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추목: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분류의 역사 뒷부분 번역
진화사 - 석탄기, 페름기 번역
73번째 줄:
20세기 후반, 미국 고생물학자인 [[알프레드 로머]]는 분추류(Temnospondyli)라는 이름을 다시 사용하기 시작했다. 새비-소더버그는 미치류를 엠볼로메리는 제외하고 라키토미와 고추류만을 가리키는 좁은 의미 (sensu stricto) 로 국한시켜 사용했다. 로머는 이 분류에 동의했으나 넓은 의미에서의 (sensu lato) 미치류와 혼동을 피하기 위해 분추류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하지만 현재의 분추류 분류와는 다르게 로머는 여기에 원시적인 이크티오스테갈리아를 포함시켰다.<ref name=RAS47/>
 
 
== 진화사 ==
===석탄기 및 페름기 전기 ===
[[파일:CapetusDB241.jpg|thumb|left|기반군 분추류인 [[카페투스 (양서류)|카페투스]]''.]]
분추류는 석탄기 초기, 약 3억 3천만 년 전에 처음 출현했다. 석탄기 동안의 분추류는 [[덴드레페톤]] 같은 중간 크기의 기반군 형태나 [[코크레오사우루스]]같은 대형 반수생 형태를 포함했다. 더 분화된 분추류, [[암피바미드]] 같은 종류는 더 작고 육상생활에 더 적합하다. 이들은 [[도롱뇽]]을 닮았고, [[브란키오사우루스]]와 같은 종류들은 오늘날의 [[아홀로틀]]처럼 외부 아가미를 보존하고 있다. [[펜실바니아기]] 후기와 [[페름기]] 초기, 약 3억년 전에는 몇몇 그룹, [[디소로피드]]나 [[트레마토피드]]와 같은 종류들이 진화하여 강력하고 견고한 팔다리 및 척추뼈를 가지고 육상생활에 적응하였으며 [[에리오피드]]와 같은 종류들은 대형 반수생 포식자가 되었다. [[드비노사우루스류]]는 소형 수생 분추류로 석탄기 후기에 육상생활을 하던 조상으로부터 진화하였다.<ref name=PK07>{{cite journal |꺾쇠표없음=예|last=Pawley |first=K. |year=2007 |title=The postcranial skeleton of ''Trimerorhachis insignis'' Cope, 1878 (Temnospondyli: Trimerorhachidae): a plesiomorphic temnospondyl from the Lower Permian of North America |journal=Journal of Paleontology |volume=81 |issue=5 |pages=873–894 |doi=10.1666/pleo05-131.1}}</ref>
 
=== 페름기 후기 ===
[[파일:Prionosuchus DB.jpg|thumb|[[페름기]]에 살았던 [[프리오노수쿠스]]는 알려진 양서류 중 가장 거대하다]]
[[페름기]] 후기 동안에는 기후가 건조했고 파충류가 번성하면서 육상 분추류는 쇠퇴하게 되었다. 하지만 반수생 및 수생 분추류는 동유럽의 커다란 [[멜로사우루스]]를 포함해 게속 번성했다. [[아르케고사우루스과]]와 같은 다른 분추류들은 긴 주둥이를 포함해 악어 같은 외모를 가지게 되었지만 악어의 특징인 갑옷같은 골판은 가지고 있지 않았다. 이들 분추류에는 브라질에서 발견된, 몸길이가 9 미터나 되는 [[프리오노수쿠스]]와 같이 알려진 양서류 중 가장 큰 종류가 포함된다.<ref name=FH91>{{cite journal |꺾쇠표없음=예|last=Fox |first=C.B. |coauthors=and Hutchinson, P. |year=1991 |title=Fishes and amphibians from the Late Permian Pedra de Fogo Formation of Northern Brazil |url=http://palaeontology.palass-pubs.org/pdf/Vol%2034/Pages%20561-573.pdf |journal=Palaeontology |volume=34 |issue=3 |pages=561–573}}</ref>
 
==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