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한자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고기랑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고기랑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한자 둘러보기}}
 
'''일본 한자음'''(日本漢字音)은 [[일본어]]에서의 [[한자]]의 소리를 뜻한다. 대부분 한 글자가 하나의 소리만을 가지고 있는 [[한국 한자음]]과 달리, 일본의 한자음은 시대에 따른 중국어의 음운의 변화를 반영했기 때문에, 하나의 한자가 중국에서 유입된 시기에 따라 여러 음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밝을 명(明)이라는 글자는 한국에서는 '명'이라고만 읽지만, 일본에서는 {{lang|ja|ミウ}}<ref>현대 표기는 {{lang|ja|ミョウ}}이나, 이는 중국에서 일어난 발음의 변화가 아닌 일본어 음운의 변천에 의한 현상이므로, 원래의 한자음을 부각시키기 위해 자음 가나표기법자음가나표기법(字音仮名遣) 표기법을 따른다사용한다. 즉, 이 문서의 일본 한자음은한자음 전부표기는 자음음편(音便) 가나표기법현상을 이전의반영하지 표기법을않음은 물론, 현재 사라진 [[요음|합요음]]도 그대로 표기하며, 종성의 -m도 -{{lang|ja|ム}}로 따른다표기한다.</ref>, {{lang|ja|メイ}}, {{lang|ja|ミン}}이라는 세 가지 소리가 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한자를 읽을 때 그 글자의 뜻에 해당하는 훈(訓)으로 읽는 대신 그 글자의 음(音)으로 읽는 것을 훈독({{lang|ja|{{ja-y2|訓|くん}}{{ja-y2|読|よ}}み|군요미}})에 대비해 '''음독'''({{lang|ja|{{ja-y2|音|おん}}{{ja-y2|読|よ}}み|온요미}})이라고 한다.
 
== 종류 ==
일본 한자음은 그 음이 중국에서 유입된 시기에 따라 오음, 한음, 당음으로 나뉘고, 이 세 가지와는 별도로 일본에서 정착된 관용음이 있다. 明의 경우, {{lang|ja|ミウ}}가 오음, {{lang|ja|メイ}}가 한음, {{lang|ja|ミン}}이 당음에 해당한다.
 
