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집합: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출처 필요}}
[[파일:Nullset.png|thumb|공집합|60px]]
[[수학]]에서, '''공집합'''(空集合, the empty set, [[문화어]]:빈모임)은 [[원소 (수학)|원소]]가 하나도 없는 [[집합]]을 말한다. 기호로는 <math>\{ \quad\}</math>이나 [[∅]]<math>\emptyset</math>를 쓴다.
 
기호 <math>\emptyset</math>는 프랑스의 수학자이며 [[부르바키]]의 회원이었던 [[앙드레 베유]]가 문자 [[Ø]]로부터 도입하였다. 그리스 문자 <math>\phi</math>를 쓴 책도 있으나, 활자 문제로 비슷한 모양을 쓴 것일 뿐 실제로는 아무 관련이 없다.
 
[[수 (수학)|수]], 특히 [[자연수]]를 정의할 때 공집합의 집합 관계를 이용하여 정의하는 방법이 있다. 공집합을 <math>0:=\emptyset</math>, 0(공집합)을 원소로 갖는 집합을 <math>1:=\{\emptyset\}</math>, 0과<math>2:=\{\emptyset, 1을 원소로 갖는 집합을 2\{\emptyset\}\}</math>, ...<math>\cdots</math>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면 공집합으로부터 자연수를 정의할 수 있다. 이것은 [[무한공리]]에서 사용하는 방법이다.
 
==성질==
11번째 줄:
모든 집합 A에 대해서 :
* 공집합은 A의 [[부분집합]]이다.
:<math>\forall A: \emptyset \subseteqsubset A</math>
 
* 집합 A와 집합 A의 공집합의 [[합집합]]은 집합 A이다.
24번째 줄:
공집합은 다음과 같은 성질들을 가지고 있다.
* 공집합의 유일한 부분집합은 공집합 자신이다.
:<math>\forall A: A \subseteqsubset \emptyset \Rightarrow A = \emptyset</math>
 
* 공집합의 [[멱집합]]은 공집합만을 원소로 하는 집합이다.
:<math>2^\emptyset = \{\emptyset\}\, .</math>
 
* 공집합의 원소의 갯수는 0이다. 즉, 공집합의 [[기수 (수학)|기수]]가 0 이다. 공집합은 유한집합이다.
:<math>\mathrm{card}(\emptyset)= 0\, .</math>
 
* 공집합의 원소의 갯수는개수는 0이다. 즉, 공집합의 [[기수 (수학)|기수]]가 0 이다. 공집합은 유한집합이다.
:<math>\mathrm{card}(\emptyset)= 0\, .</math>
 
{{토막글|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