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의식: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불교}}
 
'''심의식'''(心意識)은 [[심 (불교)|심]](心){{.cw}}[[의 (불교)|의]](意){{.cw}}[[식 (불교)|식]](識)의 세 낱말을 합친 복합어이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5%BF%83%E6%84%8F%E8%AD%98&rowno=1 心意識(심의식)]". 2012년 10월 3일에 확인|quote=<br>"心意識(심의식):
'''[[심 (불교)|심]]'''(心)은 [[산스크리트어]] '''치타'''(citta)의 번역어로, '''집기'''(集起)를 뜻한다.
'''의'''(意)는 [[산스크리트어]] '''마나스'''(manas)의 번역어로 '''[[말나]]'''(末那)라고도 음역하며, '''사량'''(思量)을 뜻한다.
'''식'''(識)은 [[산스크리트어]] '''비즈냐나'''(vijñāna)의 번역어로 '''비야남'''(毘若南)이라고도 음역하며, '''요별'''(了別)을 뜻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5%BF%83%E6%84%8F%E8%AD%98&rowno=1 心意識(심의식)]". 2012년 10월 3일에 확인|quote=<br>"心意識(심의식):
심(心)은 범어 질다(質多)의 번역, 집기(集起)의 뜻. 의(意)는 범어 말나(末那)의 번역, 사량(思量)의 뜻. 식(識)은 범어 비야남(毘若南)의 번역, 요별(了別)의 뜻. 구사종에서는 심왕(心王)에 6식(識)을 세우고 심왕의 작용에 대하여 그 이름을 달리 함. (1) 심(心). 온갖 심리 작용을 집합하여 인기(引起)하므로 집기의 뜻이 있음. (2) 의(意). 여러 가지 대경을 헤아리고 생각하므로 사량의 뜻이 있음. (3) 식(識). 대경을 요별(了別)하는 뜻이 있으므로 식이라 함. 이 세 가지는 모두 6식의 다른 이름이라 함. 유식종에서는 8식을 통틀어 심ㆍ의ㆍ식의 세 뜻이 있다 함. 제8식은 온갖 종자를 모았고, 또 종자로 하여금 활동케 하므로 심(心)이라 하고, 제7식은 대경을 항상 살펴 사량하는 뜻이 수승하므로 사량이라 하고, 전(前) 6식은 자기 앞의 대경을 잘 식별(識別)하는 작용이 수승하므로 식이라 이름한다 함. ⇒식(識)ㆍ심식(心識)"}}{{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6742&DTITLE=%A4%DF%B7N%C3%D1 心意識]". 2012년 10월 3일에 확인|quote=<br>"心意識:
 指心、意、識三者。心為梵語 citta 之意譯,音譯作質多,即集起之義。意為梵語 manas 之意譯,音譯作末那,即思量之義。識為梵語 vijñāna 之意譯,音譯作毘若南,即了別之義。大略言之,心是主體意與識是心作用之兩面。有關此詞之語意,大小乘論典有種種不同之說法。<br>
줄 22 ⟶ 19:
<br>논하여 말하겠다. 집기(集起)하기 때문에 '심(心)'이라 이름한 것이고, 사량(思量)하기 때문에 '의(意)'라고 이름한 것이며, 요별(了別)하기 때문에 '식(識)'이라고 이름한 것이다.<sup style="color: blue">89)</sup> 다시 어떤 이는 해석하여 말하기를, "정(淨)과 부정(不淨)의 계(界)에 여러 가지의 차별이 있기 때문에 '심'이라고 이름하게 된 것이며,<sup style="color: blue">90)</sup> 이러한 '심'은 다른 것의 소의지(所依止)가 되기 때문에 '의'라고 이름하게 된 것이며, 능의지(能依止)가 되기 때문에 '식'이라고 이름하게 된 것이다.<sup style="color: blue">91)</sup> 그렇기 때문에 심·의·식의 세 가지 명칭은 비록 그것이 드러내는 뜻은 다를지라도 그 본질은 동일하다"고 하였다.
<br><sup style="color: blue">89)</sup> 심(心, citta)의 어원 cit는 생각하다, 이해하다의 뜻이지만, 그것은 다시 ci(쌓다)에서 유래한 것 으로 보고 '집기'라고 번역한 것이다. 곧 마음은 신(身)·구(口)·의(意) 3업을 집기한다. 의(意, manas)는 어근 man(생각하다)에 근거하여 '사량'으로 번역한 것이고, 식(識, vijñāna)는 vi-√jñā (다르게 알다)에서 유래한 것이므로 '요별'이라고 번역한 것이다.
<br><sup style="color: blue">90)</sup> 여기서 정(淨)·부정(不淨)이란 선·불선을 말한다. 즉 마음에는 닦고 닦지 않음에 의해 선·불선·무 기무기 등 여러 단계의 차별이 있기 때문에 citta로 이름한 것으로, 이는 citra(種種)에 근거한 경부(經部) 혹은 유가사(瑜伽師)의 해석이다.
<br><sup style="color: blue">91)</sup> 소의지가 된다고 함은 현행식의 근거가 되는 전찰나의 의근(意根)을 말하며, 능의지가 된다고 함은 의 근에 근거하는 현행의 의식(意識)을 말한다. 즉 본론 권제1에서 의근을 분별하면서 과거로 낙사한 무간멸(無間滅)의 의(意)가 다음 찰나 의식의 소의지가 된다고 하였는데, 여기서는 이를 근거로 해석한 것이다."}}
 
