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제프 보이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21번째 줄:
전쟁에서 죽을 고비를 넘기며 산전수전을 겪은 그는 미술가가 되기로 결심하고, 1947년 뒤셀도르프 예술 아카데미([[쿤스트아카데미 뒤셀도르프]]Kunstakademie Düsseldorf)에 입학하여 조각을 공부하였다. 1950년대 초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하였고, 1953년 부페르탈(Wuppertal)에 있는 폰 더 하이트 박물관(Von der Heydt Museum)에서 첫 개인전을 가졌다.
1961년에 그는 뒤셀도르프 예술 아카데미의 조각과 교수로 임명되었다. 그 후 [[플럭서스]](Fluxus) 운동에 참여하게 되었고, 1963년 플럭서스 페스티벌에서 그의 첫 행위 예술(Performance)인 《플럭서스 시베리안 심포니 1악장》이 행해졌다. 그 후 보이스는 평생 동안 약 70여 회의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국내외적으로 그의 명성을 떨쳤다.
 
[[파일:플럭서스 시베리안 심포니 1악장.jpg|섬네일|왼쪽|플럭서스 시베리안 심포니 1악장]]
그는 사회와 정치에 많은 관심을 가졌고, 예술로 사회를 변화시키려 함은 물론, 직접 정치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1967년에 학생들의 요구를 대변해주는 독일 학생당(DSP)을 창당하였고, 1972년 카셀 [[도큐멘타전|도큐멘타]] 5(Documenta V)에서는 프리데리치아눔(Fridericianum) 박물관 안에 ‘국민투표를 통한 직접 민주주의 조직’이라는 사무실을 열어 100일 동안 민주주의, 예술에 대해 강연하고 관람객들과 토론하였다. 1976년에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의원 선거에 출마하였고, 1979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 [[녹색당]] 후보로 출마하기도 하였다.
보이스는 교육에 있어서도 그의 신념을 적극적으로 밀어붙였다. 1971년 뒤셀도르프 예술 아카데미 안에 자유 국제 대학(FIU: Freie Internationale Universitaet)을 설립하여 누구나 자유롭게 공부하고 토론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였다. 또, 아카데미 입학 시험에서 떨어진 학생들을 입학시키기 위해 아카데미 사무실을 점거하며 시위를 벌이기도 하였다. 1972년에도 낙방한 학생들의 입학 허가를 받아 내려 또 한 번 사무실을 점거하며 시위하다가 결국 교수직에서 해임되었다.
1979년 [[솔로몬 R. 구겐하임 미술관|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보이스의 대규모 회고전이 개최되어 그의 명성이 국제적으로 떨쳐졌다. 1982년에 보이스는 카셀 시에 7000그루의 나무를 심는 환경운동이자 퍼포먼스의 일종인 《7000그루 참나무》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보이스는 1986년 1월 23일 뒤셀도르프에서 심장 질환으로 사망하였으며, 이듬해인 1987년 그의 아들인 벤젤(Wenzel)이 마지막 7000번째 나무를 심으며 프로젝트가 완성되었다.[[파일:7000그루 참나무.jpg|섬네일|오른쪽|7000그루 참나무]]
 
== 예술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