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정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Ad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인터위키 링크 2 개가 위키데이터d:q624302 항목으로 옮겨짐
Stynerk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
 
'''숙정문'''(肅靖門) 또는 '''숙청문'''(肅淸門)은 [[조선]] 시대에 건축한 [[서울 성곽]]의 4대문 중 북쪽에 있는 문으로, '북대문' 으로 부르기도 한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三淸洞) 산 2-1번지(북악산 동쪽 고갯마루)에 있다. 지금의 숙정문은 [[1976년]]에 복원한 것이다.
 
서울성곽을 이루는 사대문(四大門) 가운데 하나로, 도성의 북쪽 대문이다. [[1396년]](태조 5) 9월 도성의 나머지 삼대문과 사소문(四小門)이 준공될 때 함께 세워졌다. 원래 이름은 숙청문(肅淸門)으로, 도성 북쪽에 있는 대문이라 하여 북대문·북문 등으로도 부른다. 도성 북문이지만, 서울성곽의 나머지 문과는 달리 사람의 출입이 거의 없는 험준한 산악지역에 위치해 실질적인 성문 기능은 하지 않았다.
19번째 줄:
1504년(연산군 10)에 연산군이 원래 있던 자리에서 오른쪽으로 조금 옮기라고 명령한 기록이 보이는데, 실제로 문을 옮겼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숙청문이 숙정문으로 바뀐 시기는 정확히 알려져 있으며, 숙정문이 처음 기록에 등장하는 것은 1523년(중종 18)이다. 숙정문 외에 북정문(北靖門)이란 표현도 나오는데, 숙청문과 숙정문이 혼용되다가 뒤에 자연스럽게 숙정문으로 바뀐 것으로 추정된다.
 
[[1963년]] [[1월 21일]] 서울성곽에 포함되어 사적 제10호로 지정되었다. [[1968년]] [[1·21 사태]] 이후 [[청와대]] 경비를 위해 일반인의 접근을 금지하다가, [[2006년]] 4월부터 서쪽 성곽 0.5㎞, 북쪽의 진입로 0.6㎞ 구간과 함께 다시 일반에 개방하기로 하였다.
 
지금의 숙정문 목조 누각은 소실되었던 것을 [[1976년]]에 복원한 것이며, 현판의 글씨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쓴 것이다.
 
== 역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