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묘사화: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S0ch1 (토론 | 기여)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사화와 정난을(를) 삭제함, 분류:사화을(를) 추가함
KOREASTUDYDSB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기묘사화''' (己卯士禍)는 [[1519년]]([[조선 중종|중종]] 14) [[음력 11월]]에 [[남곤]](南袞), [[심정 (1471년)|심정]](沈貞), [[홍경주]](洪景舟), [[김전]](金詮), [[조선 중종|중종]](中宗) 등이 [[조광조]](趙光祖), [[김식]] 등 핵심인물을 몰아내어 죽이고 혹은 귀양보낸 사건이다. [[조광조]] 등의 세력 확장과 위훈 삭제에 대한 불만이 원인 중 하나였다. 신진 [[사림파]]의 급진적인 개혁정책 역시 그들을 지지하던 [[정광필]], [[안당]] 등의 반감을 사면서 지원받지 못하였다. [[남곤]], [[심정 (1471년)|심정]], [[김전]], [[홍경주]], [[고형산]] 등은 후궁과 궐내 세력을 이용하여 [[조광조]]일파의 제거 여론을 조성하여 제거하는데 성공한다. 이때 희생된 인물들은 후일 [[기묘명현]](己卯名賢)으로 부른다.
 
[[조선 중종|중종]]은 당시 [[승지]]들도 모르게 대소신려들에게 갑자기 입궐명령을 내렸고, [[홍경주]], [[김전]], [[남곤]], [[심정 (1471년)|심정]], [[정광필]], [[안당]] 등은 갑자기 소환명령을 받고 [[경복궁]]의 북쪽 문이었던 신무문을 통해 들어와 승지들 모르게 회의를 열었다. 일명 북문지화(北門之禍)라고도 부른다.
22번째 줄:
당시의 훈구 재상으로서 [[조광조]] 등의 탄핵을 받지 않은 사람은 거의 없었으며, 모두 세력을 잃고 불평을 품게 되었다. 특히 [[조광조]] 등이 [[정국공신]](靖國功臣)<ref>[[중종 반정]] 공신</ref> 가운데는 공신으로서의 자격이 없는 사람이 많으니, 이들의 공신호를 박탈하자고 건의하여, 마침내 전 공신의 4분의 3에 해당하는 76명<ref>[[심정 (1471년)|심정]](沈貞)도 포함</ref>의 공신호를 박탈하자 이에 놀란 훈신(勳臣)들은 수단을 가리지 않고 모략·중상에 나섰으니, 이것이 [[조광조]] 일파의 젊은 선비들이 화를 당하게 된 직접적 원인의 하나였다.
 
그 위에 처음에는 중종도[[중종]]도 [[조광조|정암 조광조]] 등의 혁신적인 정치를 후원하였으나 조광조의[[조광조|정암 조광조]]의 정치가 혁신성을 잃고 도학적(道學的) 언행만을 되풀이하자 점차 총애를 거두었다. 실록을 따르면 이미 기묘사화 일이년 전부터 이미 중종의 총애가 조광조로부터[[조광조|정암 조광조]]로부터 떠나고 있었으며 조광조는[[조광조|정암 중종이라는조광조]]는 [[중종]]이라는 후원자가 없자 점차 정계에서 고립되고 있었다.
 
== 과정 ==
29번째 줄:
한편 북문으로 조정에 들러온 고관들은 비밀리에 회의를 진행한다. 남양군 [[홍경주]]와 [[예조판서]] [[남곤]], [[공조판서]] [[김전]], [[호조판서]] [[고형산]](高荊山), 도총관 [[심정 (1471년)|심정]] 등은 비밀리에 모의한 끝에 [[홍경주]]가 일당을 대표하여 [[조광조]] 등이 당파를 만들어 과격한 일을 자행하고 정치를 어지럽히니 처벌해야 한다고 임금 중종에게 밀고하였다.
 
마침내 중종은[[중종]]은 대사헌 [[조광조|정암 조광조]]와 우참찬 [[이자 (1480년)|이자]](李耔), 도승지 [[유인숙]](柳仁淑), 좌부승지(左副承旨) [[박세희]](朴世熹), 우부승지(右副承旨) [[홍언필]](洪彦弼)을 비롯하여 조광조파로 지목되는 많은 사람을 잡아 가두게 하였다.
 
[[홍경주]], [[김전]], [[심정 (1471년)|심정]] 등은 당장 이들을 때려죽이려 하였으나 [[병조판서]] [[이장곤]](李長坤)과 [[좌의정]] [[안당]]이 임금께 간절히 말렸고, [[영의정]] [[정광필]]은 “젊은 선비들이 현실을 모르고 옛날 제도를 그대로 인용하여 실시하고자 한 것”이라 하여 눈물을 흘리며 간곡히 말렸는데 왕은 듣지 않았다. [[남곤]]은 유배나 파면 선에서 해결하면 될 것이라고 의견을 피력했지만 역시 거절당한다. 이후 이장곤과 안당은 이로 인하여 옥에 갇혔다.
36번째 줄:
 
== 결과 ==
[[조광조|정암 조광조]]는 능주(綾州)에 귀양갔다가 곧 사약(死藥)을 받고 죽었으며, [[김정 (1486년)|김정]](金淨)과 [[기준]](奇遵), [[한충 (1486년)|한충]](韓忠), [[김식]](金湜) 등은 귀양갔다가 사형 또는 자살, [[김구 (1488년)|김구]](金絿), [[박세희]], [[박훈]] 등은 귀양을 갔는데 모두 30대의 청년이었다.
 
또 그들을 옹호하던 [[안당]]<ref>2년 후에 사형당했다.</ref>과 [[김안국]](金安國), [[김정국 (1485년)|김정국]](金正國) 형제와 [[김세필]](金世弼)은 파면되었다.
43번째 줄:
 
한편 [[김종직]]의 문하생으로 [[훈구파]]와 함께 [[조광조]]일파의 숙청에 가담했던 [[남곤]]은 후배 사림으로부터 인정받지 못하고 [[조선]]이 멸망할 때까지 간사한 인물로 매도되었다.
 
===[[기묘명현]](己卯名賢)===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고 난 후일에 기묘사화(己卯士禍)에서 희생된 인물을 말한다. [[조광조|정암 조광조]] 일파가 숙청되었으며, 해당 인물은 [[조광조|정암 조광조]] 등이었다.
 
== 의의 ==
줄 57 ⟶ 60:
* [[무오사화]]
* [[성리학]]
* [[조광조|정암 조광조]]
* [[김식]]
* [[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