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릴레이 위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FA/GA 틀 제거. 위키데이터 배지시스템 적용; 예쁘게 바꿈
1번째 줄:
{{번역중|en:Galilan moons}}
[[Image파일:Jupitermoon.jpg|thumb|200px|[[목성]]과 갈릴레이 위성을 합성하여 만든 크기 비교 사진. 위에서부터 아래로 [[이오 (위성)|이오]], [[에우로파 (위성)|에우로파]], [[가니메데 (위성)|가니메데]], [[칼리스토 (위성)|칼리스토]]이다.]]
 
'''갈릴레이 위성'''(Galilean moons) 또는 '''갈릴레오 위성'''은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발견한 4개의 [[자연 위성]]을 뜻한다. 이 위성은 [[목성의 위성]] 중 가장 큰 위성이며, 이들 위성의 이름은 [[이오 (신화)|이오]], [[에우로페]], [[가니메데스]], [[칼리스토 (신화)|칼리스토]] 등 [[제우스]]의 연인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이 위성은 [[태양계]]에서 [[태양]]과 8개 [[행성]]을 제외하고 [[자연 위성 목록|가장 큰 위성]]이며 어떤 [[왜행성]]보다도 지름이 크다. 가니메데, 에우로파, 이오 3개 위성은 각각 1:2:4의 비율로 [[궤도 공명]]을 하며 공전한다.
11번째 줄:
 
=== 발견 ===
[[Image파일:Galileo.arp.300pix.jpg|thumb|left|upright|갈릴레이 위성 4개를 처음 관측한 [[갈릴레오 갈릴레이]].]]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망원경]]을 본인이 개선하여 20배 정도 확대되는 성능까지 올렸고, 그 결과로<ref>{{cite journal|first=Albert|last=Van Helden|title=The Telescope in the Seventeenth Century|journal=Isis|volume=65|issue=1|date=March 1974|pages=38–58|publisher=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on behalf of The History of Science Society|jstor=228880|doi=10.1086/351216}}</ref> 그 전보다 더 정확하게 천체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후 갈릴레이는 1609년 12월 또는 1610년 1월에 갈릴레이 위성을 발견했다고 생각된다.<ref name=Galileo89>갈릴레오 갈릴레이와 '별이 빛나는 편지'는 엘버트 반 헬든에 의해 번역되었다.</ref><ref>{{cite book|title=The Starry Messenger|last=Galilei|first=Galileo|year=1610|location=Venice|url=http://www.bard.edu/admission/forms/pdfs/galileo.pdf|quote=On the seventh day of January in this present year 1610....|isbn=0-374-37191-1}}</ref>
 
1610년 1월 7일, 갈릴레이는 목성의 위성들을 언급하는 첫 번째 편지를 썼다. 당시 그는 세 개의 위성을 발견했고, 목성 주변에 고정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갈릴레이는 1610년 1월 8일부터 3월 2일까지 이러한 천체를 관측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러한 관측은 네 번째 위성을 발견하고, 이 위성들은 목성 주변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목성 궤도를 돌고 있었다.<ref name=Galileo89/>
 
갈릴레이의 발견은 육안으로 아무것도 보이지 않거나 잘 보이지 않는 공간에서 망원경으로 어떤 천체를 발견해냈다는 점으로 천문학 도구로써 망원경의 중요성을 입증했다. 더 중요한 점은, 지구가 아닌 다른 천체를 도는 것은 [[지구중심설]]에 큰 타격을 주는 것이었다. 다른 천체들이 지구 주위를 돈다는 가설을 무너트리는 발견이었다.<ref>{{cite web|url= http://galileo.rice.edu/sci/observations/jupiter_satellites.html|title=Satellites of Jupiter|accessdate=9 August 2007|work=The Galileo Project|publisher=[[Rice University]]|year=1995}}</ref> Galileo's ''Sidereus Nuncius'' (''Starry Messenger''), which announced celestial observations through his telescope, does not explicitly mention [[Copernican heliocentrism]], a theory that placed the [[Sun]] at the center of the universe. Nevertheless, Galileo accepted the Copernican theory.<ref name=Galileo89/> As a result of these discoveries, Galileo was able to develop a method of determining [[longitude]] based on the timing of the orbits of the Galilean moons.<ref>Howse, Derek. ''Greenwich Time and the Discovery of the Longitud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0, 12.</ref>
 
