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쿠가와 이에나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존재하지 않는 블로그 링크 삭제. 출처 필요.
Lovedlxmr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출처 필요|날짜=2013-08-09}}
{{쇼군 정보
|이름=도쿠가와토쿠가와 이에나리
|그림=Tokugawa_Ienari.jpg|right|thumb|200px|
|오오쿠=[[고다이인 (1773년)|고노에코노에 다다코타다코]]
|재임=[[1787년]] ~ [[1837년]]
|이전 쇼군=[[도쿠가와토쿠가와 이에하루]]
|다음 쇼군=[[도쿠가와토쿠가와 이에요시]]
|목록=[[도쿠가와토쿠가와 쇼군]]
}}
'''도쿠가와토쿠가와 이에나리'''(徳川家斉, [[1773년]] [[11월 18일]] ~ [[1841년]] [[3월 22일]])는 일본 에도막부의 제11대 쇼군이다.
 
[[고산쿄]]에 속하는 히토쓰바시가히토츠바시가 2대 당주 도쿠가와토쿠가와 하루사다(徳川治済)의 장자이며, 어머니는 그의 측실인 於富(慈徳院)이다. 아명은 도요치요토요치요(豊千代). 제8대 쇼군 [[도쿠가와토쿠가와 요시무네]]의 증손으로 [[도쿠가와토쿠가와 이에하루]]의 양자가 되어 쇼군직을 계승했다. 정실인 [[고다이인 (1773년)|고노에코노에 타다코]](고노에코노에 쓰네히로의츠네히로의 양녀, 친부는 [[시마즈 시게히데]])와 다수의 측실 사이에서 55명이 넘는 자식을 두었다.
 
== 일생 ==
=== 유년기 및 쇼군 취임 ===
[[안에이]] 2년([[1773년]])[[10월 5일]], 히토쓰바시히토츠바시 당주 하루사다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안에이]] 8년([[1779년]]) 제10대 쇼군 [[도쿠가와토쿠가와 이에하루]]의 아들이 갑자기 죽자 [[덴메이]] 1년([[1781년]]) 쇼군의 양자가 되어 이에나리로 개명하였다. [[덴메이]] 7년([[1787년]]) 15세의 나이로 제11대 쇼군으로 취임하였다. 당시의 권신이었던 [[다누마타누마 오키쓰구]]를 파면하고 [[시라카와 번]]의 명군으로 불렸던 [[마쓰다이라마츠다이라 사다노부]]를 [[고산케]]의 추천을 받아 [[로주]] 상석으로 임명했다.<ref> 사다노부의 기용 배경으로는 미성년인 쇼군 대신 차기 쇼군후보로도 생각되던 마쓰다이라마츠다이라 사다노부를 내세워서 이에나리의 성장을 기다리기 위한 [[고산케]] 측의 의도가 있었다고 한다.</ref>
=== [[간세이 개혁]] ===
[[마쓰다이라마츠다이라 사다노부]]가 주도한 [[간세이]]의 개혁은 막부 재정의 재건을 도모하기 위한 적극적인 정책이었지만, 지나친 엄격함으로 인해 막부내에서도 이에 대한 비판이 일어나기 시작, [[존호사건]] <ref> 조정에서는 1779년에 고모모조노 천황이 아들을 남기지 않은 채로 사망하자, 스케히토의 제6남인 도모히토를토모히토를 즉위시켰다. 코우카쿠 천황(光格天皇)이다. 아버지인 스케히토 친왕의 궁중에서의 지위가 대신보다도 낮았기 때문에, 태상천황의 존호를 올리려고 했으나 막부의 노중, 마쓰다이라마츠다이라 사다노부 등이 반대하여 결국 올리지 못했다. 이를 존호사건이라 한다. 1884년에 메이지 천황이 고조부인 스케히토에게 케이코우 천황(慶光天皇)이라는 시호와 ‘태상천황’의 존호를 올렸다. 메이지 시대 이후 태상천황 제도가 폐지되면서 다시 ‘케이코우인(慶光院)’으로 칭해졌다.</ref>
<ref>[[고카쿠 천황]]이 친아버지에게 태상천황의 존호를 부여하려 하자 막부 측에서 반대한 사건이다. 이것은 쇼군 이에나리가 생부에게 오고쇼(大御所 : 은퇴한 쇼군)의 호칭을 부여하려한 것과 연계되어 쇼군과 사다노부 사이의 대립을 불러왔다. </ref>을 계기로 쇼군과 사다노부와의 대립이 심해지면서 결국 [[간세이]] 5년([[1793년]])7월 사다노부를 파면하게 된다.
 
=== 중진 시대 ===
[[마쓰다이라마츠다이라 사다노부]]의 실각 이후 [[마쓰다이라마츠다이라 노부아키라]]를 [[로주]] 상석에 임명하였지만, [[분카]] 14년([[1817년]]) 노부아키라가 병사한 후 [[로주]] 상석이 된 [[미즈노 다다아키라타다아키라]]가 뇌물 수수를 묵인하고, 쇼군 역시 사치로운 생활을 자제하지 못한 관계로 막부 재정의 파탄 및 정치 기강의 해이가 일어나게 되었다. 다다이키라는타다이키라는 재정 재건을 위해 신화폐 발행, 8회에 이르는 통화 증가를 실행했지만 오히려 물가 상승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게 되었다. [[1834년]] 다다이키라가타다이키라가 사망하자 [[미즈노 다다쿠니타다쿠니]]가 [[로주]] 상석을 계승하였지만, 실권은 이에나리의 측근들이 장악하였다. 정치적인 부패가 심해지자, 각 지방에서는 막부에 대한 불만이 생겨나게 되고 [[1837년]] 2월 [[오사카 부|오사카]]에서 일어난 [[오시오 헤이하치로의 란]]을 시작으로 반란이 잇달아 일어나 점점 막부 체제가 붕괴되는 조짐을 보이게 된다. 또한 [[모리슨호 사건]] 등이 일어나 해안 방비에 대한 불안도 역시 높아졌던 시기이기도 했다.
 
=== 만년 및 최후 ===
[[덴포]] 8년 ([[1837년]]) 4월에 아들 [[도쿠가와토쿠가와 이에요시]]에게 쇼군직을 양보하였지만, 정치적 실권은 그대로 쥐고 있었다. 만년에는 로주 마나베 아키카쓰아키카츠, [[홋타 마사요시]], [[다누마타누마 오키마사]] 등을 중용하였다. [[덴포]] 12년([[1841년]]) 1월 7일에 향년 69세로 사망했다.
 
이와 같이 온갖 영화를 누린 삶이었지만, 그가 숨을 거두었을때는 누구 하나 알아챈 사람이 없어 주치의인 요시다 세이보우치가 그 책임을 지고 처벌을 받았다고 한다.
34번째 줄:
{{전임후임|
대수=11|
직책=[[도쿠가와토쿠가와 쇼군]]|
전임자=[[도쿠가와토쿠가와 이에하루]]|
임기= [[1787년]] - [[1837년]]|
후임자=[[도쿠가와토쿠가와 이에요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