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숙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34번째 줄:
 
==이숙생==
 
==이숙생: 이숙과와 동의어==
 
'''이숙생'''(異熟生)은 [[이숙인]](異熟因)으로 인해 그 결과로 생겨난 것을 말한다. 이 경우 [[이숙생]]은 [[이숙과]](異熟果)와 동의어이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7%95%B0%E7%86%9F%E7%94%9F&rowno=1 異熟生(이숙생)]". 2013년 4월 5일에 확인|quote=<br>"異熟生(이숙생):
<br>[1] 이숙인(異熟因)으로 생긴 것. 〓이숙과.
<br>[2] 이숙으로부터 생긴 것. 이는 『유식론』에서 제8식을 이숙, 또는 진이숙(眞異熟)이라 함에 대하여, 제8식으로부터 생긴 제6식의 이숙과(果)인 부귀(富貴)ㆍ현우(賢愚)ㆍ미추(美醜) 등을 이숙생이라 함."}}
 
===이숙생: 별보로서의 이숙생===
 
'''이숙생'''(異熟生)은 [[이숙 (불교)|이숙]](異熟) 즉 [[제8아뢰야식]]으로부터 생겨난 것을 말한다. [[유식학]]에 따르면 [[제8아뢰야식]]은 선악업의 총 결과로서의 [[이숙과]], 즉 [[이숙인]](異熟因)의 총체로부터 생겨난 총체적 결과 또는 과보 즉 '''총보'''(總報)인데, 특별히 [[제8아뢰야식]]이라는 총보로서의 [[이숙과]]를 '''이숙'''(異熟) 또는 '''진이숙'''(眞異熟) 즉 '''진정한 이숙''' 또는 '''참다운 이숙'''이라 하고, [[제8아뢰야식]]으로부터 생겨난 '''[[제6의식]]의 [[이숙과]]''', 즉 부귀와 가난, 현명함과 어리석음, 잘생기고 못생김 등의 '''별보'''(別報)로서의 과보를 [[이숙생]]이라 한다. 즉 [[이숙생]]은 [[제6의식]]의 갖가지 고락(苦樂) 즉 각종의 [[고수 (3수)|피하고 싶은 것]]과 [[낙수 (3수)|가지고 싶은 것]]들을 말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7%95%B0%E7%86%9F%E7%94%9F&rowno=1 異熟生(이숙생)]". 2013년 4월 5일에 확인}}{{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35286/%E7%95%B0%E7%86%9F%E6%9E%9C 異熟果]". 2013년 4월 5일에 확인|quote=<br>"異熟果:
yì shóuguŏ
<br style="margin-bottom: 10px">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br>解釋:
Fruit ripening differently, i.e. in another incarnation, or life, e.g. the condition of the eye and other organs now resulting from specific sins or otherwise in previous existence.
<br style="margin-bottom: 10px">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br>解釋:
五果之一。見五果條。
<br style="margin-bottom: 10px">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br>解釋:
謂諸眾生現世作不善業,則招來世惡趣之果。若作有漏善業,則招來世善趣之果。以其異世成熟,是名異熟果。(不善法者,殺、盜、婬、妄也。惡趣者,修羅、餓鬼、畜生、地獄也。有漏善法者,漏即三界之惑,雖修人天之善,未能斷惑故也。善趣者,人、天二道也。)
<br style="margin-bottom: 10px">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br>解釋:
<br>異熟果者,謂果報異時成熟,即第八識也。以此識能含藏一切諸法種子,而成熟諸根識之果也。如眼等諸根,由昔作善惡之因,今報得苦樂之果。若今作善惡之因,亦感當來苦樂之果,是名異熟果。(諸根者,即眼耳鼻舌身意六根也。)
<br style="margin-bottom: 10px">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br>解釋:
<br>瑜伽九卷一頁云:與異熟果者:謂於殺生,親近,修習,多修習故;於那洛迦中,受異熟果。如於殺生,如是於餘不善業道、亦爾。是名與異熟果。
<br>二解 如瑜伽三十八卷十三頁五果中說。
<br>三解 如菩薩八種異熟果中說。
<br>四解 成唯識論二卷七頁云:異熟習氣為增上緣,感第八識,酬引業力,恆相續故;立異熟名。感前六識,酬滿業者;從異熟起,名異熟生。不名異熟。有間斷故。即前異熟及異熟生,名異熟果。果異因故。
<br>五解 成唯識論八卷四頁云:一者、異熟。謂有漏善及不善法所招自相續異熟生無記。
<br>六解 俱舍論六卷二十頁云:論曰:唯於無覆無記法中,有異熟果。為此亦通非有情數?唯局有情?為通等流、及所長養?應知唯是有記所生。一切不善、及善有漏、能記異熟;故名有記。從彼後時,異熟方起,非俱無間名有記生。如是名為異熟果相。非有情數、亦從業生;何非異熟?以共有故。謂餘亦能如是受用。夫異熟果、必無有餘共受用義。非餘造業、餘可因斯受異熟果。其增上果、亦業所生;何得共受?共業生故。
<br>七解 入阿毗達磨論下十四頁云:異熟因得異熟果。果不似因,故說為異。熟、謂成熟;堪受用故。果即異熟,名異熟果。唯有情數攝;無覆無記性。"}}{{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51171/%E7%95%B0%E7%86%9F%E7%94%9F 異熟生]". 2013년 4월 5일에 확인|quote=<br>"異熟生:
<br style="margin-bottom: 10px">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br>解釋:
異熟因所生。
<br style="margin-bottom: 10px">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br>解釋:
A difference is made in Mahāyāna between 異熟 (異熟識) which is considered as ālaya-vijñāna, and 異熟生 the six senses, which are produced from the ālaya-vijñāna.
<br style="margin-bottom: 10px">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br>解釋:
俱舍論二卷九頁云:異熟因所生,名異熟生。如牛所駕車,名曰牛車。略去中言,故作是說。或所造業至得果時,變而能熟;故名異熟。果從彼生,名異熟生。彼所得果、與因別類,而是所熟;故名異熟。或於因上、假立果名;如於果上、假立因名。如契經說:今六觸處、應知即是昔所造業。"}}{{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12a02 T31n1585_p0012a02]. 오직 사수와 상응하는 둘째 이유|quote=<br>"又此相應受唯是異熟。隨先引業轉不待現緣。住善惡業勢力轉故。唯是捨受。苦樂二受是異熟生。非真異熟待現緣故。非此相應。"}}{{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3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126 126 / 583]. 오직 사수와 상응하는 둘째 이유|quote=<br>"또한 이것(아뢰야식)과 상응하는 수(受)는 오직 이숙(異熟)이다. 이전의 인업(引業)에 따라서 전전하고, 현행의 연(緣)<sup style="color: blue">37)</sup>을 기다리지 않으며, 선{{.cw}}악업의 세력에 맡겨서 전전하기 때문에 오직 사수뿐이다. 고수(苦受){{.cw}}낙수(樂受)는 이숙생(異熟生)이지 참다운 이숙은 아니다. 현행의 연을 기다리기 때문에 이것과 상응하지 않는다.
<br><sup style="color: blue">37)</sup> 수순[順]{{.cw}}거스름[違] 등의 현행(現行)의 연(緣)을 말한다."}}
 
