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료체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Parkyongjoo (토론 | 기여)
Parkyongjoo (토론 | 기여)
14번째 줄:
 
이후 1990년대 잇따른 대형사고를 겪으며 좀더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응급의료체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대표적으로 [[아시아나항공 733편 추락 사고]]와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를 들 수 있다.
 
1993년 목포 아시아나 추락 사고로 알려져 있는 [[아시아나항공 733편 추락 사고]]에서는 헬기로 생존자를 구조하는 모습이 텔레비전으로 중계되었는데, 척추 부상을 입은 승객이 별다른 보호 장치 없이 헬기에 매달려 구조되는 모습이 방영되면서 당시 구조 방식이 적절했는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ref>93 그사건 그 사람, 동아일보, 1993년 12월 9일, 30면.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ref>. 이는 당시 열악하고 비전문적인 응급의료 수준을 상징적으로 보여준 사건이다. 이후로도 1994년의 성수대교 붕괴 사고, 1995년의 대구 지하철 가스 폭발 사고 등 대형사고를 겪으며 응급구조와 이송 체계 등이 원시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이 반복적으로 있었다.
 
이런 인식이 확산되는데 가장 결정적인 사건은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라고 할 수 있다. 당시 현장의 지휘체계로는 자발적으로 모여든 시민, 의료진 등이 조직적으로 활동할 수 없었고 경찰, 구급대, 민간구조대 등이 뒤엉켜 구조된 환자를 취재진 앞에서 서로 데려가려고 나서기도 했다<ref>부실-비리 합작 안전불감'백화점' 삼풍백화점 붕괴참사 취재기자 방담, 한겨레 신문, 1995년 7월 24일, 20면.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ref>. 한편 사고 초기, 인근의 강남성모병원에는 200명 가까운 환자들이 한꺼번에 몰려들어 아비규환을 이룬 반면, 사고 소식을 듣고 병상을 비워 놓고 있던 서울대병원에는 한명의 환자도 후송되지 않았다<ref>후송 응급 조치 총체적 허점, 경향신문, 1995년 7월 5일, 4면.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ref>.
 
1991년에 응급의료시행규칙이 제정되고 1994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본격적인 응급의료체계의 근거가 마련되었다. 1995년 [[응급구조사]]가 공식적으로 배출되기 시작하였고 2000년 현재와 같이 계층적인 [[응급의료기관]] 체계가 수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