=== 오음 ===
18번째 줄:
* [[입성]], 즉 [[불파음]] [[무성 연구개 파열음|{{ipa|k̚}}]], [[무성 양순 파열음|{{ipa|p̚}}]], [[무성 치경 파열음|{{ipa|t̚}}]]을 끝소리로 가지는 음절은 각각 -{{lang|ja|キ}} 또는 -{{lang|ja|ク}}, -{{lang|ja|フ}}, -{{lang|ja|チ}}를 붙인다. 다만 일부 [[무성 치경 파열음|{{ipa|t}}]]으로 끝나는 한자가 -{{lang|ja|チ}}와 -{{lang|ja|ツ}}를 함께 쓰는 경우도 있다.
:예) {{lang|ja|木}}: {{IPA|[muk̚]}} → {{lang|ja|モク}}, {{lang|ja|力}}(력): {{IPA|[liək̚]}} 또는 {{IPA|[lik̚]}} → {{lang|ja|リキ}}, {{lang|ja|怯}}(겁): {{IPA|[kʰiɐp̚]}} → {{lang|ja|コフ}}, {{lang|ja|日}}(일): {{IPA|[ɳiet̚]}} 혹은 {{IPA|[ɳit̚]}} → {{lang|ja|ニチ}}, {{lang|ja|一}}(일): {{IPA|[ʔiet̚]}} 혹은 {{IPA|[ʔit̚]}} → {{lang|ja|イチ}}, {{lang|ja|発}}(發, 발): {{IPA|[piuɐt̚]}} 혹은 {{IPA|[piwɐt̚]}} → {{lang|ja|ホチ, ホツ}}
* 음절의 끝소리에서 [[연구개 비음|{{ipa|ŋ}}]]을 표현하는 규칙이 일정하지 않다. 대체로 마지막에 -{{lang|ja|ウ}}를 붙여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아얘 생략되는 경우도 있다. 단어 내에서는 뒤에 {{lang|ja|ガ}}행의 음절을 붙여 2음절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첫소리의 [[연구개 비음|{{ipa|ŋ}}]]을 ガ행으로 표현하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볼 수 있다.
:예) {{lang|ja|京}}(경): {{IPA|[kiɐŋ]}} 혹은 {{IPA|[kiaŋ]}} → {{lang|ja|キウ}}, {{lang|ja|公}}(공): {{IPA|[kuŋ]}} → {{lang|ja|ク}}, {{lang|ja|双}}(雙, 쌍)<ref>원음은 {{lang|ja|ソウ}}</ref>: {{IPA|[ʂɔŋ]}} → {{lang|ja|双六}}(<u>ス'''ゴ'''</u>ロク, 주사위), {{lang|ja|相}}(상)<ref>원음은 {{lang|ja|サウ}}</ref>: {{IPA|[siaŋ]}} → {{lang|ja|相模}}(<u>サ'''ガ'''</u>ミ, [[사가미 국|사가미]])
* 모음을 입을 벌리는 정도에 따라 1등에서 4등까지 등호(等呼) 체계로 나누었을 때, 1등에 해당하는 운은 {{lang|ja|ア}}단으로, 2등에 해당하는 운은 {{lang|ja|エ}}단으로 표현한다.
:예) {{lang|ja|歌}}(가): {{IPA|[kɑ]}} → {{lang|ja|カ}}, {{lang|ja|家}}(가): {{IPA|[ka]}} → {{lang|ja|ケ}}
34번째 줄:
:예) {{lang|ja|木}}: {{lang|ja|モク}} → {{lang|ja|ボク}}, {{lang|ja|無}}: {{lang|ja|ム}} → {{lang|ja|ブ}}, {{lang|ja|男}}: {{lang|ja|ナム}} → {{lang|ja|ダム}}, {{lang|ja|難}}: {{lang|ja|ナン}} → {{lang|ja|ダン}}, {{lang|ja|日}}: {{lang|ja|ニチ}} → {{lang|ja|ジツ}}
** 몇 가지는 비비음화현상을 거치지 않은 채 그대로 반영된 것도 있다.
::예) {{lang|ja|名}}(명): {{IPA|[miɛŋ]}} → {{lang|ja|ミウ}} → {{lang|ja|メイ}}, {{lang|ja|明}}(명): {{IPA|[miɐŋ]}} 혹은 {{IPA|[miaŋ]}} → {{lang|ja|ミウ}} → {{lang|ja|メイ}},
* [[입성]]을 각각 -{{lang|ja|ク}}, -{{lang|ja|フ}}, -{{lang|ja|ツ}}를 붙여서 표기한다.
:예) {{lang|ja|木}}: {{lang|ja|モク}} → {{lang|ja|ボク}}, {{lang|ja|力}}: {{lang|ja|リキ}} → {{lang|ja|リク}}, {{lang|ja|怯}}: {{lang|ja|コフ}} → {{lang|ja|ケフ}}, {{lang|ja|日}}: {{lang|ja|ニチ}} → {{lang|ja|ジツ}}, {{lang|ja|一}}: {{lang|ja|イチ}} → {{lang|ja|イツ}}, {{lang|ja|発}}: {{lang|ja|ホチ, ホツ}} → {{lang|ja|ハツ}}
