랴푸노프 안정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동역학계]] 이론에서, '''랴푸노프 안정성'''(Ляпунов安定性, {{llang|en|Lyapunov stability}})은 [[동역학계]]의 평형점이 가질 수 있는 안정성 성질 가운데 하나이다. 대략, 랴푸노프 안정 평형점 부근에서 시작하는 동역학계의 모든 해는 영원히 이 평형점 주변에 머무르게 된다. 랴푸노프 안정성보다 더 강한 개념으로 '''점근적 안정성'''(漸近的安定性, {{llang|en|asymptotic stability}})과 '''지수적 안정성'''(指數的安定性, {{llang|en|exponential stability}})이 있다.
[[동역학계]]을 표현하는 미분 방정식의 해의 안정성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다. 가장 중요한 형태는 어떤 평형점 주변의 해에 관한 것이다. 이는 [[랴푸노프 이론]]으로 고려할 수 있다. 간단히 말해, 만일 임의의 평형점 <math>x_e</math> 부근에서 시작하는 해당 동적 시스템의 모든 해가 영원히 <math>x_e</math> 주변에 머무른다면, <math>x_e</math>는 '''랴푸노프 안정'''하다 라고 말한다. 더 나아가, 만일 <math>x_e</math> 가 랴푸노프 안정이고, <math>x_e</math> 부근에서 시작하는 모든 해가 <math>x_e</math> 로 수렴한다면, <math>x_e</math>는 '''점근적으로 안정'''하다. '''지수적으로 안정'''하다면, 최소 감소율, 즉, 얼마나 빨리 해가 수렴할지에 대한 추정치가 보증된다. 랴푸노프 안정성 개념은 무한 차원 매니폴드로도 확장될 수 있는데, 이는 [[구조적 안정성]]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분방정식의 다르지만 "가까이 있는" 해의 거동에 관한 것이다. 입력->상태 안정성은 랴푸노프 개념을 입력이 있는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다.
 
== 정의 ==
다음과 같은 자율 동역학계가 주어졌다고 하자.
:<math>x(t)\in\mathcal D\subseteq\mathbb R^n</math>
:<math>\dot{ x}(t) = f(x(t)), \;\;\;\; x(0) = x_0</math>
:<math>x(0)=x_0</math>
여기서 <math>x(t) \inmathcal \mathcal{D} \subseteq \mathbb{R}^n</math> 시스템 상태 벡터, <math>\mathcal{D}x_0</math> 는 원점을 포함 하는포함하는 열린 집합집합이며, 그리고 <math>f: \mathcal{D} D\rightarrow to\mathbb{ R}^n</math> 는 <math>\mathcal{ D}</math> 상에서 지역적으로위에서 [[리프시츠 연속]]이다이라고 하자. 또한, <math>f</math> 는 평형점 <math>x_e0\in\mathcal D</math> 를 갖는다고 가정한다가정하자. 즉,
:<math>f(0)=0</math>
이다. (만약 평형점 <math>x=x_e</math>가 원점이 아닌 경우,<math>x-x_e = y</math>로 치환하여, 항상 평형점을 원점으로 놓을 수 있다.)
 
이 경우, 이 자율 동역학계의 평형점 <math>x=0</math>의 안정성은 다음과 같은 용어로 표현할 수 있다.
* 임의의 <math>\epsilon>0</math>에 대하여, <math>\|x(0)\|<\delta</math>이라면 <math>\sup_{t\ge0}\|x(t)\|<\epsilon</math>인 <math>\delta>0</math>가 존재한다면, 평형점 <math>x=0</math>이 '''랴푸노프 안정'''하다고 한다.
#* 해당만약 평형점이평형점 <math>x=0</math>이 랴푸노프 안정이고안정하고, 또한 <math>\|x(0)-x_e \|< \delta</math> 이면 <math>\lim_{t \rightarrow to\infty} \|x(t)-x_e\| = 0</math> 인 <math>\delta > 0</math> 가 존재하면, 평형점 <math>x=0</math>이 '''점근적점근적으로 안정'''이다하다고 한다.
#* 만약 시스템의평형점 해당 평형점이<math>x=0</math>이 점근적으로 안정이고안정하고, <math>0<\|x(0)-x_e\| < \delta</math> 이면 <math>\sup_{t\ge0}\exp(\beta t)\|x(t)-x_e\| \leq \alpha\/|x(0)-x_e\|e^{- \beta t}le\alpha</math> 인 <math>\alpha, \beta, \delta >0</math> 존재한다면, 평형점 <math>t \geq x=0</math> 에 관하여 존재하면 '''지수적으로 안정'''하다고 이다한다.
 
