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약: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Iamdwlee (토론 | 기여)
잔글 유교 윤리를 기반으로 향촌의 공동 조직을 재구성한 것이다. 추가
Iamdwlee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향약'''(鄕約)은 [[조선시대]] 향촌 [[사회]]의 자치규약으로, 유교 윤리를 기반으로 향촌의 공동 조직을 재구성했다. 또한 [[서원]]과 함께 향촌 사회에서 [[사림]]의 지위를 강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는 지방 사림들의 농민 지배 강화를 의미한다.
 
== 조광조와 향약 ==
중종 때 조광조 일파가 처음 시행한 향약은 훈구 대신의 비리를 시정하기 위해 그들과 연결된 지방 토호들의 향권을 빼앗아 정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둔 것이다. 그래서 조광조 일파는 신분보다 나이를 존중하는 《[[여씨향약]](呂氏鄕約)》을 《소학(小學)》과 함께 국문으로 번역하여 전국적으로 보급하고, 관권보다 더 강력한 처벌권을 발동하여 토호들의 횡포를 막으려 했다. 그러나 그러한 급진성 때문에 도리어 보수 세력의 반발을 받아 조광조 일파의 몰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결과적으로 조광조 시기에 향약은 전국적으로 보급되지 못했다.
 
== 특징 ==
그러나 그러한 급진성 때문에 도리어 보수 세력의 반발을 받아 조광조 일파의 몰락과 함께 폐지되고 말았다. 다양한 형태의 향약이 만들어져 군현이나 작은 마을을 단위로 하여 시행되었다. 향약의 시행과 병행하여 지방 양반의 명부인 향안을 만들고, 양반의 자치기구인 [[향회]]를 조직하여 공론을 모으고, [[유향소]]의 향권을 장악하였다.
 
이제는 훈척이나 토호의 횡포를 막는 데 목적을 둔 것이 아니라, 수령과의 유대를 강화하고 이미 세력이 커진 사족의 친족과 결속을 강화하며, 평민과 노비를 사족이 통제하고, 예로부터 내려오는 미풍양속인 상부상조의 ‘계’조직을 향약 속에 흡수하여 소농민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특히 이러한 성격의 향약은 선조 때 [[이이]]가 창안한 여러 향약을 토대로 하여 기호 지방에 널리 퍼졌고, 영남 지방에서는 경제적 상부상조보다는 도덕 질서와 계급 질서의 안정에 주안점을 둔 이황의 향약이 큰 영향을 주었다. 선조 때 향약이 전국에 보급되었다.
 
김안국이 붕우유신과 장유유서를 강조하는 《이륜행실》을 널리 보급한 것도 향촌 질서의 안정을 목표로 한 것이었다. [[16세기]] 후반에 향약이 정착됨에 따라 관과 민으로 구분되던 지금까지의 계급관계는 사족과 하인(평민과 노비)이 대응하는 새로운 계급질서를 고착화시키는 계기를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