A Chinese historian of astronomy, [[Xi Zezong]], has claimed that a "small reddish star" observed near Jupiter in 362 BC by Chinese astronomer [[Gan De]] may have been [[Ganymede (moon)|Ganymede]], predating Galileo's discovery by around two millennia.<ref>Zezong, Xi, "The Discovery of Jupiter's Satellite Made by Gan De 2000 years Before Galileo", ''Chinese Physics'' 2 (3) (1982): 664–67.</ref>
 
=== 메디시에 대한 헌신 ===
[[File파일:Sidereus Nuncius Medicean Stars.jpg|thumb|right|upright|수많은 별 중의 메디시의 별 ('별이 빛나는 편지'), 1610년에 위성들이 위치를 바꿀 때 그려졌다.]]
In 1605, Galileo had been employed as a mathematics tutor for [[Cosimo II de' Medici, Grand Duke of Tuscany|Cosimo de' Medici]]. In 1609, Cosimo became Grand Duke Cosimo II of [[Tuscany]]. Galileo, seeking patronage from his now-wealthy former student and his powerful family, used the discovery of Jupiter’s moons to gain it.<ref name=Galileo89/> On February 13, 1610, Galileo wrote to the Grand Duke’s secretary:
 
35번째 줄:
 
=== 이름 ===
[[File파일:Apparatus to demonstrate the motion of Jupiter's satellites in Putnam Gallery, 2009-11-24.jpg|thumb|목성의 위성들의 궤도를 설명하기 위해 18세기 중반부터 많은 계산이 이루어졌다.]]
Galileo initially called his discovery the '''Cosmica Sidera''' ("Cosimo's stars"), in honour of [[Cosimo II de' Medici]] (1590–1621). At Cosimo's suggestion, Galileo changed the name to '''Medicea Sidera''' ("the '''Medician stars'''"), honouring all four Medici brothers (Cosimo, Francesco, [[Carlo de' Medici (cardinal)|Carlo]], and Lorenzo). The discovery was announced in the ''[[Sidereus Nuncius]]'' ("Starry Messenger"), published in [[Venice]] in March 1610, less than two months after the first observations.
 
64번째 줄:
|-
| style="text-align:center;"| '''[[이오 (위성)|이오]]''' <br />''목성 I''
| style="background:black; text-align:center;"|[[Image파일:Io, moon of Jupiter, NASA.jpg|121px]]
| style="background:black; text-align:center;"|[[Image파일:PIA01129 Interior of Io.jpg|121px]]
| style="text-align:center;"| 3660.0<br />x 3637.4<br />x 3630.6
| style="text-align:center;"| 8.93 x {{e|22}}
| style="text-align:center;"| 3.528
| style="text-align:center;"| 421,800
| style="text-align:center;"| 1.769 <br /><br />'''(1)'''
| style="text-align:center;"| 0.050
| style="text-align:center;"| 0.0041
|-
| style="text-align:center;"| '''[[에우로파 (위성)|에우로파]]''' <br />''목성 II''
| style="background:black; text-align:center;"|[[Image파일:Europa-moon.jpg|104px]]
| style="background:black; text-align:center;"|[[Image파일:PIA01130 Interior of Europa.jpg|104px]]
| style="text-align:center;"| 3121.6
| style="text-align:center;"| 4.8 x {{e|22}}
| style="text-align:center;"| 3.014
| style="text-align:center;"| 671,100
| style="text-align:center;"| 3.551 <br /><br />'''(2)'''
| style="text-align:center;"| 0.471
| style="text-align:center;"| 0.0094
|-
| style="text-align:center;"| '''[[가니메데 (위성)|가니메데]]''' <br />''목성 III''
| style="background:black; text-align:center;"|[[Image파일:Ganymede, moon of Jupiter, NASA.jpg|175px]]
| style="background:black; text-align:center;"|[[File파일:PIA18005-NASA-InsideGanymede-20140501a.png|175px]]
| style="text-align:center;"| 5262.4
| style="text-align:center;"| 1.48 x {{e|23}}
| style="text-align:center;"| 1.942
| style="text-align:center;"| 1,070,400
| style="text-align:center;"| 7.155 <br /><br />'''(4)'''
| style="text-align:center;"| 0.204
| style="text-align:center;"| 0.0011
|-
| style="text-align:center;"| '''[[칼리스토 (위성)|칼리스토]]''' <br />''목성 IV''
| style="background:black; text-align:center;"|[[Image파일:Callisto, moon of Jupiter, NASA.jpg|160px]]
| style="background:black; text-align:center;"|[[Image파일:PIA01478 Interior of Callisto.jpg|160px]]
| style="text-align:center;"| 4820.6
| style="text-align:center;"| 1.08 x {{e|23}}
| style="text-align:center;"| 1.834
| style="text-align:center;"| 1,882,700
| style="text-align:center;"| 16.69 <br /><br />(9.4)
| style="text-align:center;"| 0.205
| style="text-align:center;"| 0.0074
110번째 줄:
=== 이오 ===
{{본문|이오 (위성)}}
[[Image파일:Galilean moon Laplace resonance animation.gif|thumb|upright=1.2|세 갈릴레이 위성이 1:2:4의 공진을 보여주고 있다.]]
 
