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6번째 줄:
 
도덕은 때때로 도덕적 영역에 대한 체계적인 철학적 연구인 [[윤리학]]의 동의어로 사용된다.<ref>[http://www.philosophyblog.com.au/ethics-vs-morality-the-distinction-between-ethics-and-morals/ 윤리학 vs 도덕- 윤리학과 도덕성의 구분(Ethics vs morality - the distinction between ethics and morals)<!-- Bot generated title -->]</ref>[[윤리학]]은 도덕적 결과가 어떻게 특정한 상황에서 성취될 수 있는지(응용윤리학), 도덕적 가치들이 어떻게 결정되는지(규범윤리학), 무엇이 사람들을 실제로 도덕적 규범들에 따르게 하는지(기술윤리학), 어떤 목적적 정당화를 포함하는, 윤리학과 도덕성의 근본적인 본질은 무엇인지(분석윤리학 또는 메타윤리학), 도덕적 수용력과 도덕적 힘은 어떻게 발달하고 그것의 본성은 무엇인지(도덕 심리학)와 같은 질문들을 던지고 고민한다.<ref>[http://www.iep.utm.edu/e/ethics.htm 윤리학(Ethics) 철학, 인터넷 백과사전[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93;<!-- Bot generated title -->]</ref>예를 들면 응용윤리학에서, 사람의 생명을 해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은, 주요한 형벌, 실패, 그리고 권리 침해의 싸움의 관점에서 논쟁적이다. 규범윤리학에서 전형적인 질문은 누군가를 위험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하는 거짓말이 정당화 될 수 있는가 일 것이다. 분석윤리학에서는, 주요한 주제가 '올바름' 또는 '잘못' 같은 말의 뜻이다. 도덕적 사실주의는 객관적인 도덕적 사실을 보도하는 진실한 도덕적 언급이 있다고 본다. 반면에 도덕적 반-사실주의는 도덕이 사회학에서 언급되는 규범(norm)으로부터 유래되었다고 생각한다. 문화상대론자는 특정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행하여지는 것이 도덕이라고 말한다. 신적 명령 이론(divine command theory)에 따르면, 도덕은 신의 명령이다. 정서주의(emotivism)에서는 도덕이 단지 말하는 사람이 지닌 감정의 표현이라고 여긴다.철학에서 언급되는 규범적인(prescriptive philosophy) 입장에서는 도덕을 암묵적인 명령이라고 본다. 도덕적 허무주의(Moral nihilism)는 오류 이론(error theory)을 주장하는데, 객관적인 도덕적 사실이란 거짓으로 만든 전제라고 생각한다. 일부 사상가는 옳은 행동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정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그들은 도덕이 오직 특정한 상황에 따라 판단해야 하는 문제라고 보았고, 그것은 특정한 신념 체계와 사회-역사적인 맥락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입장이 [[도덕적 상대주의]]이며, 자주 인류학으로부터 이 입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경험적 증거들을 인용하곤 한다.<ref>[http://plato.stanford.edu/entries/moral-relativism/ 도덕적 상대주의(Moral Relativism) (스탠퍼드 사전 철학 항목)<!-- Bot generated title -->]</ref> 이와 반대되는 견해는 보편적이고 영원한 도덕적 진리가 있다는 것으로, 도덕적 절대주의라고 불린다. [[도덕적 절대주의|도덕적 절대주의자]]는 우리가 의미있는 도덕적 결정을 내릴 때 사회적인 동조(conformity)의 힘이 작용한다는 사실을 아마도 인정할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문화적 규범(norm)과 규약(convention)이 도덕적으로 옳은 행동의 범위를 한정한다는 것은 인정하지 않을 것이다.
 
== 도덕적 권위의 원천으로서의 종교 ==
종교적인 신념체계는 항상 신의 뜻에 대한 생각과 신의 판단(종말의 심판)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며, 항상 도덕적 행동의 규례와 일치한다. 예를 들어 기독교의 구약성서에 등장하는 십계명은, "살인하지 말라"(출애굽기20:13)와 같이 절대적이고 무조건적인 명령들을 담고 있다. 어떠한 처벌 규정도 없이, 보편적이고 원칙적인 형식으로 인간에게 무조건적인 요구를 하는 '윤리'인 것이다. 십계명은 유일신과 그를 섬기는 공동체
 
== 인류학적 관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