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살 수행계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423번째 줄:
보살 수행의 차례인 5위(位) 가운데 첫 위. 10주(住)ㆍ10행(行)ㆍ10회향(廻向)의 30위에서 초주(初住)부터 제10회향의 주심(住心)까지를 자량위라 함. 불과에 이르는 자량이 될 6바라밀 가운데, 복행(福行)인 앞의 5바라밀과, 지행(智行)인 제6바라밀을 닦아 모우는 위. 또 순해탈분(順解脫分)이라고도 하니, 유정들을 위하여 해탈하기를 구하는 위이므로 해탈에 순응하는 인도(因道)라는 뜻."}}
# [[가행위]](加行位): [[10회향]]의 제10위인 [[법계무량회향]](法界無量廻向)의 [[출심]](出心)의 단계, 즉, [[통달위]] 즉 [[견도]](見道)에 들기 위해 닦는 [[난 (4선근)|난]](煖){{.cw}}[[정 (4선근)|정]](頂){{.cw}}[[인 (4선근)|인]](忍){{.cw}}[[세제일 (4선근)|세제일]](世第一)의 [[4선근]](四善根) 즉 [[4가행]](四加行)의 단계{{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A%B0%80%ED%96%89%EC%9C%84&rowno=1 加行位(가행위)]". 2013년 4월 15일에 확인|quote=<br>"加行位(가행위):
또는 가행도(加行道)ㆍ방편도(方便道). 5위(位)의 하나. 10회향(廻向)의 열째인 법계무진회향(法界無盡廻向)의 마지막에 참된 유식성(唯識性)에 머물기 위하여, 다시 난(煖)ㆍ정(頂)ㆍ인(忍)ㆍ세제일(世第一)의 4선근(善根)을 닦는 위(位). 앞의 자량위(資糧位)에서 무상보리(無上菩提)를 구하기에 필요한 자량인 여러 가지 공덕은 이미 닦았으므로, 이 위(位)에서는 견도(見道)에 들어 유식(唯識)의 성(性)에 머물기 위하여 특별히 노력하는 것이므로 가행위라 함."}}{{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6000&DTITLE=%A5[%A6%E6%A6%EC 加行位]". 2013년 4월 15일에 확인|quote=<br>"加行位:
 指加功力進修之位。為唯識宗所立五位之第二位。又作加行道、方便道。即在資糧位之第十回向之終,為住於真唯識性(即制伏能取、所取之分別,引發對唯識之真見),修習四尋思、四如實智所產生之煖、頂、忍、世第一法等四善根之位。乃入於見道,正通達於真理之方便加行。成唯識論卷九(大三一‧四八中、四九上):「加行位,謂修大乘順決擇分。(中略)煖、頂、忍、世第一法,此四總名順決擇分。順趣真實決擇分故,近見道,故立加行名,非前資糧無加行義。」〔俱舍論卷二十二、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八、成唯識論述記卷九、百法問答鈔卷五、卷六〕(參閱「五位」1087、「四尋思」1768) p1570"}}
# [[통달위]](通達位): [[견도위]](見道位), 즉 [[10지]]의 첫 번째 계위인 [[초지 (불교)|초지]](初地)의 [[입심]](入心) 즉 [[환희지]](歡喜地)의 [[입심]](入心){{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594, T.1597|loc=제1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578&startNum=14 14-15 / 297]. 41위(四十一位)}}{{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D%86%B5%EB%8B%AC%EC%9C%84&rowno=1 通達位(통달위)]". 2013년 4월 15일에 확인|quote=<br>"通達位(통달위):
5위의 하나. 무분별지(無分別智)가 생겨서 유식의 실성(實性)인 진여의 이치를 환하게 아는 지위."}}{{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B4%88%EC%A7%80&rowno=1 初地(초지)]". 2013년 4월 15일에 확인|quote=<br>"初地(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