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진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3번째 줄:
'''십이진법'''(十二進法, {{lang|en|duodecimal}})은 [[12]]를 밑으로 한 [[기수법]]이다.
 
== 표기법기수법 ==
십이진수를 나타내기 위한 통일된 표기법은 없으나, 주로 0, 1, 2, 3, 4, 5, 6, 7, 8, 9는 십진법과 같이 사용하고, 10을 나타내는 A, 11을 나타내는 B를 사용한다. 십진법으로 12가 나타내는 수는 12로10으로 표기한다.
 
=== ㄴ =명수법==
십이진수에 이름을 붙이는 방법에도 통일된 방법은 없으나 [[영어]]로는 아래와 같이 표현하는 방법이 있다.
 
{|class="wikitable"
e, i(e는 10, i는 11을 나타낸다)인 12개의 숫자를 써서, 12씩 한 묶음으로 하여 1자리 올려가는 방법. 12는 2, 3, 4, 6의 배수인 관계로 편리하기 때문에 생겨났으며, 로마시대에 사용되었다.
|-
!십이진수
| 1 || 2 || 3 || 4 || 5 || 6 || 7 || 8 || 9 || A || B || 10
|-
!명칭
| one || two || three || fore || five || six || seven || eight || nine || dek || el || do
|}
==역사==
e, i(e는 10, i는 11을 나타낸다)인 12개의 숫자를 써서, 12씩 한 묶음으로 하여 1자리 올려가는 방법. 12는 2, 3, 4, 6의 배수인 관계로 편리하기 때문에 생겨났으며, 로마시대에 사용되었다.
 
현재도 시간, 기타 단위에서 십이진법에 해당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를테면 1 다스는 12 개, 1 그로스는 12 다스, 1 피트는 12 인치에 해당하는 것 등이다. 10이 2와 5의 배수인 것에 대하여, 12는 2, 3, 4, 6의 배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