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 직선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Wikipean (토론 | 기여)
Wikipean (토론 | 기여)
단락 변경: 현재 사례, 과거 사례, 도입 논의로 바꾸고, 도입 논의에 들어가는 나라들은 가나다 순으로 정리
5번째 줄:
수상(총리)직이 있는 국가에서 수상은 [[국가 원수]]가 임명하거나 [[의회]]에 의해 선출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그 제도의 특성상 일반 국민들이 희망하는 인물이 [[행정부]]를 통솔하는 사람으로 선출되지 않아 괴리가 생길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상을 국민들의 직접 선거로 뽑는 것이 수상 직선제이다.
 
이 제도는 [[이스라엘]]에서만 유일하게 실시되었으나 정국 불안정을 초래하여 현재 이 제도를 폐지하였다([[#이스라엘의 수상 직선제이스라엘|이스라엘의 수상 직선제이스라엘]] 단락 참고). 그 외 국가에서는 도입된 사례가 없으나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데, 일본의 경우 국민들 사이에 도입 여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일본의 수상 직선제 논의일본|일본의 수상 직선제 논의일본]] 단락 참고).
 
수상 직선제는 이론상 수상에게 실질적으로 [[대통령제]] 국가의 [[대통령]]과 거의 같은 권한을 주는 방식부터 [[의원 내각제]]에 약간의 수정을 가한 방식까지 다양한 방식을 포괄할 수 있다. 대통령제에 가까운 수상 직선제를 도입할 경우 내각제가 아니라 사실상 대통령제를 도입한 것으로 볼 수 있고, 수상은 대통령제 국가의 대통령과 성격이 유사해진다. 이 경우 직선 수상이 대통령제 국가의 대통령과 다른 점은 상징적인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점 뿐이다. 직선 수상 위에 별도로 상징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군주나 대통령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 현재 사례 ==
== 이스라엘의 수상 직선제 ==
 
현재는 수상 직선제가 시행되는 나라가 존재하지 않는다.
 
== 과거 사례 ==
=== 이스라엘 ===
[[공화국]]인 이스라엘에서는 일시적으로 수상 직선제를 도입했다가 폐지하였다. [[1992년]] [[크네셋]](이스라엘 의회)에서 수상 직선제를 통과시켰고, 수상 직접선거가 3회([[1996년|1996]], [[1999년|1999]], [[2001년]]) 실시되었다. 하지만 대통령제에서와 유사하게, 수상의 정당과 다수당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자주 나타났다. 또한 수상 직선제가 도입됐어도 이전과 마찬가지로 의회가 내각을 불신임할 권한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런 제도적 특성들 때문에 정국 혼란이 가중되었고, 결국 현재는 이 제도가 폐지된 상태이다.<ref>{{뉴스 인용 |제목 = 샤론, 리쿠드당 당수 재선|url = http://www.kg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643|출판사 = 경기신문|저자 = 경기신문|날짜 = 2002-11-29|확인날짜 = 2013-11-10}}</ref>
 
수상 직선제가 시행되기 전과 폐지된 후의 이스라엘은 [[의원 내각제]]로 분류되지만, 수상 직선제가직선제하의 시행되던 시기에는이스라엘은 의원 내각제도, 대통령제도, 반대통령제([[이원집정부제]])도 아닌 특수한 정치 체제였다고 평가된다평가가 있다<ref>{{문서서적 인용 | 저자 = Paul Webb| 장= Written evidence submitted by Paul Webb, Professor of Politics, University of Sussex| 출판사 = Political and Constitutional Reform Committee, [[서민원|House of Commons]] of the [[영국|United Kingdom]]| 제목 = Role and powers of the Prime
Minister: Written Evidence | 날짜 = 2011 | 출판사 = House of the Commons of the United Kingdom| 형식 = PDF | 확인날짜 = 2013-11-23 | 언어고리 = en|쪽 = 5 |꺾쇠표없음 = 예}}[http://www.publications.parliament.uk/pa/cm201012/cmselect/cmpolcon/writev/842/842.pdf]</ref>.
 