대략, 위 정의는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 어떤 평형점이* 랴푸노프 안정이라면안정 해당 평형점에평형점에서 "충분히 가까이" (<math>\delta</math> 이내의 거리에서) 시작된 해들은 영원히 평형점에 "충분히 가까이" (<math>\epsilon</math> 이내의 거리에) 머문다. 중요한 것은또한, 모든허용 오차 <math>\epsilon </math>에 대해 임의로 명제가줄일 참이라는 것이다있다.
#* 점근적 안정이라면,안정 평형점에서 충분히 가까이 시작된 해는 충분히 가까이 머물 뿐만 아니라 결국 해당 평형점으로 수렴한다.
* 지수적 안정 평형점에서 충분히 가까이 시작된 해는 수렴할 뿐만 아니라, 적어도 어떤 알려진 비율을 따라 수렴한다.
 
== 랴푸노프 함수 ==
동역학계의 평형점의 안정 여부는 '''랴푸노프 함수'''({{llang|en|Lyapunov function}})라는 함수를 찾아 증명할 수 있다.<ref name=khalil>
Khalil, H. K., ''Nonlinear Systems'', 3rd ed., Prentice Hall, New Jersey, 2002, ISBN 0130673897.</ref>===
 
주어진 시스템동역학계 <math>\dot{ x} = f(x)</math>의 [[평형점]]이 <math>x_{e}x_e = 0</math>이라 하자 (그렇지 않은 경우 <math>x-x_{e} = y</math>로 치환한다). 그리고 <math>\mathcal{D} \subseteq \mathbb{R}^{n}</math>을 <math>x=0</math>을 포함하는 [[정의역]]으로 두자. 다음과 같은 도함수가 연속인 함수 <math>V \colon \mathcal{ D} \to \mathbb{R}</math>을 고려하자.
:<math>V(0) &= 0 \text{ and } V(x)>0,\, \forall x \in (\mathcal{ D} - \setminus\{0\}),\\</math>
:<math>\dot{ V}(x) &\le 0,ge0\, ;\forall x \in \mathcal{ D}.</math>
그러면 <math>x=0</math>은 랴푸노프 안정하다. 만약 <math>\dot{ V}(x) < 0,\; \forall x \in (\mathcal{D} - \{0\})</math>이라면 <math>x=0</math>은 점근적으로 안정하다. 이러한 함수 <math>V</math>를 '''랴푸노프 함수'''({{llang|en|Lyapunov function}})라고 한다.
 
== 역사 ==
랴푸노프 안정성은 러시아의 수학자 [[알렉산드르 랴푸노프]]의 이름을 딴 것이다땄다. 그는랴푸노프는 러시아의1982년 수학자 가운데 한사람으로서,저서 "움직임의 안정성에 관한 일반 문제"라는 책을 1892년 출판하였다.<ref name=lyapunov>[[알렉산드르_랴푸노프|Lyapunov, A. M.]] ''The General Problem of the Stability of Motion'' (In Russian), Doctoral dissertation, Univ. Kharkov 1892 English translations: (1) ''Stability of Motion'', Academic Press, New-York & London, 1966 (2) ''The General Problem of the Stability of Motion'', (A. T. Fuller trans.) Taylor & Francis, London 1992. Included is a biography by Smirnov and an extensive bibliography of Lyapunov's work.
</ref>에서 최초로 비선형 동역학계의 어떤 평형점 근처에서의 선형화를 다뤘다. 이 책은 러시아어로 출판되었고, 그 후 프랑스어로 번역되었는데, 오랫동안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ref>
 
랴푸노프프는 최초로 비선형 시스템을 어떤 평형점 부근에서 선형화하는 것에 기반하는 안정성의 선형 이론을 고려하였다. 그의 저작은 최초에는 러시아어로 출판되었고, 그 후 프랑스어로 번역되었는데, 오랫동안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그에 관한 관심은 [[냉전]] 시절에 갑자기 시작되었는데, 이를 소위 "랴푸노프 제 2 방법" 이 항공우주 [[유도 시스템]]의 안정성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된 때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보통 심한 비선형성을 포함하고 있어 다른 방법으로는 다룰 수 없다. 다수의 연구논문이 그 때 그리고 그 이후 제어와 시스템 문헌에 출현하였다.<ref name=letov>
랴푸노프 이론은 [[냉전]] 시절에 항공우주 [[유도 시스템]]의 안정성을 다루기 위해 학계에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동역학계는 보통 심하게 비선형적이어서, 랴푸노프 제2 방법 이외로는 쉽게 다룰 수 없다. 이후 관련 분야들이 [[제어 이론]] 및 [[동역학계]] 관련 문헌에서 널리 다뤄지고 있다.<ref name=letov>
Letov, A. M., ''Stability of Nonlinear Control Systems'' (Russian) Moscow 1955 (Gostekhizdat); English tr. Princeton 1961.</ref><ref name=rudolf1960>
[[:en:R._E._Kalman|Kalman, R. E.]]; Bertram, J. F., "Control system analysis and design via the second method of Lyapunov", ''J. Basic Engrg'', vol. 88, pp. 371-394, 1960.</ref><ref name=lasalle>
줄 13 ⟶ 40:
[[:en:R._E._Kalman|Kalman, R. E.]], "Lyapunov functions for the problem of Lur'e in automatic control", ''Proc Nat Acad.Sci USA'', vol. 49, no. 2, pp. 201-205, 1963.
</ref>
더욱 최근에는 랴푸노프 지수 (랴푸노프의 제1 1방법에서 방법에쓰이는 관련)랴푸노프 지수가 [[혼돈 이론]]과의 관련성으로 너른에서 관심을응용되고 받았다있다.
 