'''[[심 (불교)|심]]'''(心)은 [[산스크리트어]] '''치타'''(citta)의 번역어로 '''질다'''(質多)라고도 음역하며, '''집기'''(集起)를 뜻한다.
 
'''의'''(意)는 [[산스크리트어]] '''마나스'''(manas)의 번역어로 '''[[말나]]'''(末那)라고도 음역하며, '''사량'''(思量)을 뜻한다.
 
'''식'''(識)은 [[산스크리트어]] '''비즈냐나'''(vijñāna)의 번역어로 '''비야남'''(毘若南)이라고도 음역하며, '''요별'''(了別)을 뜻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5%BF%83%E6%84%8F%E8%AD%98&rowno=1 心意識(심의식)]". 2012년 10월 3일에 확인|quote=<br>"心意識(심의식):
 
'''집기'''(集起)는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마음작용]](심소법)을 비롯한 [[신업|신]](身){{.cw}}[[구업|구]](口){{.cw}}[[의업|의]](意) [[3업]](三業)을 쌓고 일으키는 측면 또는 능력이 있는 것을 말한다. '''사량'''(思量)은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과거, 즉 이전까지 쌓은 원인을 바탕으로 현재의 [[인식]] 대상 또는 [[마음작용]] 대상에 대해 이모저모로 생각하고 헤아리는 측면 또는 능력이 있는 것을 말한다. '''요별'''(了別)은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사량(思量)을 바탕으로 현재의 [[인식]] 대상 또는 [[마음작용]] 대상에 대해 '[[지식론|아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파란색이 소리가 아니라 색깔인줄 알며 나아가 노란색이 아니라 파란색인줄 아는 것을 말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5%BF%83%E6%84%8F%E8%AD%98&rowno=1 心意識(심의식)]". 2012년 10월 3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6742&DTITLE=%A4%DF%B7N%C3%D1 心意識]". 2012년 10월 3일에 확인}}{{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4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21c15 T29n1558_p0021c15 - T29n1558_p0021c24]. 심(心)·의(意)·식(識)}}{{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4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88 188-189 / 1397]. 심(心)·의(意)·식(識)}}{{sfn|원휘(圓暉)|T.1823|loc=제4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41n1823_p0843c01 T41n1823_p0843c01 - T41n1823_p0843c12]. 심(心)·의(意)·식(識)|quote=<br>"從此第四。明眾名別者。論云。然心心所。於契經中。隨義建立種種名相。今當辨此名義差別。頌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