== 이스라엘의 수상 직선제 도입 논의 ==
 
아래는 수상 직선제를 도입한 적이 없으나 도입 논의가 이뤄지는 나라들을 정리한 것이다.
 
=== 네덜란드 왕국 ===
<!-- 참고: [[네덜란드]]는 [[네덜란드 왕국]]의 일부임 -->
 
입헌 군주국으로서 내각제를 실시하고 있는 [[네덜란드 왕국]]에서는 [[스타텐 헤네랄|네덜란드 의회]]의 소수 의석을 확보하고 있는 [[민주66]]({{lang|nl|[[:nl:Democraten 66|D66]]}})이 수상 직선제를 주장하고 있다<ref><!-- 여기서 인용된 편저자들은 국내에서 압도적으로 통용되는 표기가 따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링크하였다. 그러나 이 인용의 표기는 국내 번역서에서 쓴 표기를 그대로 옮김. 이에 따라, Arend Lijphart = [[아렌드 레이파르트|아렌드 라이파아트]]. -->
{{서적 인용 |저자고리=|저자=[[한스 그뤼에이터르스|J. P. A. 구르이터스]]<!-- [[:nl:Hans Gruijters]]. J. P. A Gruijters와 동일인. 민주66의 공동 창립자. -->|기타= [[아렌드 레이파르트|아렌드 라이파아트]] 편저<!--[[:nl:Arend Lijphart]]. -->, 조해경 역<!-- 국제정치학 박사 -->|제목= 광란의 대통령제 대안은 없는가?(''Parliamentary Versus Presidential Government'')|출판사= 도서출판 힉스|위치= 서울|isbn= 978-89-967106-1-5||쪽= 238|장= 직선 수상제도 : 네덜란드}}<!-- 원서 정보: 1992년 4월 2일 출간. ISBN-10: 0198780443 ISBN-13: 978-0198780441 -->. 참고로 이 글의 저자 구뤼에이터르스(구르이터스)는 민주66의 창립자이며창립자이다. 또한 이 번역서에서는 민주66을 ‘민주당’으로 옮김표기하였다.</ref>.
 
=== 영국 ===
 
입헌 군주국으로서 의원 내각제를 실시하고 있는 [[영국]]에서는 수상 직선제에 관한 논의가 간헐적으로 있어 왔다. [[영국 의회]] [[서민원]]([[하원]])에 설치된 정치·헌정 개혁 위원회({{lang|en|Political and Constitutional Reform Committee}})에서는 2011년 전문가들과 정치인들에게 영국 총리의 역할과 권한의 개선 사항에 대해 서면으로 의견을 받아 [http://www.publications.parliament.uk/pa/cm201012/cmselect/cmpolcon/writev/842/842.pdf ''{{lang|en|Role and powers of the Prime Minister: Written Evidence}}'']를 발간했다. 이 문서에서는 수상 직선제 도입 여부에 대한 의견 개진도 포함돼 있다.
 
=== 이탈리아 ===
 
내각제 또는 분류 방법에 따라 이원집정부제(분권형 대통령제)로 분류되는 공화국인 [[이탈리아]]에서는 [[1996년|1996]]~[[1997년]]에 총리 직선제를 공식 검토했었다. [[이탈리아 의회]]에서는 당시 70명으로 구성된 비카메랄레({{lang|it|[[:it:bicamerale|bicamerale]]}})<ref group="각주">이탈리아 의회의 상·하원이 합동으로 구성하는 위원회.</ref>를 구성, 총리 직선제를 포함한 이탈리아 정치 구조 변경을 논의하였다. 그러나 각 정당의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해 도입하지 못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 A missed chance|url = http://www.economist.com/node/151023|출판사 =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날짜 = 1997-07-03|확인날짜 = 2014-01-04|꺾쇠표없음 = 예|언어고리=en}}</ref>
 
