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학 (1856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Koreabank (토론 | 기여)
Koreabank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21번째 줄:
'''정재학'''( 鄭在學, 1858~1940)은 [[대한민국]] [[금융업계]]에 거대한 족적을 남긴 [[민족자본은행]]의 [[개척자]]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은행산업의 대부다 . <ref> 고승제, <<끝없는 도전 세기의 기업-기업가 이야기>> (한국경제신문, 1991), 제7편 2. 정재학/은행업의 개척자 p.351~367 </ref> <ref> 매일경제 1982년 12월 8일~19일 9면 "재계산맥 대구은행 1~19편" </ref> 조선 말기부터 일제 치하에서는 [[은행]] 경영진들이 [[관료]]나 [[왕실]] 지방 토호 가운데에서 배출됐지만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맨주먹으로 일군 자금으로 55세 무렵 [[은행장]]에 오른 경우는 그가 유일하다. <ref> 고승제, <<끝없는 도전 세기의 기업-기업가 이야기>> (한국경제신문, 1991), 제7편 2. 정재학/은행업의 개척자 p.351~363 </ref> <ref> 서광운, <<한국금융백년 >> (창조사, 1970) p667~670 </ref>
 
그는 일제 치하에서 갖은 방해와 공작을 딛고 1913년부터 1944년까지1940년까지 [[대구은행]] (1928년 이후 [[경상합동은행]]) 최대주주로서 [[은행장]] 자리를 지켰다. <ref> 경향신문 1981년 6월 15일 9면 일제하 금융인 </ref> <ref> 고승제, <<끝없는 도전 세기의 기업-기업가 이야기>> (한국경제신문, 1991), 제7편 2. 정재학/은행업의 개척자 p.351~363 </ref>
 
31년27년 간 이어진 그의 은행경영 노하우는 아들과 손자에게 넘겨졌다. 숱한 합병 과정을 거치면서 [[민족계은행]] 자본의 총집결지였던 [[조흥은행]]에서 같은 가문의 한국인 행장을 두 명이나 배출했다. 5대 [[정종원]] 행장과 해방 후 첫 한국인 행장에 오른 2대 [[정운용]] 행장이 각각 그의 3남이고 장손이다. [[정재학]]이 [[대구은행]]과 [[경상합동은행]]에 투입한 민족자본은 정씨 가문 지분으로 상속되면서 고스란히 [[조흥은행]]에 남겨졌다. <ref> <<조흥은행 90년사>>, (조흥은행, 1987), p.83~87 </ref> <ref> <<조흥은행 90년사>>, (조흥은행, 1987) p.412~431쪽 역대임원 </ref> <ref> <<대구사회비평 2003년 7~8월 통권 10호>> (문예미학사, 2003 ) http://hrznnzrh.blog.me/60033398980
대구 근대 100년 대구 거부실록 정재학가 </ref> <ref> 서광운, << 한국금융백년>> (창조사, 1970) p.684 조흥은행 계보도 </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