* 음절의 끝소리의 [[연구개 비음|{{ipa|ŋ}}]]은 -{{lang|ja|ウ}}를 붙여서 표기한다.
:예) {{lang|ja|公}}: {{lang|ja|ク}} → {{lang|ja|コウ}}, {{lang|ja|江}}: {{lang|ja|コウ}} → {{lang|ja|カウ}}
** 단, {{lang|zh|梗}}섭, 그 중에서도 3등 {{lang|zh|庚}}운, {{lang|zh|清}}운, {{lang|zh|青}}운을 운모로 가지고 있는 한자는 오음에서는 {{lang|ja|ア]}}단 + {{lang|ja|ウ}}로 표기했으나, 한음에서는 {{lang|ja|エ}}단 + {{lang|ja|イ}}를 붙여서 표기한다.
::예) {{lang|ja|京}}: {{lang|ja|キウ}} → {{lang|ja|ケイ}}, {{lang|ja|名}}: {{lang|ja|ミウ}} → {{lang|ja|メイ}}, {{lang|ja|明}}: {{lang|ja|ミウ}} → {{lang|ja|メイ}}, {{lang|ja|平}}(평): {{IPA|[biɐŋ]}} 혹은 {{IPA|[biaŋ]}} → {{lang|ja|ビウ}} → {{lang|ja|ヘイ}}
* 음절의 첫소리의 [[유성 연구개 마찰음|{{ipa|ɣ}}]]은 오음에서는 대부분 {{lang|ja|ワ}}행으로 표기하나, 한음에서는 {{lang|ja|カ}}행으로 표기한다.
:예) {{lang|ja|和}}(화): {{IPA|[ɣuɑ]}} → {{lang|ja|ワ}} → {{lang|ja|ク}}, {{lang|ja|惑}}(혹): {{IPA|[ɣuək]}} → {{lang|ja|ワク}} → {{lang|ja|コク}}, {{lang|ja|会}}(會, 회): {{IPA|[ɣuɑi]}} → {{lang|ja|ヱ}} → {{lang|ja|クイ}}
* 오음에서 등호에 따른 {{lang|ja|ア}}단과 {{lang|ja|エ}}단의 구분이 없어져 둘 다 {{lang|ja|ア}}단으로 표기한다.
:예) {{lang|ja|歌}}: {{lang|ja|カ}} → {{lang|ja|カ}}, {{lang|ja|家}}: {{lang|ja|ケ}} → {{lang|ja|カ}}
50번째 줄:
한음은 주로 [[유교]]경전, [[중국인]]이나 옛날 [[한민족]]의 한자이름을 읽을 때 쓰이며, 불교 중에서도 종파에 따라서 일부 경전과 용어는 한음으로 읽기도 한다. 서양에서 들어온 개념을 한자어로 번역할 때도 한음으로 읽었다. 또한, 당나라 말기에 도항한 승려들이 가지고 온 한자음은 중국어의 근세음적인 특징을 많이 전하고 있으며, 이를 원래의 한음에 대해서‘신한음({{lang|ja|{{ja-y2|新|しん}}{{ja-y2|漢|かん}}{{ja-y2|音|おん}}|신칸온}})’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신한음은 [[입성]]의 약화와 탈락, 일부 운에서 [[연구개 비음|{{ipa|ŋ}}]]의 약화와 탈락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 당음오음과 한음의 대립 ===
'''당음'''(唐音, {{lang|ja|{{ja-y2|唐|とう}}{{ja-y2|音|おん}}|도온}} 또는 {{lang|ja|{{ja-y2|唐|とう}}{{ja-y2|音|いん}}|도인}})은 [[가마쿠라 시대]] 이후에 중국에서 들어온 한자음을 말한다. 여기서 '당'은 [[당나라]]의 당이 아닌, 중국을 이르는 말인 '당토(唐土)'에서 온 것이다. [[무로마치 시대]]에는 송음(宋音, {{lang|ja|{{ja-y2|宋|そう}}{{ja-y2|音|おん}}|소온}})이라고 불렸다. 당음과 송음을 합쳐서 당송음(唐宋音)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당음은 오음, 한음 처럼 모든 글자들에 대한 체계적으로 음을 붙인 것이 아닌, 단편적으로 중국에서 건너온 특정 한자어와 함께 들어온 한자음이나, 기본적으로 근고음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견당사 파견의 중지로 인해 끊어졌던 양국 간의 교류가 [[헤이안 시대]] 말기에서 [[가마쿠라 시대]] 초기에 걸쳐서 재개되었고, [[무로마치 시대]], [[에도 시대]]에 이르러 활발해져, [[선 (불교)|선종]]의 유학승이나 일반 민간 무역 상인들에 의해서 당음이 전해져내려왔다. 상세히는 가마쿠라 불교의 선종에 기초를 둔 중세당음과, 에도 시대의 황벽종({{lang|ja|黄檗宗}})에 기초를 둥 근세당음으로 나뉜다.
당음은 선종불교 용어를 제외하면 중국에서 들어온 물품의 명칭에 사용되는 예가 많다.
 