=== 일본 ===
== 일본의 수상 직선제 논의 ==
[[입헌 군주제|입헌 군주국]]이면서 [[의원 내각제]] 국가인 일본은 수상 직선제가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나라이다.<ref>{{뉴스 인용 |제목 = 일본 '총리 직선제' 다시 불거져|url =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ctg=13&Total_ID=630716|출판사 = 중앙일보|저자 = 오영환|날짜 = 2002-02-23|확인날짜 = 2013-11-24}}</ref> 일본에서는 흔히 수상 직선제를 '''수상 공선제'''({{lang|ja|首相公選制|슈쇼 고센레이}})라고 부르고, 이를 도입하는 문제에 대한 논의를 '''수상 공선론'''({{lang|ja|首相公選論|슈쇼 고센론}})이라고 부른다. 이 문서에서는 일관성을 위해 각각 ‘수상 직선제’와 ’수상 직선제 논의’로 표기하도록 한다.
 
일본은 군주제를 폐지하지 않는 한 직선 대통령을 둘 수가 없다. 그래서 사실상 [[일본의 내각총리대신|일본 총리]]를 대통령제나 이원집정부제 국가의 대통령과 같은 방식으로 선출하여 비슷한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 수상 직선제가 논의되고 있다.
 
=== 일본의= 수상 직선제 논의 전개 ====
[[제2차 세계대전]] 후 최초로 일본에서 수상 직선제를 주장한 이는 법학자인 [[노무라 준지]]({{lang|ja|[[:ja:野村淳治|野村淳治]]}})이다. 1945년 12월 당시 [[도쿄대학]] 명예교수였던 그는 [[시데하라 내각]]의 헌법문제조사위원회에 〈헌법 개정에 관한 의견서〉를 제출하여 수상 직선제를 처음 주장했다고 알려져 있다.<ref><span lang="ja" xml:lang="ja">{{서적 인용|저자=大石眞 등|제목=首相公選を考える―その可能性と問題点|출판사=中公新書|연도=2002}}</span></ref>
 
줄 33 ⟶ 56:
* 제3안. 정당(야당 제1당과 여당 제1당) 안에서의 당수 선거 과정을 국민 일반에게 개방: 현행 [[일본국 헌법|일본 헌법]]을 개정하지 않고, 각당이 당칙(黨則: 당의 규칙. [[대한민국]] 정당들의 당헌과 당규에 해당)을 개정하는 것만으로도 도입 가능.
 
=== 일본의= 수상 직선제 도입 찬반찬반의 의견논거 ====
====; 찬성론자들의 논리 ====논거
* 일본에서 파벌, 정치 투쟁, 정국 불안정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영국]]식 의원 내각제가 일본에 부적합한 데에서 기인한다.
* (총리의 임기가 보장되는 제도를 취할 경우) 정권이 안정되어 안정적으로 국정을 운영할 수 있게 된다.
줄 43 ⟶ 66:
* 국민이 선출전을 통해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보는 기회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찬성론자들은 [[#반대론자들의반대론자들이 논리|반대론자들]]이제기한 총리를 직선으로 뽑으면 [[일본 천황|천황]]의 지위와 충돌한다는 지적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반론을 제기한다. 천황은 역사와 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정신적 통합의 상징이고, 직선으로 뽑히는 총리는 행정권의 집행을 위임 받은 통합자가 되기 때문에 양자는 차원이 다르다는 것이다.
 
