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화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exus (토론 | 기여)
Lexus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파일:Volcano step introduce.png|right|thumb|제주도 [[화산|화산 활동]]의 과정]]
'''측화산'''(側火山)은 [[제주도]] 지역에서 산같은 혹은언덕을 '''오름'''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러한 오름은화산의[[화산]]의 주 [[분화구]] 등성이에 생기는 작은 화산을 뜻하며, 주 분화구가[[화구|분화구]]가 분출을 끝낸 뒤 [[화산]] 기저에 있는 [[마그마]]가 약한 지반을 뚫고 나와 주변에서 분출되어 생성된 것이다. '''기생 화산'''이라고도 한다.
 
'''오름'''은 측화산을 뜻하는 [[제주 방언]]으로서 일반적으로 [[제주도]]의 측화산을 부를 때 쓰인다. 제주도에는[[제주도]]에는 약 360여개의 오름이 알려져 있다.
 
== 형성 과정 ==
<small>(한라산 및 제주도의 전반적인 형성과정은 [[제주도]] 항목을 참조하기 바란다.)</small>
</br>측화산의 형성은 오른쪽 그림 중 후반인 5 단계와 6 단계에 해당한다.
* 오른쪽 그림의 4 단계 까지 활동하던 주 분화구가[[화구|분화구]]가 식어 마그마의[[마그마]]의 분출이 막힌다.
* 분출이 막힌 마그마는[[마그마]]는 아직까지 남아있는 열에너지에 의해 팽창되며 압력이 높아진다.
* 높은 압력에 의해 오른쪽 그림의 5 단계에서처럼 주 [[화구|분화구]] 주변의 약한 지반을 뚫고 마그마가[[마그마]]가 분출한다.
* 오른쪽 그림의 6 단계에 이르면 마그마의[[마그마]]의 대부분이 식어 버리게 되어 [[화산]] 활동이 끝난다.
* 보통 화산활동이 끝나고 남은 봉우리의 형성원인에 따라 칼데라와 [[화구]]로 나뉘어 지는데 화산의[[화산]]의 내부 밀도가 충분히 낮지 않아 붕괴하지 않으면 화구가 생성되고 화산의 내부 밀도가 낮아져 붕괴가 일어나 화산의 주 분화구가[[화구|분화구]]가 함몰되면 [[칼데라 지형]] 지형을 형성한다. 한라산의[[한라산]]의 경우는 [[화구]]인 [[백록담]]이 형성되었다. 한반도에서[[한반도]]에서 대표적인 [[칼데라 지형]]으로는 지형으로는 [[백두산]] 천지가[[천지]]가 있다.
 
== 오름의 종류 ==
* 마그마의 성분에 따라 폭발이 커지게 되면 [[산굼부리]]와 같이 낮지만 커다란 분화구를 갖는 오름이 형성된다.
* 해안에서 솟아오른 오름은 [[일출봉]]과 같이 한 면만 제주도와 연결된 모습을 띠기도 하고 [[우도]]나 [[차귀도]], [[비양도]]와 같이 제주도 주변의 섬이 되기도 하였다.
* [[송악산 (제주)|송악산]]은 시차를 두고 연속으로 분화하여 이중의 분화구를[[화구|분화구]]를 갖는 특이한 모양새를 지니게 되었다.
* [[산방산]]은 바다에서 오름이 형성된 후 융기과정을 거쳐 산 중턱에 [[파식 동굴]]인 [[산방굴]]과 해안가에 [[퇴적 지형]]인 [[용머리 해안]]이 형성 되는 독특한 모습을 띠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