=== 관용음 ===
'''관용음'''(慣用音, {{lang|ja|{{ja-y2|慣|かん}}{{ja-y2|用|よう}}{{ja-y2|音|おん}}|간요온}})은 분류상 오음, 한음, 당음의 어느 것에도 속하지 않는 한자음으로, 관용음이라는 용어는 [[다이쇼 시대]]에 언어학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만들어진 단어다. 어떤 특정한 한자에 관용음이 정착된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는 직관적으로 잘못 읽은 발음이 그대로 여러 사람들에 의해 받아들여진 경우거나 발음하기 쉽게 음에 변동이 일어난 경우다.
 
==== 햐큐쇼 요미(와음 현상) ====
햐큐쇼 요미({{lang|ja|{{ja-y2|百|ひゃく}}{{ja-y2|姓|しょう}}{{ja-y2|読|よ}}み}})는 모르는 한자의 음을 읽을 때 [[육서#분류#형성|형성자]]의 원리에 근거하여 부수가 아닌 나머지 부분을 통해 멋대로 유추해서 읽음으로써 음이 와전되는 현상을 일본에서 부르는 말이다. 예를 들어 {{lang|ja|輸}}(수, 중고음: {{IPA|[ɕiu]}} 혹은 {{IPA|[ɕio]}})의 일본 한자음은 오음이 {{lang|ja|ス}}, 한음이 {{lang|ja|シュ}}이나, 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인 {{lang|ja|兪}}(유, 중고음: {{IPA|[jiu]}} 혹은 {{IPA|[jio]}})의 일본음이 {{lang|ja|ユ}}였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따와 {{lang|ja|ユ}}라고 읽는 것이 정착되었다. 마찬가지로 {{lang|ja|耗}}(모, 중고음: {{IPA|[xɑu]}}, 오·한음: {{lang|ja|カウ}})는 {{lang|ja|毛}}(모, 중고음: {{IPA|[mɑu]}}, 오음: {{lang|ja|モウ}}, 한음: {{lang|ja|ボウ}})에 이끌려서 {{lang|ja|モウ}}라는 음이, {{lang|ja|攪}}(교, 중고음: {{IPA|[kau]}}, 오음: {{lang|ja|ケウ}}, 한음: {{lang|ja|カウ}})는 {{lang|ja|覺}}(각, 중고음: {{IPA|[kɔk]}}, 오·한음: {{lang|ja|カク}})에 이끌려서 {{lang|ja|カク}}라는 음이 정착되었다.
 
이런 무지에 의한 와음현상은 한국에서도 발견되는데, 歐의 원음은 '우'이지만 성부인 區(구)에 이끌려 '구'라는 음이, 粘의 원음은 '념'이지만 성부인 占(점)에 이끌려 '점'이라는 음이, 秒의 원음은 '묘'이지만 같은 성부를 가진 抄나 炒의 음인 '초'에 이끌려 '초'라는 음이 정착되었다. 이렇듯 와음 현상은 한국과 일본에 있는 관용음의 대다수가 생긴 이유다.
 
==== 중국에서 왔으나 오·한·당음으로 분류할 수 없는 음 ====
명백하게 중국에서 온 한자음으로 통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음, 한음, 당음으로 분류할 수 없는 경우도 관용음으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lang|ja|茶}}(다, 차)는 오음으로는 {{lang|ja|ダ}} 혹은 {{lang|ja|ジャ}}, 한음으로는 {{lang|ja|タ}}, 당음으로는 {{lang|ja|サ}}라고 읽지만, 일반적으로 쓰이는 음인 {{lang|ja|チャ}}는 한음과 당음 사이의 시기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관용음이다. 또한, 귤의 한 종류인 뽕깡을 나타내는 단어인 {{lang|ja|椪柑}}({{lang|ja|ポンカム}})의 {{lang|ja|椪}}(병, {{lang|ja|ポン}})은 오음, 한음, 당음 중 어느 한 곳에 속하는 음인지 불명확하기 때문에 관용음으로 분류되고 있다.
 
==== 다음자의 혼용 ====
다음자인 {{lang|ja|罷}}(파 혹은 피)는 일본에서도 뜻에 따라 읽는 방법이 두 가지로 나뉜다. 즉, 원래는 '그만두다'라는 의미로서의 {{lang|ja|罷}}는 {{lang|ja|ハイ}}로, '지치다'라는 의미로서의 {{lang|ja|罷}}는 {{lang|ja|ヒ}}로 나눠서 읽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lang|ja|罷免}}, {{lang|ja|罷業}} 따위의 단어를 모두 {{lang|ja|ヒメン}}, {{lang|ja|ヒゲフ}}로 읽어, '그만두다'라는 의미로서의 {{lang|ja|罷}}를 {{lang|ja|ハイ}}가 아닌 {{lang|ja|ヒ}}로 읽는다. 이 경우 '그만두다'라는 의미에 대응하는 음 {{lang|ja|ヒ}}는 관용음이 되는 것이다.
 
