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 제2차 만세 운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acbert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사전 발각된 [[1929년]] [[12월]]의 1차 만세 운동까지 합쳐서 '''경성 학생 만세 운동''' 또는 경성 여학생 운동으로 부른다. [[근우회]]와 [[신간회]]가 개입된 사건이며 [[근우회]] 주도로 벌어진 사건이라 하여 일명 '''근우회 사건'''으로도 부른다.
 
[[1930년]] [[1월]], 제2차 학생 시위를 주도한 근우회사건은 당시 근우회 서무부장 허정숙이 이화여고보의 [[최복순]], [[최윤숙]], [[김진현]] 등 여학생들과 경성학생시위운동을 계획, 전개한 것이다.<ref name="shinyoung152">신영숙, 〈일제시기 여성운동가의 삶과 그 특성 연구:조신성과 허정숙을 중심으로〉역사학회, 《역사학보 150호 (1996년 6월호)》 (역사학회, 1996) 152페이지</ref> 이때 [[정칠성]], [[박차정]] 등도 함께 검거되었으나 곧 석방되었다.<ref name="shinyoung152"/>
 
[[1929년]] [[12월]] 허정숙은 12월 중순 경에 최복순 등과 함께 만세운동을 기도했다. 그러나 사전에 누설, 발각되어 실패한다. [[1929년]] [[12월 13일]]에는 [[신간회]]의 민중대회 계획이 누설되어 20명이 체포된 민중대회사건, 또는 허헌 사건이발생, [[허헌]]도 수감되었다.<ref name="shinyoung152"/>
 
[[허정숙]]은 다시 연락망을 구성하여 [[1월]] 중순 만세운동 거사날자를 잡고 유인물과 태극기를 등사하여 살포한다. 이화여고보를 비롯한 시내 공사립 여자고등보통학교와 그밖에 중등학교 등 13개교가 일제히만세를 부른 여학생 만세운동 결과, 구속자 34명에 불구속자 55명이 보안법 위반 및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기소되었으며, 그들 모두가 여학생이었다는 점이 당시 사회의 커다란 관심거리로 주목받았다.<ref name="shinyoung152"/>
 
== 관련 항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