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격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파일:Chinese 120mm mortar2.jpg|thumb|230px|중국산 박격포]]
'''박격포'''(迫擊砲, {{langllang|en|Mortarmortar}})는 [[보병]]이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곡사화기]]이다. [[포탄]]을 포구로부터 장전하며 구조가 간단하고 초탄 발사속도가 빠르다. 또 다른 총포탄에 비하여 포구속도가 느리나, 다루기 용이하고 제작비용과 유지 보수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지 후방이나 참호를 효과적으로 공격할 수 있으며, 살상효과도 야포보다 우수하다.<ref>[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09081916441610371&nvr=y 육군이 똥포를 사랑하는 이유] 아시아경제 2009년 8월 19일.</ref> 소부대 단위 보병들에게 화력을 제공할 수 있는 간편한 휴대 화력지원용 무기로서 공용화기라고 불린다. 일반적으로 구경에 따라서 60 mm 미만은 경(經)박격포, 60 ~ 100 mm의 경우는 중(中)박격포, 100 mm이상은 중(重)박격포로 분류된다. 최초의 근대적인 박격포는 프랑스 브랑드(Brandt)사가 만든 60 mm 구경 박격포이고, 현재의 박격포 원형은 구 독일군의 81 mm 박격포에서 완성 되었다.
{{commonscat|Mortars}}
'''박격포'''(迫擊砲, {{lang|en|Mortar}})는 [[보병]]이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곡사화기]]이다. [[포탄]]을 포구로부터 장전하며 구조가 간단하고 초탄 발사속도가 빠르다. 또 다른 총포탄에 비하여 포구속도가 느리나, 다루기 용이하고 제작비용과 유지 보수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지 후방이나 참호를 효과적으로 공격할 수 있으며, 살상효과도 야포보다 우수하다.<ref>[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09081916441610371&nvr=y 육군이 똥포를 사랑하는 이유] 아시아경제 2009년 8월 19일.</ref> 소부대 단위 보병들에게 화력을 제공할 수 있는 간편한 휴대 화력지원용 무기로서 공용화기라고 불린다. 일반적으로 구경에 따라서 60 mm 미만은 경(經)박격포, 60 ~ 100 mm의 경우는 중(中)박격포, 100 mm이상은 중(重)박격포로 분류된다. 최초의 근대적인 박격포는 프랑스 브랑드(Brandt)사가 만든 60 mm 구경 박격포이고, 현재의 박격포 원형은 구 독일군의 81 mm 박격포에서 완성 되었다.
 
한국에서는 81mm와 4.2박격포를 K20001 장갑차에 탑재한 K281과 K242자주박격포를 사용한다.
줄 14 ⟶ 13:
 
== 박격포의 전술적인 가치 ==
 
평균적으로 박격포는 곡사포보다 고각(高角) 사격에 유리하여, 중간에 있는 장애물을 피해 표적을 공격하기 쉽다. 산과 구릉이 많고, 도시 지역의 경우 고층 아파트가 밀집 분포한 한국의 지리적 특성상 직사화기보다 곡사화기의 효용성이 높다. 특히 사람의 힘만으로 산 위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박격포는 더욱 중요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 박격포는 휴대용 미사일 등 보병이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공용화기가 개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앞으로도 여전히 보병들과 호흡을 함께 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은 60년대 한때 60㎜급 박격포의 사용을 중지하고 81㎜ 박격포로 교체한 적이 있다. 하지만 베트남 전쟁을 치르면서 손쉽게 운반할 수 있는 경박격포의 필요성을 절감, 과거 외국에 원조했던 60㎜급 박격포를 다시 회수한 바 있다는 점을 돌이켜 볼 때에 보병이 직접 운반 가능한 박격포는 미래 전장 환경에서도 필수적인 무기체계로 살아남을 것이다.
 
== 포병숫자 ==
 
박격포를 운용하는 데에 있어서 제원을 하달하거나 장입 등을 할 때 혼동을 피하기 위해 포병숫자를 이용한다. 포병숫자는 숫자 '1, 2, 3, 4, 5, 6, 7, 8, 9, 0'을 각각 '하나, 둘, 삼, 넷, 오, 여섯, 칠, 팔, 아홉, 공'으로, 그리고 100단위는 '백'으로 읽으며 가령 4680은 '넷 여섯 팔 공'으로, 1100은 '하나 하나 백'으로 읽는다.
 