==== 입성 'フ'의 변화음 ====
[[폐음절]]이 적은 일본어의 특성 상 한자음의 [[입성]]은 [[파열음]]+[[모음]] 꼴로 실현된다. 특히 [[무성 양순 파열음|{{ipa|p̚}}]]은 일본 한자음에서는 -{{lang|ja|フ}}로 실현된다.<ref>현재 {{lang|ja|フ}}의 음가는 {{IPA|[ɸɯ]}}이나, 상고시대에는 {{IPA|[pɯ]}}라고 발음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ref> 그런데 이 입성을 가진 한자 뒤에 [[파열음]] 혹은 [[마찰음]]을 자음으로 가지는 한자가 와서 같이 단어를 형성하면, 파열음+모음으로 입성을 나타내는 대신 [[촉음]] {{lang|ja|ッ}}로 나타내기도 한다. (예- {{lang|ja|学習}}: {{lang|ja|ガ'''ク'''シフ}} ↔ {{lang|ja|学校}}: {{lang|ja|ガ'''ッ'''コウ}}) {{ipa|p̚}}의 경우도 마찬가지라서, {{lang|ja|合成}}: {{lang|ja|ガ'''フ'''セイ}}, {{lang|ja|法廷}}: {{lang|ja|ハ'''フ'''テイ}}와 같은 경우는 {{lang|ja|フ}}로 표기하지만, {{lang|ja|合戦}}: {{lang|ja|カ'''ッ'''セン}}, {{lang|ja|法度}}: {{lang|ja|ハ'''ッ'''ト}}와 같은 경우는 {{lang|ja|ッ}}로 표기한다. 이 때, 위와 같은 조건에서만 실현이 될 수 있던 {{ipa|p̚}}의 촉음화가 일부 한자의 경우, 조건 외의 상황에서도 유지되어 {{lang|ja|フ}}가 아얘 {{lang|ja|ツ}}로 바뀌는 현상이 일어났다. 그 결과 {{lang|ja|立}}: {{lang|ja|リフ}}, {{lang|ja|圧}}: {{lang|ja|アフ}}과 같은 한자들은 뒤에 따라오는 음에 관계없이 {{lang|ja|リツ}}, {{lang|ja|アツ}}로 발음하게 되었다. 이 음은 원래의 오음 및 당음의 입성 규칙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에 관용음으로 분류된다.
 
==== 훈독의 음독화 ====
{{lang|ja|早}}(조, 오·한음: {{lang|ja|サウ}})는 {{lang|ja|早急}}({{lang|ja|サッキフ}}), {{lang|ja|早速}}({{lang|ja|サッソク}}) 등의 단어에서 {{lang|ja|サッ}}이라고 읽히는데, 이는 {{lang|ja|早乙女}}({{lang|ja|さをとめ}}), {{lang|ja|早苗}}({{lang|ja|さなへ}})의 {{lang|ja|さ}}-, 즉 {{lang|ja|早}}라는 글자를 훈독한 것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 때문에 {{lang|ja|サッ}}은 관용음으로 분류된다.
 
