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3번째 줄:
'''예기'''의 성립에 대해서는 [[수서 (책)|수서]]의 '''예문지'''(藝文志), '''경전석문'''(經典釋文)의 서록(書錄), 정현(鄭玄)이 쓴 '''육예론'''(六藝論)의 일문(逸文) 등에서 각각 논하고 있지만, 서로 모순되어 정확한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 중에서도 유력한 학설은 두 존재한다.
 
그 첫번째는 [[수서 (책)|수서]]의 경적지(經籍志)를 대표하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서한]](西漢) 시기의 궁정 도서인 한서(漢書) "예문지"에는 "[[기|기(記)]]" 141 편이 있다. 이 중에서 먼저 대덕(戴徳)이 85 편을 골라 "예기"를 만들었다. 다음 대덕의 큰 조카였던 대성(戴聖)이 대덕의 예기에서 또한 46 편을 골라 별도로 "예기"를 만들었다. 대덕과 대성을 구분하기 위해 대덕을 대대(大戴), 대성을 소대(小戴)라고 부른다. 따라서 대덕의 "예기"를 '''各々ばらばらに대대예기'''(大戴禮記), 대성의 "예기"를 '''소대예기'''(小戴禮記)라고 부르게되었다. 그후 후한(後漢) 말의 대학자 [[마융]]은 소대예기 3 편을 추가, 현재 총 49 편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 학설에 따르면, "기(記)"에서 "대대예기", "대대예기"에서 "소대예기"가 태어난 것이다.
 
두 번째 학설은 정현의 "육예론"을 대표하는 것이다. 이것은 "기"에서 대덕과 대성이 따로따로 골라, 각각 "대대예기"와 "소대예기"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대대예기"와 "소대예기"는 원래 따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외에도 "대대예기"와 "소대예기"는 "기"에서 고른 것이 아니라 두 사람의 스승이었던 후창(后蒼)의 "곡대기(曲臺記)"를 계승한 것으로, 본래는 49 편이었다고 하는 학설도 존재한다. 이것은 황회신(黄懐信) 등이 편찬한 "대대예기 휘교집(黄懐信) 주(注)"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 학설의 성립을 인정하기에는 몇 가지 전문적인 문헌 비판을 필요로한다. 어쨌든, "대대예기"와 "소대예기"의 성립에는 확실한 학설이 아니다.
 
=== 『예기』의 전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