이오는 네 갈릴레이 위성 중 가장 목성에 가깝다. 지름은 3,642[[킬로미터|km]]이다. 태양계에서 [[지름 순으로 정렬된 위성 목록|네 번째로 큰]] 위성이다. 이름의 유래는 그리스 신화의 [[이오 (신화)|이오]]에서 따 왔는데, [[헤라]]의 여사제과 동시에 [[제우스]]가 사랑하던 사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목성 I”로만 불려졌다. 또 20세기 중반까지 “목성의 첫번째 위성“으로도 불렸다.<ref name="marazzini"/>
134번째 줄:
가니메데는 주로 [[규산암]]과 얼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소금물 바다는 가니메데의 표면 약 200km 밑에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얼음의 층 사이에 끼워져 있다.<ref>{{cite web|url=http://www.jpl.nasa.gov/releases/2000/aguganymederoundup.html|title=Solar System's largest moon likely has a hidden ocean|accessdate=2008-01-11|date=2000-12-16|work=Jet Propulsion Laboratory|publisher=NASA}}</ref> 이전의 이론보다 현제 가니메데의 상황은 과거에 철 핵이 더 큰 열을 낸 상황을 필요로 한다. 표면의 두 가지 모양의 혼합 – 높고 젊은 지역, 그리고 홈과 능선을 가진 고대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니메데는 많은 크레이터를 가지고 있었지만, 대부분은 형성 후 얼음 지각에 의해 없어져 갔다. 위성은 얕은 [[산소]] [[대기]]를 가지고 있다. 대기는 O, O<sub>2</sub>, 그리고 아마도 O<sub>3</sub> ([[오존]])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조금의 [[수소|원자 수소]]로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ref>{{cite journal|last=Hall|first=D.T.|title=The Far-Ultraviolet Oxygen Airglow of Europa and Ganymede|journal=The Astrophysical Journal|year=1998|volume=499|issue=1|pages=475–481| doi=10.1086/305604| bibcode=1998ApJ...499..475H|author2=Feldman, P.D.|last3=McGrath|first3=M.A.|display-authors=2|last4=Strobel|first4=D. F.}}</ref><ref>{{cite journal|last=Eviatar|first=Aharon|title=The ionosphere of Ganymede|journal=Plan.Space Sci.|year=2001|volume=49|issue=3–4|pages=327–336| doi=10.1016/S0032-0633(00)00154-9|url=http://www.tau.ac.il/~arkee/ganymop.ps|format=ps|bibcode=2001P&SS...49..327E|author2=Vasyliunas, Vytenis M.|last3=Gurnett|first3=Donald A.|display-authors=2}}</ref>
 