== 오음과 한음의 대립 ==
<big>초성</big>
{| border=1 cellspacing=0 style="text-align:center;"
줄 142 ⟶ 118: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분류
! colspan="129" | -e → 여러 가지
! colspan="45" | -ai → -ei
! colspan="8" | -u → 여러 가지
|-
!예
!{{lang|ja|衣}}!!{{lang|ja|気}}!!{{lang|ja|戯}}!!{{lang|ja|愛}}!!{{lang|ja|解}}!!{{lang|ja|会絵}}!!{{lang|ja|快怪}}!!{{lang|ja|外}}!!{{lang|ja|仮家}}!!{{lang|ja|下夏}}!!{{lang|ja|化}}!!{{lang|ja|花}}
!{{lang|ja|西}}!!{{lang|ja|斉}}!!{{lang|ja|体帝}}!!{{lang|ja|米}}!!{{lang|ja|礼}}
!{{lang|ja|素}}!!{{lang|ja|図}}!!{{lang|ja|怒}}!!{{lang|ja|公工口}}!!{{lang|ja|豆頭}}!!{{lang|ja|右有}}!!{{lang|ja|九久}}!!{{lang|ja|留流}}
|-
|오음
|{{lang|ja|エ}}||{{lang|ja|ケ}}||{{lang|ja|ゲ}}||{{lang|ja|}}||{{lang|ja|クヱ}}||{{lang|ja|ヱ}}||{{lang|ja|ケ}}||{{lang|ja|ゲ}}||{{lang|ja|クヱ}}
|{{lang|ja|サイ}}||{{lang|ja|ザイ}}||{{lang|ja|タイ}}||{{lang|ja|マイ}}||{{lang|ja|ライ}}
|{{lang|ja|サイ}}||{{lang|ja|タイ}}||{{lang|ja|マイ}}||{{lang|ja|ライ}}
|{{lang|ja|ス}}||{{lang|ja|ヅ}}||{{lang|ja|ヌ}}||{{lang|ja|ク}}||{{lang|ja|ヅ}}||{{lang|ja|ウ}}||{{lang|ja|ク}}||{{lang|ja|ル}}
|-
|한음
|{{lang|ja|イ}}||{{lang|ja|キ}}||{{lang|ja|ギ}}||{{lang|ja|アイ}}||{{lang|ja|カイ}}||colspan="2"|{{lang|ja|クイ}}||{{lang|ja|グイ}}||colspan="2"|{{lang|ja|カ}}||colspan="2"|{{lang|ja|ク}}
|colspan="2"|{{lang|ja|セイ}}||{{lang|ja|テイ}}||{{lang|ja|ベイ}}||{{lang|ja|レイ}}
|{{lang|ja|ソ}}||{{lang|ja|ト}}||{{lang|ja|ド}}||{{lang|ja|コウ}}||{{lang|ja|トウ}}||{{lang|ja|イウ}}||{{lang|ja|キウ}}||{{lang|ja|リウ}}
|}
줄 180 ⟶ 156:
|{{lang|ja|ヲン}}||{{lang|ja|コン}}||{{lang|ja|ゴン}}||{{lang|ja|ゴム}}||{{lang|ja|ヲチ}}
|{{lang|ja|ホン}}||{{lang|ja|ホチ}}, {{lang|ja|ホツ}}
|{{lang|ja|ギウ}}||{{lang|ja|キク}}||{{lang|ja|ビク}}
|{{lang|ja|シキ}}||{{lang|ja|ジキ}}||{{lang|ja|ヂキ}}||{{lang|ja|リキ}}
|-
줄 188 ⟶ 164:
|{{lang|ja|ハン}}||{{lang|ja|ハツ}}
|{{lang|ja|カウ}}||{{lang|ja|カク}}||{{lang|ja|ハク}}
|colspan="2"|{{lang|ja|シク}}||{{lang|ja|チク}}||{{lang|ja|リク}}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줄 199 ⟶ 175:
|-
|오음
|{{lang|ja|キウ}}||{{lang|ja|ギウ}}||{{lang|ja|シウ}}||{{lang|ja|ジウ}}||{{lang|ja|チウ}}||{{lang|ja|ヂウ}}||{{lang|ja|ヒウ}}||{{lang|ja|ビウ}}||{{lang|ja|ミウ}}||{{lang|ja|リウ}}
|{{lang|ja|ヤク}}||{{lang|ja|シク}}||{{lang|ja|ジク}}||{{lang|ja|リク}}
|-
|한음
줄 209 ⟶ 185:
<big>종성</big>
* 양성운 ([[비음]] 운미)
** [[양순 비음|{{IPA|m}}]], [[치경 비음|{{IPA|n}}]]: -{{lang|ja|ム}}, -{{lang|ja|ン}} → -{{lang|ja|ム}}, -{{lang|ja|ン}}(대립 없음)
** [[치경 비음|{{IPA|n}}]]: -{{lang|ja|ン}} → -{{lang|ja|ン}}(대립 없음)
** [[연구개 비음|{{IPA|ŋ}}]]: -{{lang|ja|ウ}} 등<ref>[[일본 한자음#종류#오음|오음]] 참조.</ref> → -{{lang|ja|イ}}, -{{lang|ja|ウ}}
* 입성운 ([[파열음]] 운미)
줄 215 ⟶ 192:
** [[무성 양순 파열음|{{ipa|p̚}}]]: -{{lang|ja|フ}} → -{{lang|ja|フ}}(대립 없음)
** [[무성 치경 파열음|{{ipa|t̚}}]]: -{{lang|ja|チ}}(, -{{lang|ja|ツ}}) → -{{lang|ja|ツ}}
 
=== 당음 ===
'''당음'''(唐音, {{lang|ja|{{ja-y2|唐|とう}}{{ja-y2|音|おん}}|도온}} 또는 {{lang|ja|{{ja-y2|唐|とう}}{{ja-y2|音|いん}}|도인}})은 [[가마쿠라 시대]] 이후에 중국에서 들어온 한자음을 말한다. 여기서 '당'은 [[당나라]]의 당이 아닌, 중국을 이르는 말인 '당토(唐土)'에서 온 것이다. [[무로마치 시대]]에는 송음(宋音, {{lang|ja|{{ja-y2|宋|そう}}{{ja-y2|音|おん}}|소온}})이라고 불렸다. 당음과 송음을 합쳐서 당송음(唐宋音)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당음은 오음, 한음 처럼 모든 글자들에 대한 체계적으로 음을 붙인 것이 아닌, 단편적으로 중국에서 건너온 특정 한자어와 함께 들어온 한자음이나, 기본적으로 근고음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견당사 파견의 중지로 인해 끊어졌던 양국 간의 교류가 [[헤이안 시대]] 말기에서 [[가마쿠라 시대]] 초기에 걸쳐서 재개되었고, [[무로마치 시대]], [[에도 시대]]에 이르러 활발해져, [[선 (불교)|선종]]의 유학승이나 일반 민간 무역 상인들에 의해서 당음이 전해져내려왔다. 상세히는 가마쿠라 불교의 선종에 기초를 둔 중세당음과, 에도 시대의 황벽종({{lang|ja|黄檗宗}})에 기초를 둥 근세당음으로 나뉜다.
당음은 선종불교 용어를 제외하면 중국에서 들어온 물품의 명칭에 사용되는 예가 많다.
 
