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Lexus (토론 | 기여)
잔글 보충
1번째 줄:
'''산경표'''(山經表)는 [[조선 영조]] 때의 [[실학]]자인 [[신경준]]이 쓴 도표이다.도표로 [[한반도]]의 [[산맥|산줄기]]들을멧줄기의 [[분수계]]를발원지와 기준으로분포를 대간(大幹)과강물의 정간(正幹),수계를 정맥(正脈)으로따져 나타냈다가계도처럼 그림으로 표시한 것이 특징이다.
 
현재 [[1913년]] [[활자]]로 만들어진 책들이 여러 권 있다.
특히 산경표의 가치는 산줄기의 표현을 족보(族譜) 기술식으로 정리하여 어떤 유역들을 거느리며 변형되고 생성해 왔는지를 상세히 밝히고 있고 표의 기재 양식은 상단에 대간(大幹)·정맥(正脈)을 산경을 바탕으로 옆에 거리(이수(里數))를 부기해서 이를 펼치면 [[조선]]의 옛 지도에 나타난 산맥들을 산줄기와 하천 줄기를 중심으로 모든 구역의 경계가 나오도록 도표화했다는 데에 있다.
 
== 논란 ==
사실 산경표는 『산경표』의 저자와 간행 시기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다. 하지만 여러 가지 의견으로 신경준 연구가들은 여러 정황으로 미루어보아 『산경표』의 저자가 신경준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래서 시대 상황으로 미루어 보아 조선조 후기 [[조선 영조|영조]] 때의 실학파 지리학자 신경준의 『여지고』(輿地考)를 바탕으로 후대 사람이 쓴 책이라는 정도만 알려져 있기도 하다.
 
== 종류 ==
지금까지 전하는 대표적인 『산경표』의 본(本)은 세 가지, 규장각 『해동도리보』(海東道里譜) 중의 『산경표』, 장서각의 『여지편람』(與地便覽) 중의 『산경표』, 영인본으로 조선광문회 [[최남선]]이 [[1913년]]에 간행한 『산경표』가 있으나 모두 같은 내용으로 전국의 산줄기를 하나의 대간, 하나의 정간, 13개의 정맥으로 규정하고 여기에서 다시 가지쳐 뻗은 기맥을 기록하였고 모든 산맥의 연결은 자연 지명인 산 이름, 고개 이름 등을 원본대로 족보 기술식으로 정리하였다. <ref> 등산상식사전(2010.10.7, 해냄 출판) 참조 </ref>
 
전국의 산경을 바탕으로 작성된 산경표는 백두대간으로 알려진 [[한반도]]의 [[산맥|산줄기]]들을 [[분수계]]를 기준으로 대간(大幹)과 정간(正幹), 정맥(正脈)으로 나타냈다. 현재 [[1913년]] [[활자]]로 만들어진 책들이 여러 권 있다.
 
== 산줄기 이름 ==
줄 22 ⟶ 31:
* [[한국의 산맥]]
* [[분수계]]
 
== 주석 ==
<references/>
 
{{토막글|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