====; 반대론자들의 논리 ====논거
* 수상을 직선으로 뽑으면 강한 정통성이 부여돼 일본과 일본 국민통합의 상징인 천황의 지위와 충돌한다([[#찬성론자들의 논리|찬성론자들]]의 반론도논거도 참고할 것).
* 입법부와 행정부의 관계가 소원해지게 돼 양자의 불일치할 경우 국정 운영에 정체(停滯)가 생긴다.
* 파벌, 정쟁, 정국 불안정 등의 요인이 의원 내각제에 의한 것이라고 보는 것은 논점이 빗나간 것이다. 이런 문제의 원인으로 생각될 수 있는 문제는 의원 내각제의 문제가 아니라 정당 또는 관료 기구에 있다는 지적도 있음([[중선거구제]]<ref group="각주">현재 일본 국회의 지역구는 [[소선거구제]]로 변경되었다.</ref>, 정당의 이권 공동체로서의 체질, 파벌 다툼, 내각과 여당의 이원 구조, 정당 운영상의 평등주의, 정권 교체의 결여, 관료 기구의 분담 관리 원칙, 조화를 예정한 정책 형성 등).
* (미국식 대통령제와 비슷한 형태를 취하고자 하는 경우) 미국의 정치적 전통과 여러 조건이 크게 다르다. (영국식 의원 내각제가 일본에 부적합하다는 주장에 대해 영국 이상으로 미국과 일본이 정치적·사회적·경제적으로 다르다는 반론을다르다고 제기함반박함).
* [[포퓰리즘]](대중 영합주의)에 빠져 선동적 정치가의 출현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 밖에 의회가 수상에 대한 견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게 돼 수상의 강권(强權) 정치에 빠질 우려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 국민 여론 ====
 
〈[[아사히 신문]]〉 [[2011년]] [[12월 26일]]자 기사에 따르면, 일반 국민 3000명을 대상으로 여론 조사를 해본 결과 70%가 수상 직선에 찬성하고, 오로지 23%만이 현행대로 국회의원의 투표로 총리를 뽑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는 결과가 나왔다.<ref>{{뉴스 인용 |제목 = 일본 국민 70% “총리 직선해야”|url =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6988450&cloc=olink|article|default|출판사 = 중앙일보|저자 = 김현기|날짜 = 2011-12-26|확인날짜 = 2013-11-24}}</ref>
 
== 각주 ==
== 네덜란드의 수상 직선제 논의 ==
<references group="각주" />
 
입헌 군주국으로서 내각제를 실시하고 있는 [[네덜란드]]에서는 [[스타텐 헤네랄|네덜란드 의회]]의 소수 의석을 확보하고 있는 [[민주66]]({{lang|nl|[[:nl:Democraten 66|D66]]}})이 수상 직선제를 주장하고 있다<ref><!-- 여기서 인용된 편저자들은 국내에서 압도적으로 통용되는 표기가 따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링크하였다. 그러나 이 인용의 표기는 국내 번역서에서 쓴 표기를 그대로 옮김. 이에 따라, Arend Lijphart = [[아렌드 레이파르트|아렌드 라이파아트]]. -->
{{서적 인용 |저자고리=|저자=[[한스 그뤼에이터르스|J. P. A. 구르이터스]]<!-- [[:nl:Hans Gruijters]]. J. P. A Gruijters와 동일인. 민주66의 공동 창립자. -->|기타= [[아렌드 레이파르트|아렌드 라이파아트]] 편저<!--[[:nl:Arend Lijphart]]. -->, 조해경 역<!-- 국제정치학 박사 -->|제목= 광란의 대통령제 대안은 없는가?|출판사= 도서출판 힉스|위치= 서울|isbn= 978-89-967106-1-5||쪽= 238|장= 직선 수상제도 : 네덜란드}}. 참고로 이 글의 저자 구뤼에이터르스(구르이터스)는 민주66의 창립자이며 이 번역서에서는 ‘민주당’으로 옮김.</ref>.
 
== 영국의 수상 직선제 논의 ==
 
입헌 군주국으로서 의원 내각제를 실시하고 있는 [[영국]]에서는 수상 직선제에 관한 논의가 간헐적으로 있어 왔다. [[영국 의회]] [[서민원]]([[하원]])에 설치된 정치·헌정 개혁 위원회({{lang|en|Political and Constitutional Reform Committee}})에서는 2011년 전문가들과 정치인들에게 영국 총리의 역할과 권한의 개선 사항에 대해 서면으로 의견을 받아 [http://www.publications.parliament.uk/pa/cm201012/cmselect/cmpolcon/writev/842/842.pdf ''{{lang|en|Role and powers of the Prime Minister: Written Evidence}}'']를 발간했다. 이 문서에서는 수상 직선제 도입 여부에 대한 의견 개진도 포함돼 있다.
 
== 주석출처 ==
<referenc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