=== 관용음 ===
'''관용음'''(慣用音, {{lang|ja|{{ja-y2|慣|かん}}{{ja-y2|用|よう}}{{ja-y2|音|おん}}|간요온}})은 분류상 오음, 한음, 당음의 어느 것에도 속하지 않는 한자음으로, 관용음이라는 용어는 [[다이쇼 시대]]에 언어학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만들어진 단어다. 어떤 특정한 한자에 관용음이 정착된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는 직관적으로 잘못 읽은 발음이 그대로 여러 사람들에 의해 받아들여진 경우거나 발음하기 쉽게 음에 변동이 일어난 경우다.
 
==== 햐큐쇼 요미(와음 현상) ====
햐큐쇼 요미({{lang|ja|{{ja-y2|百|ひゃく}}{{ja-y2|姓|しょう}}{{ja-y2|読|よ}}み}})는 모르는 한자의 음을 읽을 때 [[육서#분류#형성|형성자]]의 원리에 근거하여 부수가 아닌 나머지 부분을 통해 멋대로 유추해서 읽음으로써 음이 와전되는 현상을 일본에서 부르는 말이다. 예를 들어 {{lang|ja|輸}}(수, 중고음: {{IPA|[ɕiu]}} 혹은 {{IPA|[ɕio]}})의 일본 한자음은 오음이 {{lang|ja|ス}}, 한음이 {{lang|ja|シ}}이나, 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인 {{lang|ja|兪}}(유, 중고음: {{IPA|[jiu]}} 혹은 {{IPA|[jio]}})의 일본음이 {{lang|ja|ユ}}였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따와 {{lang|ja|ユ}}라고 읽는 것이 정착되었다. 마찬가지로 {{lang|ja|耗}}(모, 중고음: {{IPA|[xɑu]}}, 오·한음: {{lang|ja|カウ}})는 {{lang|ja|毛}}(모, 중고음: {{IPA|[mɑu]}}, 오음: {{lang|ja|モウ}}, 한음: {{lang|ja|ボウ}})에 이끌려서 {{lang|ja|モウ}}라는 음이, {{lang|ja|攪}}(교, 중고음: {{IPA|[kau]}}, 오음: {{lang|ja|ケウ}}, 한음: {{lang|ja|カウ}})는 {{lang|ja|覺}}(각, 중고음: {{IPA|[kɔk]}}, 오·한음: {{lang|ja|カク}})에 이끌려서 {{lang|ja|カク}}라는 음이 정착되었다.
 
이런 무지에 의한 와음현상은 한국에서도 발견되는데, 歐의 원음은 '우'이지만 성부인 區(구)에 이끌려 '구'라는 음이, 粘의 원음은 '념'이지만 성부인 占(점)에 이끌려 '점'이라는 음이, 秒의 원음은 '묘'이지만 같은 성부를 가진 抄나 炒의 음인 '초'에 이끌려 '초'라는 음이 정착되었다. 이렇듯 와음 현상은 한국과 일본에 있는 관용음의 대다수가 생긴 이유다.
 
==== 중국에서 왔으나 오·한·당음으로 분류할 수 없는 음 ====
명백하게 중국에서 온 한자음으로 통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음, 한음, 당음으로 분류할 수 없는 경우도 관용음으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lang|ja|茶}}(다, 차)는 오음으로는 {{lang|ja|ダ}} 혹은 {{lang|ja|ジ}}, 한음으로는 {{lang|ja|タ}}, 당음으로는 {{lang|ja|サ}}라고 읽지만, 일반적으로 쓰이는 음인 {{lang|ja|チ}}는 한음과 당음 사이의 시기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관용음이다. 또한, 귤의 한 종류인 뽕깡을 나타내는 단어인 {{lang|ja|椪柑}}({{lang|ja|ポンカム}})의 {{lang|ja|椪}}(병, {{lang|ja|ポン}})은 오음, 한음, 당음 중 어느 한 곳에 속하는 음인지 불명확하기 때문에 관용음으로 분류되고 있다.
 
