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98번째 줄:
[[성문승]]{{.cw}}[[연각승]]{{.cw}}[[보살승]]의 [[3승]]과 [[불승]] 등의 구분과 이에 대한 교의는 모두 [[대승불교]]의 교의로,<ref name="글로벌-삼승">[[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세계의 종교/불 교/불교의 사상#삼승|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초기 대승불교의 사상 > 삼승]],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br>"삼승:
三乘 삼승이란 3종의 탈것이라는 뜻으로 대승불교가 일어난 후 부처를 목표로 하는가 아라한을 목표로 하는가의 차이에 따라 타는 것도 달라진다는 생각에서 대승 편에서 주장하기 시작한 것이다. 스스로는 부처를 목표로 하는 불보살승(佛菩薩乘)이며 소승은 성문승(聲聞乘)·연각승(緣覺乘)의 2승(二乘)으로서 아라한은 될 수 있어도 부처로는 영원히 될 수 없다고 하여 구별한 것이다. 우선 성문(聲聞)이란 부처의 가르침을 듣고서 도에 정진하는 자라는 뜻으로서 불제자를 가리킨다. 따라서 성문승이란 불제자의 도로서 구체적으로는 부처의 교법에 의해서 4체(四諦)의 이(理)를 보고 스스로 아라한으로 될 것을 이상으로 하는 낮은 수행자라고 한다. 연각승의 연각(緣覺)은 독각(獨覺)이라고도 하며, 원래 고타마가 스승에 의하지 아니하고 혼자서 깨달음을 얻은(無師獨悟) 면을 나타낸 말인데 교리(敎理)상으로는 12연기를 관찰하여 미(迷)를 끊고 이법(理法)을 깨닫는다(斷惑證理)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는 독각은 제자도 없고 설교하지도 않으므로 이념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다."</ref><ref name="글로벌-일불승">[[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세계의 종교/불 교/불교의 사상#일불승|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초기 대승불교의 사상 > 일불승]],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br>"일불승:
一佛乘 소승의 2승에 대해서 대승불교가 스스로의 입장을 나타낸 것이 일불승 또는 일승(一乘)이다. 일불승은 불교의 진실한 가르침은 오직 한가지로서 그 가르침에 의해서 어떠한 사람들도 똑같이 성불(成佛)할 수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즉 대승의 도에 따르는 수행자는 모두 석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살의 이름으로 불리고 석존이 전생에 무량(無量)의 선근공덕(善根功德)을 쌓은 것처럼 대승의 보살들은 중생제도를 위하여 자신의 깨달음은 뒤로 돌리고 우선 다른 사람들을 구한다(自未得度先度他)고 하는 이타행(利他行)이 그 임무라고 한다. 그리하여 모든 사람들이 구제받지 못하는 한 스스로 이상의 세계로 들어가지 아니하고(無住處涅槃) 항시 현실세계에 있어서 세상을 위해 봉사한다는 입장이 주장되었다. 그러나 성문·연각의 2승도 역시 최종적으로는 부처가 되어야 할 것이며, 3승의 도를 구별하는 것은 사람의 자질이나 능력에 따라 방편설(方便說)에 불과하며 진실로는 오직 부처의 1승만이 있을 수 있다는 견해가 <법화경> 등에 의해 강조되며 그것이 일불승의 본의로 되었다."</ref> 위에 열거된 수행계위는 모두 [[대승불교]]에서 구분한 수행계위이다. [[부파불교]]와 [[대승불교]]는 모두 공통으로 [[견도]]{{.cw}}[[수도 (불교)|수도]]{{.cw}}[[무학도]]의 [[3도 (불교)|3도]](三道)의 [[수행계위]] 체계를 사용한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품류족론]]》《[[발지론]]》《[[대비바사론]]》《[[구사론]]》《[[현종론]]》등의 [[아비달마]] 논서에 나타난 수행론에서는 [[3계9지]], 견도{{.cw}}수도{{.cw}}무학도의 [[3도 (불교)|3도]](三道), 자량위{{.cw}}가행위{{.cw}}견도위{{.cw}}수도위{{.cw}}무학위의 [[5위 (불교)|5위]] 그리고 [[4향4과]]의 체계를 [[3도]]와 함께 사용한다.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유가사지론]]》《[[현양성교론]]》《[[집론]]》《[[잡집론]]》《[[유식삼십송]]》《[[성유식론]]》 등의 논서에 나타난 수행론에서는 '''보살 10지''', [[아애집장현행위]]{{.cw}}[[선악업과위]]{{.cw}}[[상속집지위]]의 [[뢰야3위]], [[자량위]]{{.cw}}[[가행위]]{{.cw}}[[통달위]]{{.cw}}[[수습위]]{{.cw}}구경위의[[구경위]]의 [[5위 (불교)|5위]]를 [[3도]]와 함께 주된 체계로 사용하며, 보조 체계로 [[4향4과]]의 체계를 사용한다. [[대승불교]]의 [[선종]]에서는 보다 실천적인 체계가 사용되는데 [[성철]]의 《[[선문정로]]》 등에 따르면 수행은 [[동정일여]](動靜一如){{.cw}}[[몽중일여]](夢中一如){{.cw}}[[숙면일여]](熟眠一如){{.cw}}[[사중득활]](死中得活){{.cw}}[[대원경지]](大圓鏡智)의 실천적 체계를 따라 이루어지며, 전통적으로 [[유식유가행파]]와 《[[대승기신론]]》의 학설 및 수행체계가 보조 체계로 사용된다.<ref name=see>퇴옹 성철. (1987). 《자기를 바로 봅시다》. 해인사 백련암 (Korea): 장경각. ISBN 89-85244-11-6</ref><ref name=forever>퇴옹 성철. (1988). 《영원한 자유》. 해인사 백련암 (Korea): 장경각. ISBN 89-85244-10-8</ref><ref name=correct>퇴옹 성철. (1987). 《선문정로》. 해인사 백련암 (Korea): 장경각. ISBN 89-85244-14-0</ref><ref name=hundred>퇴옹 성철. (1992). 《백일법문》. 해인사 백련암 (Korea): 장경각. ISBN 89-85244-05-1, ISBN 89-85244-06-X</ref>
 
==보살 10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