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문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67번째 줄:
==3승과 성문승==
 
[[고타마 붓다]]의 [[입멸]] 후 후대에 불교교단이 확립되면서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에서는 [[출가자]]만을 성문이라 부르게 되었다. 그리고 [[대승불교]]는 [[부파불교]]의 수행자들이 [[자리 (불교)|자리]](自利) 즉 자신의 [[열반]]의 [[성취]]에만 치중하는 것에 반대하여 [[자리 (불교)|자리]](自利)와 [[이타 (불교)|이타]](利他) 즉 [[열반]]에 이르기 위한 [[수행 (불교)|수행]]과 다른 [[유정 (불교)|유정]]을 위한 [[보시]]의 실천을 함께 실행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대승불교에서는 [[자리이타]](自利他)를 실천하는 [[보살]]을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보고, [[성문승]]{{.cw}}[[연각승]]{{.cw}}[[보살승]]의 [[3승]]의 교의를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대승불교권에서는 이 [[3승]]의 교의에서 정의하는 [[성문승]]의 수행자를 성문이라 부르게 되었다.<ref name="글로벌-삼승"/><ref name="종교학대사전-성문"/>
 
[[대승불교]]의 [[3승]]의 교의에 따르면, '''성문승'''(聲聞乘)은 [[4제현관]](四諦現觀) 즉 고제{{.cw}}집제{{.cw}}도제{{.cw}}멸제의 [[4성제]]를 [[현관 (불교)|현전에서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즉, [[성문승]]이란 [[열반]]의 [[증득]]에 이르는 탈것 즉 길 또는 방편으로서의 [[4제현관]]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문승]]의 수행자인 '''성문'''은 열반을 증득하는 수행으로써 [[4제현관]]을 닦는 이를 말하는데, 이들은 특히 [[이타]](利他)는 고려하지 않고 [[자리 (불교)|자리]](自利)에만 치중한다는 성격을 가진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4%B1%EB%AC%B8%EC%8A%B9&rowno=1 聲聞乘(성문승)]".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br>"聲聞乘(성문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