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 형식: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67번째 줄:
이다. 이에 따라 부피 형식의 노름은 1이다.
:<math>\langle\omega,\omega\rangle=\frac1{n!}(\det g)\epsilon_{i_1\dots i_n}\epsilon_{j_1\dots j_n}g^{i_1j_1}\dots g^{i_nj_n}=1</math>.
 
== 호지 쌍대 ==
{{본문|호지 쌍대}}
<math>n</math>차원 [[유향다양체|유향]] (유사) [[리만 다양체]] <math>(M,g,\omega)</math>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호지 쌍대''' 연산자를 정의할 수 있다.
:<math>*\colon\Omega^\bullet(M)\to\Omega^{n-\bullet}(M)</math>
이는 다음 항등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math>\alpha\wedge*\beta=\langle\alpha,\beta\rangle\omega</math>
성분으로 쓰면 다음과 같다.
:<math>(*A)_{j_{k+1}\dots j_n}=\frac1{k!}\sqrt{|\det g|}\alpha_{i_1\dots i_k}\epsilon_{j_1\dots j_n}g^{i_1j_1}\cdots g^{i_kj_k}</math>
예를 들어, 4차원 공간에서 2차 미분 형식의 호지 쌍대는
:<math>(*A)_{kl}=\frac12\sqrt{|\det g|}\epsilon_{ijkl}A_{i'j'}g^{ii'}g^{jj'}</math>
이다.
 
== 참고 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