한편, [[제7말나식]]은 [[전의 (불교)|전의]](轉依)를 획득하기 이전까지는 언제나 [[4번뇌]]와 [[상응 (심불상응행법)|상응]]하는 [[유부무기]]이고 [[전의 (불교)|전의]](轉依)를 획득한 상태에서는 언제나 [[선 (3성)|선]]이므로 [[이숙성]]을 가지지 않으며 따라서 [[제8아뢰야식]]의 [[이숙 (불교)|이숙]]의 [[종자 (불교)|종자]] 즉 [[이숙습기]](異熟習氣)로부터 생겨난 [[식 (불교)|식]]이 아니다. 따라서 [[이숙과]]가 아니며 따라서 [[이숙생]]이라고 부를 수 없다. [[제7말나식]]은 [[제8아뢰야식]]의 [[등류]]의 [[종자 (불교)|종자]] 즉 [[등류습기]](等流習氣)로부터 생겨난 [[등류과]]이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7%95%B0%E7%86%9F%E7%94%9F&rowno=1 異熟生(이숙생)]". 2013년 4월 5일에 확인}}{{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35286/%E7%95%B0%E7%86%9F%E6%9E%9C 異熟果]". 2013년 4월 5일에 확인}}{{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51171/%E7%95%B0%E7%86%9F%E7%94%9F 異熟生]". 2013년 4월 5일에 확인}}
 
결론적으로, [[이숙과]]는 [[제8아뢰야식]]의 [[진이숙]]과 [[제6의식]]의 [[이숙생]]을 통칭하는 말이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7%95%B0%E7%86%9F%E7%94%9F&rowno=1 異熟生(이숙생)]". 2013년 4월 5일에 확인}}{{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35286/%E7%95%B0%E7%86%9F%E6%9E%9C 異熟果]". 2013년 4월 5일에 확인}}{{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51171/%E7%95%B0%E7%86%9F%E7%94%9F 異熟生]". 2013년 4월 5일에 확인}}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