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타 형식: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전개부: 도미넌트이후 도미난테라는 단어로 나온 것을 도미넌트로 바꿈, 부동적이며 유동적이다는 똑같은 내용은 유동적이다라는 알기 쉬운 단어 하나로만 간추림
25번째 줄:
소나타 형식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제시부에서 제시된 소재(T1)가 여러 가지 기법으로 전개되는데, 그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모티프 조작이다. 전개부 전체는 조적으로나 성격적으로나 제시부의 특성인 정착성과는 반대로 극히 유동적이다. [[조바꿈]]이 빈번하게 일어나 하나의 조에 머무르는 일이 없다. 그 결과, 귀에 끊임없이 도미넌트 기능의 연속이라는 인상을 받는다. 사실, 전개부를 지배하는 것은 도미넌트 기능이어서 소나타 형식은 기능화성과 결합하여 비로소 가능해진다. 주제는 분해되어 완전한 형태로 나타나는 일은 없고, 그것조차도 도중에서 조바꿈한다든가 변형되는 것이 많다. 전개부에서는 또 다성적 수법이 쓰이는 경우가 많다. 끝부분에서는 T1의 동기를 활용하여 다음 재제시부가 예고된다.
 
=== 재현부 - Recapitulation ===
제시부의 각 요소는 다시 제시된다. 제시부와의 큰 상위는차이는 제2주제 이하가 으뜸조로 나타나는 것이고, 이로써 두 주제의 대립성은 해소되어 전개부로서의 투쟁을 거쳐, 두 주제는 여기서 안정된 속에서 융화한다. 한편, [[베토벤]]은 재제시부를 제시부의 단순한 재현으로 그치지 않고, 어떤 변주를 하여 거기에 새로운 존재가치를 부여하려고 적극적으로 시도한 최초의 작곡가이다.<ref>제시부와 전개부를 쓰기만 하면 뒤는 제시부의 기계적인 재현(물론 제2주제 이하가 되돌아가기 위한 조적 배려는 별도로 하고)으로 곡이 완성된다고 하는 생각은, 베토벤에게는 본질적으로 서로 용납될 수 없었다.</ref>
 
=== 종결부(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