==== 다음자의 혼용 ====
다음자인 {{lang|ja|罷}}(파 혹은 피)는 일본에서도 뜻에 따라 읽는 방법이 두 가지로 나뉜다. 즉, 원래는 '그만두다'라는 의미로서의 {{lang|ja|罷}}는 {{lang|ja|ハイ}}로, '지치다'라는 의미로서의 {{lang|ja|罷}}는 {{lang|ja|ヒ}}로 나눠서 읽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lang|ja|罷免}}, {{lang|ja|罷業}} 따위의 단어를 모두 {{lang|ja|ヒメン}}, {{lang|ja|ヒゲフ}}로 읽어, '그만두다'라는 의미로서의 {{lang|ja|罷}}를 {{lang|ja|ハイ}}가 아닌 {{lang|ja|ヒ}}로 읽는다. 이 경우 '그만두다'라는 의미에 대응하는 음 {{lang|ja|ヒ}}는 관용음이 되는 것이다.
 
==== 입성 'フ'의 변화음 ====
[[폐음절]]이 적은 일본어의 특성 상 한자음의 [[입성]]은 [[파열음]]+[[모음]] 꼴로 실현된다. 특히 [[무성 양순 파열음|{{ipa|p̚}}]]은 일본 한자음에서는 -{{lang|ja|フ}}로 실현된다.<ref>현재 {{lang|ja|フ}}의 음가는 {{IPA|[ɸɯ]}}이나, 상고시대에는 {{IPA|[pɯ]}}라고 발음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ref> 그런데 이 입성을 가진 한자 뒤에 [[파열음]] 혹은 [[마찰음]]을 자음으로 가지는 한자가 와서 같이 단어를 형성하면, 파열음+모음으로 입성을 나타내는 대신 [[촉음]] {{lang|ja|ッ}}로 나타내기도 한다. (예- {{lang|ja|学習}}: {{lang|ja|ガ'''ク'''シフ}} ↔ {{lang|ja|学校}}: {{lang|ja|ガ''''''コウ}}) {{ipa|p̚}}의 경우도 마찬가지라서, {{lang|ja|合成}}: {{lang|ja|ガ'''フ'''セイ}}, {{lang|ja|法廷}}: {{lang|ja|ハ'''フ'''テイ}}와 같은 경우는 {{lang|ja|フ}}로 표기하지만, {{lang|ja|合戦}}: {{lang|ja|カ''''''セン}}, {{lang|ja|法度}}: {{lang|ja|ハ''''''ト}}와 같은 경우는 {{lang|ja|ッ}}로 표기한다.<ref>1946년 이전에는 {{lang|ja|タ}}행의 {{lang|ja|ツ}}와 촉음의 {{lang|ja|ッ}}가 표기 상으로는 구분이 가지 않았다.</ref> 이 때, 위와 같은 조건에서만 실현이 될 수 있던 {{ipa|p̚}}의 촉음화가 일부 한자의 경우, 조건 외의 상황에서도 유지되어 {{lang|ja|フ}}가 아얘 {{lang|ja|ツ}}로 바뀌는 현상이 일어났다. 그 결과 {{lang|ja|立}}(립): {{lang|ja|リフ}}, {{lang|ja|圧}}(壓, 압): {{lang|ja|アフ}}과 같은 한자들은 뒤에 따라오는 음에 관계없이 {{lang|ja|リツ}}, {{lang|ja|アツ}}로 발음하게 되었다. 이 음은 원래의 오음 및 당음의 입성 규칙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에 관용음으로 분류된다.
 
==== 훈독의 음독화 ====
{{lang|ja|早}}(조, 오·한음: {{lang|ja|サウ}})는 {{lang|ja|早急}}({{lang|ja|サキフ}}), {{lang|ja|早速}}({{lang|ja|サソク}}) 등의 단어에서 {{lang|ja|サッ}}이라고 읽히는데, 이는 {{lang|ja|早乙女}}({{lang|ja|さをとめ}}), {{lang|ja|早苗}}({{lang|ja|さなへ}})의 {{lang|ja|さ}}-, 즉 {{lang|ja|早}}라는 글자를 훈독한 것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 때문에 {{lang|ja|サッ}}은 관용음으로 분류된다.
 
== 주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