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잇소리 현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6번째 줄:
이런 문법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면 앞말과 뒷말이 '~의'의 의미를 가질 때 사잇소리가 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 사잇소리가 난다는 표지로 사이시옷을 표기하기도 하고, 사잇소리가 남에도 불구하고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않기도 한다.
 
== 사잇소리의 표기 : 사이시옷 ==
사잇소리가 첨가 되는 것을 나타내는 표지는'ㅅ'이다. 왜'ㅅ'으로 사잇소리 표지를 삼는지는 알 수 없지만 신라시대 향찰 표기에서 관형격, 속격의 뜻을 나타내는 叱이 쓰인 것과 관련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어쨌든 형태소와 형태소 사이에 음이 첨가되는 것을 나타내는 표지로 쓰이는 'ㅅ'을 사이시옷이라고 한다.
 
하지만 사잇소리가 난다고 해서 모든 경우에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 것은 아니다. 사잇소리 중 [ㄴ]소리가 첨가된 것은 어떠한 경우에도 사이시옷을 받쳐 적지 않는다. 사이시옷을 적는 대상은 [ㅅ]소리가 첨가된 것 중 일부이다.
 
1. [ㄴ]소리의 첨가 : 사이시옷을 적지 않음.
솜이불[솜니불], 담요[담뇨], 맨입[맨닙], 집안일[지반닐] 에서 알 수 있듯이 [ㄴ]소리가 첨가되는 경우는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이기 때문에 [ㄴ]소리가 첨가되더라도 어떠한 경우에도 사이시옷을 받쳐 적지 않는다.
 
표준어규정을 비롯한 많은 설명에서 '콧날[콘날]' 같은 예들을 [ㄴ]첨가의 예로 다루거나, 다루고 있는 듯한 인상을 주는데 이것은 잘못이다. '콧날'은 '코+날->코+ㅅ+날->코+ㄷ+날(음절의 끝소리 규칙)->콘날(비음화)'의 과정을 거친다. 결과적으로 '코날'이 [콘날]로 발음되었으니 [ㄴ]첨가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이 현상의 본질은 [ㅅ]이 첨가된 뒤에 음절의 끝소리 규칙, 비음화를 겪은 후에 [ㄴ]소리가 나게 됐다는 것이다. [ㄴ]소리가 나는 것과 [ㄴ]이 첨가된 것은 엄연히 다르므로, 이와 같은 현상들은 아래 항목인 [ㅅ]첨가에서 다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2. [ㅅ]소리의 첨가: 사이시옷을 적기도 하고, 적지 않기도 함.
 
1) 사이시옷을 적는 경우
사이시옷을 적으려면 '사잇소리가 나면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앞말과 뒷말 중 최소한 하나는 순우리말일 것'이라는 세 가지 전제 조건을 모두 만족시켜야 한다. 그래서 '코+날(순+순), 귀+병(순+한), 양치+물(한+순)'같은 단어들은 모두 이 조건을 만족하므로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다. 사이시옷을 적음으로써 [ㅅ]소리가 첨가된 것을 나타냈지만, 음운변동의 최종 결과물은 사뭇 다르다. '코+ㅅ+날->콛날(음절의 끝소리규칙)->콘날(비음화)'의 과정을 겪기도 하고, '귀+ㅅ+병->귇병(음절의 끝소리규칙)->귇뼝(ㄷ소리 뒤 된소리되기)'의 과정을 겪거나, '양치+ㅅ+물->양칟물(음절의 끝소리규칙)->양친물(비음화)'의 과정을 겪기도 한다. 음운변동의 최종 결과물은 이와 같이 판이하게 다르지만 그것은 [ㅅ]음이 첨가된 이후의 일이므로, 이들 현상이 사잇소리 현상이라는 큰 범주 안에 들어간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단, '사잇소리가 나면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앞말과 뒷말 모두 한자어인 6단어'는 사이시옷을 적어준다.
'셋방, 숫자, 횟수, 곳간, 찻간, 툇간'은 앞말과 뒷말 모두 한자어이지만 예외적으로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다. 이 외에 예외는 인정하지 않는다.
 
2) 사이시옷을 적지 않는 경우
- 사잇소리가 나지 않으면 사이시옷을 적지 않는다: 국어에는 '고래기름, 기와집, 머리말, 인사말, 김밥'처럼 사잇소리가 나서[고랟끼름, 기왇찝, 머린말, 인산말,김빱]처럼 발음해야 하는 환경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래기름, 기와집, 머리말, 인사말, 김밥]으로 발음하는 예외적 단어들이 있다. 이 단어들은 사잇소리가 나지 않았으므로 당연히 사이시옷도 적지 않는다.
 
- 사잇소리가 나더라도,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면 사이시옷을 적지 않는다: 강가[강까], 물가[물까] 같은 단어들은 사잇소리[ㅅ]이 첨가된 덕에 된소리되기가 일어났으므로, 사이시옷을 적어주어야 마땅하다. 하지만 앞말이 자음으로 끝남으로써 사이시옷을 적을 곳이 없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받쳐적지 않는다.
 
- 사잇소리가 나고,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더라도, 한자어끼리 결합된 말은 사이시옷을 적지 않는다: 주가(株價)[주까]는 '줏가'라고 적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앞말과 뒷말 모두 한자어이므로 사이시옷을 적지 않는다.
 
[[대한민국]] [[표준어]]에서는 고유어가 포함된 결합의 경우와 일부 한자어 사이의 결합에서 두 단어 사이에 [[ㅅ]](사이시옷)을 적어 표기한다.<ref>[[한글 맞춤법]], [[:s:한글 맞춤법 (1988)|문교부 고시 제88-1호]], 제30항.</ref> 단 한자어 사이에서의 결합에서는 뒤에 오는 단어의 첫소리가 사잇소리로 발음하지 않을 수도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화어]]에서는 사잇소리를 발음하되 표기에 반영하지는 않는다. 이는 [[조선어 신철자법]]에서 "절음부"로, [[조선어 철자법]]에서는 "사이표"로 표기했던 것을 [[조선말 규법집]]에서 없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