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정비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새 문서: '''토정비결'''(土亭秘訣)은 조선 중기의 학자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이 지은 도참서(圖讖書)로 신수 석중결 또는 석중결(石中訣) 이라...
 
2번째 줄:
 
== 전해지는 이야기 ==
[[조선 선조]] 11년 「7월」조에 쓰여진 율곡 이이의[[이이]]의 『경연 일기』에는 토정 이지함에[[이지함]]에 대한 인물평이 실려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인용문|아산현감 이지함은 어려서부터 욕심이 적어서 외계(外界)의 사물에 인색하지 않았다. 기질을 이상하게 타고나서 능히 춥고 더운 것은 물론 배고픈 것도 견딜 수 있었다. 겨울에 벌거숭이로 매서운 바람 속에서도 앉아 견딜 수 있었으며 열흘 동안 곡기를 끊고도 병이 나지 않았다. 천성이 효성스럽고 우애가 두터워서 형제간에 있거나 없거나 자기 소유를 따지 않았다.
8번째 줄:
재물을 가볍게 여겨서 남에게 주기를 잘했다. 세상의 화려함이나 음악, 여색에 담담하여 아랑곳하지 않았다. 성질이 배 타기를 좋아하여 바다에 떠서 위태로운 파도를 만나도 놀라지 않았다.
 
그가 제주도에[[제주도]]에 도착했다는 소식을 듣고 제주목사가 그를 객관으로 맞아들이고 예쁜 기생을 뽑아 같이 자게 하였다. 목사가 창고에 가득한 곡식을 가리키며, “네가 이 분의 사랑을 받으면 상으로 곳간 곡식을 다 주겠노라” 하였다. 기생이 지함의 됨됨이를 이상하게 여기고 갖은 유혹을 다하였지만 지함이 끝내 그 꾀에 넘어가지 않았다. 이에 목사가 더욱 존경하였다.}}
 
이지함에[[이지함]]에 대한 기록은 조중봉이 [[조선 선조]] 임금께 고한 다음과 같은 이야기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조중봉(趙重峰, 1544(중종 39)∼1592(선조 25), 본명은 조헌(趙憲), 조선 중기의 문신·유학자·의병장)은 경기도 김포 출생의 선비이다. 본관은 배천(白川)이고 자는 여식(汝式), 호는 중봉(重峯)·도원(陶原)·후율(後栗)로 알려졌다.
 
{{인용문|"신(臣)은 세 분의 스승을 섬겼는데, 이지함, 이이, 성혼이 그분들입니다. 세 분이 성취한 덕은 제각각 다르지만, 그 마음을 맑게 하고 사사로운 욕심을 부리지 않아, 지극한 행적이 세상의 규범이 된 점만은 똑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옛 성인과 현인 그리고 큰 선비들은 모두 마음을 맑게 하고 사사로운 욕심을 부리지 않은 일을 도리의 요체로 삼았습니다. 마음이 탁하면 근본이 썩고, 사사로운 욕심이 앞서면 사물에 얽매여 바른 길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사람이 겉을 억지로 아름답게 꾸미고 스스로 착한 척하지만 재물에 대한 욕심이 나날이 마음속 가득 쌓여 끝내 본성을 잃고 욕망에 빠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