== 대한민국 국군의 박격포 ==
=== 60mm 박격포 ===
 
현재 국군에서는 2차대전 당시 제작된 구형 60mm 박격포인 M-19(향토사단 및 해안 경비 부대 편제)와 대우정밀에서 면허생산한 신형 60mm 박격포인 KM-181(전방 사단 편제)를 혼용하고 있다. 국군에서 최초로 운용한 박격포는 1938년 미국이 개발한 60㎜ 구경의 M-2 박격포다. M-2 박격포는 48년 [[포병학교]]가 창설되면서 교육용으로 획득한 후 49년 주한미군이 철수할 당시 인수받아 [[한국전쟁]] 개전 초기에 이미 487문을 보유하고 있었다. M2를 약간 개량한 구경 60㎜ M-19 박격포도 존재하는데 기본적인 제원이나 특성은 거의 동일하다. 이 두 박격포는 70년대 중반까지 운용됐는데 그 계기는 70년대 초 번개사업에 의해 무기 국산화를 추진하면서 60㎜ 박격포의 국내 생산도 이뤄졌기 때문이다. 당시 개발된 박격포는 미제 M-19 60㎜ 박격포를 모방한 KM19다.
 
줄 43 ⟶ 39:
 
=== 4.2인치 박격포 ===
 
차량으로 운반하는 대형 연대급 화기로서 연대 직할 전투지원중대에 장비된다. 1950년 9월 미군 군사원조에 따라 M-2A1모델 436문이 야전포병에 보급됐다가 1964년부터 보병대대에서 운용됐다. 역시 베트남전 파병을 계기로 신형 M-30을 보유한 후 이를 국내에서 모방, 개발한 KM30이 야전에 배치됐다.
 
줄 49 ⟶ 44:
 
=== 차량 탑재형 박격포 ===
 
81mm와 4.2인치 박격포는 1980년대 중반 군의 보전협동작전 시 근접화력지원을 강화할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국산 K-200 장갑차를 기본 베이스로 개발된 K-281과 K-242 장갑차에 각각 탑재돼 기계화부대 작전에서 전차와 장갑차의 생존성을 높여 주는 중요한 무기체계로 운용됐다. 또 1994년부터는 스웨덴의 BV-206 궤도차량을 국내 면허생산한 K-532 전술차량에도 탑재되기 시작했다. 한편 최근에는 4.2인치 박격포가 노후화한 데다 신형 81mm 박격포보다 사거리가 짧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대사거리 연장과 함께 정밀유도탄약 운용 및 디지털 사격지휘체계를 갖춘 자주형 120mm 박격포가 군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방위사업청은 지난해 3월 차륜형 자주포와 유사한 ‘120mm 자주박격포’를 독자개발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 기타 외국의 박격포 운용 ==
 
경박격포의 경우 미국과 프랑스는 60㎜급을 영국은 주로 51㎜급을 사용한다. 러시아는 한때 50㎜급을 사용했으나 현재 60㎜급 이하의 박격포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중국은 미제 60㎜ 박격포를 복제한 박격포를 사용 중이다. 북한에서는 러시아의 영향을 받아 일반 보병들은 60㎜급 박격포를 별로 이용하지 않고 특수부대인 경보병부대에서만 60㎜ 박격포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박격포의 경우 대한민국을 비롯해 미국·영국·프랑스·일본·이스라엘 등 대부분의 국가가 중박격포로 구경 81mm급 박격포를 운용하고 있으며, 러시아 등 구공산권 국가들은 구경 82mm급 박격포를 주로 사용한다. 이는 과거 냉전 시기에 소비에트를 중심으로한 바르샤바 조약기구 회원국가에서 서방 세계의 박격포 포탄을 노획하여 사용하기 위해 1mm정도 대구경화된 박격포를 채용했다.
 
== 주석 ==
<references/>
 
== 바깥 고리 ==
{{commonscat|Mortars}}
* [http://kookbang.dema.mil.kr/kdd/CultureTypeView.jsp?writeDate=20080821&writeDateChk=20080611&menuCd=2004&menuSeq=43&kindSeq=1&menuCnt=30917 국방일보 올드앤뉴(무기체계 게시판) - 60 밀리 박격포 편]
* [http://kookbang.dema.mil.kr/kdd/CultureTypeView.jsp?writeDate=20080821&writeDateChk=20080702&menuCd=2004&menuSeq=43&kindSeq=1&menuCnt=30917 국방일보 올드앤뉴(무기체계 게시판) - 81 밀리 4.2인치 박격포 편]
 
== 주석 ==
<references/>
 
[[분류:대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