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정공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Abend (토론 | 기여)
반복 링크 생략, 인선왕후에 관한 내용은 해당 문서에 동일한 내용이 존재하므로 삭제, 해당 문서가 존재하는 항목 한자 생략
66번째 줄:
=== 가계 ===
 
[[1645년]](인조 23년) [[조선]]의 제17대 [[왕]] [[조선 효종|효종]](孝宗)과 그 [[왕비]] [[인선왕후|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 張氏)의 다섯째 딸로 태어났다<ref>[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PPL_6JOb_A1645_2_0018136&curSetPos=0&curSPos=0&isEQ=true&kristalSearchArea=B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숙정공주〉]</ref>. 단 그녀의 맏언니인 [[숙신공주]](淑愼公主)가 [[1637년]](인조 15년) 3살의 나이로 요절하였기에, 일부에는 넷째 딸로 기록되어 있다<ref name="gongju">《조선왕조실록》효종 9권, 3년(1652 임진 / 청 순치(順治) 9년) 12월 22일(경신) 1번째기사</ref>. 한편 그녀가 태어나던 해 [[청나라]]에서 볼모로 있다가 [[조선]]으로 귀국한 백부 [[소현세자]](昭顯世子)가 죽고, 아버지 봉림대군이 [[왕세자]]로 책봉되었다<ref>《조선왕조실록》인조 46권, 23년(1645 을유 / 청 순치(順治) 2년) 윤6월 2일(임오) 1번째기사</ref>.
 
숙정공주의 어머니 [[인선왕후]]는 [[덕수 장씨]] [[장유]](張維)의 딸로, 남편이 [[청나라]]에 볼모로 갈 때 함께 끌려가 갖은 고생을 하였으며, 남편이 [[왕세자|세자]]가 되자 [[세자빈]]이 되고 이후 [[왕비]]에 책봉되었다. [[예송 논쟁]]의 발단이 되는 인물이기도 하다<ref>[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PPL_6JOb_A1618_2_0011220&isEQ=true&kristalSearchArea=B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인선왕후〉]</ref>.
 
=== 공주 시절 ===
 
[[1649년]](효종 즉위년) 아버지 [[조선 효종|효종]]이 즉위하고, 8살이 되던 [[1652년]](효종 3년) '''숙정공주'''(淑靜公主) 작위를 받았다봉해졌다<ref name="gongju"></ref>. 이후 12살 때인 [[1656년]](효종 7년) [[영의정]]을 지낸 [[동래 정씨]] [[정태화]](鄭太和)의 아들 [[정재륜]](鄭載崙)과 혼인하였다. 이때 정재륜은 동평위(東平尉)에 책봉되었다<ref>[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PPL_6JOb_A1648_1_0012310&isEQ=true&kristalSearchArea=B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정재륜〉]</ref>.
 
한편 [[1662년]](현종 3년) [[음력 7월]]에는 언니 [[숙안공주]](淑安公主)와 함께 [[황해도]] [[신천군|신천]](信川), [[재령군|재령]](載寧), [[평산군|평산]](平山) 등지에 있던 민간인 소유의 땅을 불법으로 갈취하여 물의를 빚기도 하였다. 당시 평산부사로 있던 [[윤겸]](尹㻩)이 두 공주의 협박에 겁을 먹은 나머지 수많은 민전(民田)을 모두 두 공주의 소유로 만들어버리는 바람에 백성들은 생업을 잃고, 그 원망의 소리가 하늘을 찔렀다고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되어 있다<ref>《조선왕조실록》현종 5권, 3년(1662 임인 / 청 강희(康熙) 1년) 7월 13일(갑신) 2번째기사</ref>.
 
=== 사망 ===
 
숙정공주는 [[1668년]](현종 9년) [[음력 5월 5일]] 24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하고 말았다사망했다. 당시 [[조선 현종|현종]](顯宗) 자신의 친동생인 숙정공주의 죽음을 매우 슬퍼하였고, 3일간 조시(朝市)를 정지하도록 하였다<ref>《조선왕조실록》현개 19권, 9년(1668 무신 / 청 강희(康熙) 7년) 5월 5일(임인) 3번째기사</ref>. 한편 숙정공주의 장례는 공주의 장례보다 규모가 조금 더 큰 대군의 장례 형식으로 진행되었다<ref>《조선왕조실록》현개 19권, 9년(1668 무신 / 청 강희(康熙) 7년) 6월 20일(정해) 2번째기사</ref>. 당시 묘소는 [[경기도]] 광주(廣州)에 마련되었다<ref>《조선왕조실록》숙종 19권, 14년(1688 무진 / 청 강희(康熙) 27년) 2월 26일(기사) 4번째기사</ref>.
 
현재 그녀의 묘소는 [[경기도]] [[군포시]] [[속달동]]에 있다<ref>[http://tour.qubi.com/ae/TR_B_05020100.jsp?sub_menu_no=2&menu_no=2&menu_no2=1&res_cd=4141-A-01087&c1=A 큐비 - 지역별 여행지 정보 〈숙정공주묘〉]</ref>. 남편 [[정재륜]]과의 사이에서 1남 1녀를 두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47342&mobile&categoryId=2970 《국조인물고》〈정태화〉]</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