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성 (기독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라틴 전례]] 양식 [[미사]] 경문에는 [[성모 마리아]]와 함께 오직 순교자들의 이름만이 언급되며, 1962년 이후부터는 [[성 요셉]]도 언급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4세기에 접어들면서 순교만이 아니라 말과 행동을 통해 자신의 신앙을 고백한 이들도 사후 민중의 공경을 받기 시작했다. 동방의 [[힐라리온|성 힐라리온]]과 [[시리아의 에프렘|성 에프렘]], 서방의 [[투르의 마르티노|성 마르티노]]와 [[푸아티에의 힐라리오|성 힐라리오]] 등이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이들의 이름은 디프티카(2연판)에 목록으로 나열되는 형식으로 새겨졌으며, 이 명단에 있는 성인들은 공개적으로 전례 중에 공경을 받았다. 또한 이들의 무덤은 순교자들의 무덤과 같은 영광을 받았다. 그들이 살았던 삶은 순교자들의 삶만큼나 자세하게 알려져 있지 않았기 때문에 지역 [[주교]]의 승인을 받은 경우에만 공적으로 공경받을 수가 있었다. 이를 이따금씩 ‘지역 시성’이라고 부르곤 하였다.<ref>For the history of canonization, see Kemp, Canonization and Authority in the Western Church,</ref>
 
이러한 승인을 받기 위해서는 보통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순교자 같은 조건이 필요하였다. [[옵타토|성 옵타토]]는 [[카르타고]]에서 루칠라라는 이름의 한 기독교도 기혼 여성이 아직 법적으로 생전에 겪은 수난이 완전히 증명되지 않은 한 유명한 순교자의 유해에 존경의 의미로 입맞추는 행위를 하자 교회로부터 심한 질책을 받았다고 증언하였다. [[성 치프리아노]]는 신앙을 지키다가 순교했다고 전해지는 이들을 조사할 때 최대한 성실하고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권고하였다. 그리하여 전체 교회 차원에서 순교했다고 전해진 이들에 대한 모든 조사가 대대적으로 재개되었다. 특히 그들의 신앙과 죽음의 위협을 무릅쓰게 된 동기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이루어졌는데, 이는 자격이 미달인 사람을 순교자로 인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였다. 순교했다고 전해진 이들의 생애에 대한 자료는 주로 그들에 대한 법정 재판 기록이나 당시 법정을 참관했던 이들의 증언을 토대로 수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