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치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exus (토론 | 기여)
Lexus (토론 | 기여)
35번째 줄:
 
== 전해오는 이야기 ==
{{인용문|[[신라]] 말의 문장가이자 학자인 [[경주]] 사량부의 사람,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은 이렇게 말하였다고 전해온다.
매월당 [[김시습]]은 [[신라]] [[내물왕]](17대) ∼ [[눌지왕]](19대) 때 충신 [[박제상]](朴堤上)이 쓴 부도지를 부활시킨 장본인으로 알려져 있다. '징심록(澄心錄)' 15지(誌)와 [[박제상]]의 아들인 백결선생이 보탠 '금척지(金尺誌)'와 김시습이 보탠 '징심록추기' 등 총 17지(책)를 전하고 있는데 [[부도지]]는 징심록의 제1지에 있다고 전해진다.
<br><br>
“진한(辰韓)은 본래 연(燕)나라 사람들이 피난해 온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탁수(涿水)의 이름을 따서 거처하는 마을을 사탁(沙涿)이나 점탁(漸涿) 등으로 불렀다.” 신라인들의 방언에 탁(涿)을 읽을 때 도(道)라고 했다. 그래서 지금도 혹 사량(沙梁)이라고 쓰고, 량(粱)을 도(道)라고 읽었다. <ref name="조선연나라">단군조선이 멸망하면서 72국으로 흩어져 살았다는 《삼국유사》(三國遺事, 第一卷, 제1기이(第一紀異) 72국(七十二國), 조선의 유민들이 70여 국으로 나뉘다)의 기록과 후한서(後漢書)에 이르기를 서한(西漢)은 조선의 옛 지역에 처음에는 4군을 두었다가 뒤에는 2부를 두었는데, 법령이 점차 번거로워지면서 갈라져 78국으로 나뉘고 각각 1만 호씩이다라고 하였다는 기록에 의거 연나라에 살던 단군조선의 유민으로 추정된다.</ref>
<br><br>
《[[삼국유사]]》에 전하길 옛날 진한(辰韓)의 땅에는 6촌(六村)이 있었다.
<br><br>
첫째는 알천(閼川) 양산촌(楊山村)인데, 남쪽은 지금의 담엄사(曇嚴寺)이다. (촌)장은 알평(謁平)이다. 처음에 표암봉(瓢嵓峰)으로 내려오니, 급량부(及梁部) 이씨(李氏)의 조상이 되었다. (노례왕(弩禮王) 9년(32)<ref name="노례왕">《삼국사기》 <신라본기>의 기록으로 여기서 노례왕(弩禮王)은 신라 제3대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 신라 유리왕)을 가리킨다. </ref>에 두어져, 급량부(及梁部)라고 하였는데, 본조(고려) 태조 천복(天福) 5년 경자(庚子, 940)에 중흥부(中興部)라고 이름을 고쳤다. 파잠(波潛)․동산(東山)․피상(彼上)․동촌(東村)이 속한다)
<br><br>
둘째는 돌산(突山) 고허촌(高墟村)인데, (촌)장은 소벌도리(蘇伐都利)이다. 처음에 형산(兄山)으로 내려오니, 사량부(沙梁部)(량(梁)은 도(道)라고 읽는다. 혹은 탁(涿)이라고 쓰는데, 역시 도(道)라고 읽는다<ref name="조선연나라"/>) 정씨(鄭氏)의 조상이 되었다. 지금은 남산부(南山部)라고 하는데, 구량벌(仇良伐)․마등오(麻等烏․도북(道北)․회덕(廻德) 등 남촌(南村)이 이에 속한다.(지금이라고 한 것은 고려 태조때 설치한 기준이다. 아래의 예도 이와 같다<ref name="삼국유사기록">《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기록이 고려시대에 편찬한 사서(史書)이므로 고려 태조때 설치한 기준을 따른다는 의미로 해석된다.</ref>)
<br><br>
셋째는 무산(茂山) 대수촌(大樹村)인데, (촌)장은 구례마(俱禮馬)이다.(구(仇)라고도 쓴다) 처음에 이산(伊山)으로 내려오니(계비산(皆比山)이라도 한다), 점량(漸梁)(탁(涿)이라고도 한다)부(部) 또는 모량부(牟梁部) 손씨(孫氏)의 조상이 되었다. 지금은 장복부(長福部)라고 하는데, 박곡촌(朴谷村) 등 서촌(西村)이 이에 속한다.
<br><br>
넷째는 취산(觜山) 진지촌(珍支村)(빈지(賓之) 또는 빈자(賓子) 또는 빙지(氷之)라도 쓴다)인데, (촌)장은 지백호(智伯虎)이다. 처음에 화산(花山)으로 내려오니, 본피부(本彼部) 최씨(崔氏)의 조상이 되었다. 지금은 통선부(通仙部)라 하는데, 시파(柴巴) 등 동남촌(東南村)이 이에 속한다. (최)치원(致遠)은 본피부 사람이다. 지금 황룡사(皇龍寺) 남쪽에 있는 미탄사(味呑寺)남쪽에 옛 터가 있는데, 이것이 최후(崔侯, 최치원)의 옛 집이라고 하는 것은 거의 분명하다.
<br><br>
다섯째 금산(金山) 가리촌(加里村)(지금 금강산(金剛山) 백률사(栢栗寺)의 북쪽 산이다)인데, (촌)장은 기타(祗沱)(지타(只他)이라고도 한다)이다. 처음에 명활산(明活山)으로 내려오니, 한기부(漢歧部) 또는 한기부(韓歧部) 배씨(裵氏)의 조상이 되었다. 지금은 가덕부(加德部)라고 하는데, 상서지(上西知)․하서지(下西知)․내아(乃兒) 등 동촌(東村)이 이에 속한다.
<br><br>
여섯째는 명활산(明活山) 고야촌(高耶村)인데, (촌)장은 호진(虎珍)이다. 처음에 금상산(金剛山)으로 내려오니, 습비부(習比部) 설씨(薛氏)의 조상이 되었다. 지금의 임천부(臨川部)인데, 물이촌(勿伊村)․잉구미촌(仍仇旀村)․궐곡(闕谷)(갈곡(葛谷)이라고도 한다) 등 동북촌(東北村)이 이에 속한다. 위의 글을 살펴보면, 이 육부(六部)의 조상은 모두 하늘로부터 내려온 것 같다. 노례왕(弩禮王) 9년<ref name="노례왕"/>에 비로소 육부의 이름을 고치고, 또한 여섯 성(姓)을 주었다.<ref name="삼국유사기록"/>
}}
 
한편 매월당 [[김시습]]은 [[신라]] [[내물왕]](17대) ∼ [[눌지왕]](19대) 때 충신 [[박제상]](朴堤上)이 쓴 부도지를 부활시킨 장본인으로 알려져 있다. '징심록(澄心錄)' 15지(誌)와 [[박제상]]의 아들인 백결선생이 보탠 '금척지(金尺誌)'와 김시습이 보탠 '징심록추기' 등 총 17지(책)를 전하고 있는데 [[부도지]]는 징심록의 제1지에 있다고 전해진다.
 
상고사에 대한 저서 중의 하나인 ‘[[부도지]](符都誌)’ 중 ‘징심록 추기’편에서 [[김시습]]은 금척(金尺, 금으로 된 자)이 천부경(天符經)이라는 사상적 배경과, 첫 건국의 바탕이라는 역사적 유래를 갖추고 있는 신비로운 사물이라는 것을 누누이 밝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