==참고 문헌==
== 연속 시간 시스템을 위한 정의 ==
{{주석}}
다음과 같은 자율 비선형 동적 시스템을 고려할 수 있다.
 
== 바깥 고리 ==
:<math>\dot{x} = f(x(t)), \;\;\;\; x(0) = x_0</math>
* {{eom|title=Lyapunov stability}}
 
여기서 <math>x(t) \in \mathcal{D} \subseteq \mathbb{R}^n</math> 는 시스템 상태 벡터, <math>\mathcal{D}</math> 는 원점을 포함 하는 열린 집합, 그리고 <math>f: \mathcal{D} \rightarrow \mathbb{R}^n</math> 는 <math>\mathcal{D}</math> 상에서 지역적으로 [[리프시츠 연속]]이다. <math>f</math> 는 평형점 <math>x_e</math> 를 갖는다고 가정한다.
 
 
# 만일 모든 <math>\epsilon > 0</math> 가 다음을 만족시키는 <math>\delta = \delta(\epsilon) > 0</math>, 즉, 모든 <math>t \geq 0</math>에서 <math>\|x(0)-x_e\| < \delta</math> 이면 <math>\|x(t)-x_e\| < \epsilon</math> 가 되는 <math>\delta </math>를 가진다면 위 시스템의 해당 평형점은 '''랴푸노프 안정'''이다.
# 해당 평형점이 랴푸노프 안정이고 <math>\|x(0)-x_e \|< \delta</math> 이면 <math>\lim_{t \rightarrow \infty} \|x(t)-x_e\| = 0</math> 인 <math>\delta > 0</math> 가 존재하면 '''점근적 안정'''이다.
# 위 시스템의 해당 평형점이 점근적으로 안정이고 <math>\|x(0)-x_e\| < \delta</math> 이면 <math>\|x(t)-x_e\| \leq \alpha\|x(0)-x_e\|e^{-\beta t}</math> 인 <math>\alpha, \beta, \delta >0</math> 가 <math>t \geq 0</math> 에 관하여 존재하면 '''지수적으로 안정''' 이다.
 
개념적으로 위 수식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어떤 평형점이 랴푸노프 안정이라면 해당 평형점에 "충분히 가까이" (<math>\delta</math> 이내의 거리에서) 시작된 해들은 영원히 "충분히 가까이" (<math>\epsilon</math> 이내의 거리에) 머문다. 중요한 것은, 모든 <math>\epsilon </math>에 대해 이 명제가 참이라는 것이다.
# 점근적 안정이라면, 충분히 가까이 시작된 해는 충분히 가까이 머물 뿐 아니라 결국 해당 평형점으로 수렴한다.
# 지수적 안정이라면, 해가 수렴할 뿐 아니라, 실은 최소한 어떤 알려진 비율 보다 더 빨리 수렴한다.
 
==랴푸노프 안정성 판단에 관한 정리==
===안정성, 점근적 안정성에 관한 정리<ref name=khalil>
Khalil, H. K., ''Nonlinear Systems'', 3rd ed., Prentice Hall, New Jersey, 2002, ISBN 0130673897.</ref>===
주어진 시스템 <math>\dot{x} = f(x)</math>의 [[평형점]]이 <math>x_{e} = 0</math>이라 하자 (그렇지 않은 경우 <math>x-x_{e} = y</math>로 치환한다). 그리고 <math>\mathcal{D} \subseteq \mathbb{R}^{n}</math>을 <math>x=0</math>을 포함하는 [[정의역]]으로 두자. 다음과 같은 도함수가 연속인 함수 <math>V \colon \mathcal{D} \to \mathbb{R}</math>을 고려하자
:<math>
\begin{align}
V(0) &= 0 \text{ and } V(x)>0,\, \forall x \in (\mathcal{D} - \{0\}),\\
\dot{V}(x) &\le 0,\, \forall x \in \mathcal{D}.
\end{align}
</math><br/>
그러면 <math>x=0</math>은 안정하다. 만약 <math>\dot{V}(x) < 0,\; \forall x \in (\mathcal{D} - \{0\})</math>이라면 <math>x=0</math>은 점근적으로 안정하다.
 
==참고 문헌==
<references/>
 
[[분류:제어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