[[Image파일:Masses of Jovian moons.png|thumb|200px|목성계 위성의 상대 질량이다. 이오와 칼리스토, 에우로파와 가니메데는 각각 50% 정도이다. 다른 목성계의 위성은 (갈릴레이 위성 때문에) 이 정도의 범위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 칼리스토 ===
158번째 줄:
위성의 밀도는 궤도가 목성으로부터 멀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칼리스토는 네 개의 위성 중 가장 낮은 밀도(얼음과 암석의 중간)을 갖고 있고, 가장 가까우면서 가장 밀도가 높은 이오는 철과 암석의 중간 정도 밀도를 갖고 있다. 칼리스토는 고대의 표면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그 밀도가 행성 전체에 균일하게 퍼져 있다. 아마도 철 핵 대신 바위와 암석이 섞인 핵을 갖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구조는 모든 위성의 원래 구조였을지 모른다. 안쪽에 있는 세 개의 위성은 대조적으로, 내부로부터의 분화의 흔적이 남아 있거나 분화 중이다. 그들은 또한 표면에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가니메데는 지하층의 융용 상태를 필요로 하는 지각 변동의 흔적이 보인다. 에우로파는 얼음 지각이 더 얇고, 이는 최근에 일어난 어떤 움직임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가장 안쪽에 있는 이오는 활동하는 유황 화산과 얼음의 흔적을 가지고 있다. 이 모든 증거는 가까운 위성들이 목성으로부터의 영향을 받아 뜨거워졌음을 시사한다. 현제의 추측은 목성에 가까울수록 거대한 중력 때문에 조석 가열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서 뜨거워졌다는 것이다. 내부의 얼음이 녹는 현상이 칼리스토를 제외한 모든 위성에서 일어났고, 이 열로 얼음과 철이 분리되면서 얼음은 표면으로 이동하고 철 핵이 구성되었다는 것이다. 가니메데에서는 두껍고 단단한 얼음 지각을 형성했다. 더 따뜻한 에우로파에서는 얇은 얼음 지각이 형성되었다. 이오에서는 극단적으로 모든 바위가 녹은 물이 오래전 우주로 사라졌다. 이오는 제일 극단적으로 가열이 진행된 듯 보인다.
<center>
[[Image파일:Jupiter.moons1.jpg|thumb|600px|center|<center>네 개의 위성들의 표면을 각각 다르게 바라본 것.</center>]]
</center>
 
=== 크기 ===
<center>
[[File파일:Moons of solar system v7.jpg|thumb|600px|center|<center>다른 태양계 위성과 갈릴레이 위성, 지구의 크기 비교. 이 해상도에서는 정확하지 않다.<center>]]
</center>
 
190번째 줄:
 
== 가시성 ==
[[Image파일:Thomas Bresson - Jupiter(2) (by).jpg|thumb|180px|아마추어 망원경으로 본 갈릴레이 위성.]]
네 개의 갈릴레이 위성은 아마추어 망원경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밝다. 만약 갈릴레이 위성이 목성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면 망원경 없이 볼 수 있다. 심지어, [[쌍안경]]으로도 쉽게 볼 수 있다. 이 갈릴레이 위성들의 [[겉보기 등급]]은(목성이 태양과 [[충 (천문학)|충]]의 위치에 있다면) 4.6~5.6이 될 것이다.<ref name=jplfact>{{cite web|last=Yeomans|first=Donald K.|date=2006-07-13|title=Planetary Satellite Physical Parameters|publisher=JPL Solar System Dynamics|url=http://ssd.jpl.nasa.gov/?sat_phys_par|accessdate=2008-08-23}}</ref> 지구에서 목성을 관찰할 때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달이 너무 밝기 때문이다.<ref>목성은 가니메데보다 750배 밝고 칼리스토보다 2000배 밝다.<br />가니메데: (100의 5 [[제곱근]])^(가니메데의 밝기: 4.4 [[겉보기등급|APmag]] - (목성의 밝기: -2.8 APmag)) = 758<br />칼리스토: (100의 5 제곱근)^(칼리스토의 밝기: 5.5 APmag - (목성의 밝기: -2.8 APmag)) = 2089</ref> 위성들이 목성에서 떨어지는 최대 각도는 2~10[[분 (각도)|분]] 정도이고,<ref>목성의 가까운 [[근점]] 2010년 9월 19일의 밝기: 656.7 (칼리스토가 목성에서 분리된 초(단위)) - 24.9 (목성의 [[반경]] 초(단위)) = 631 초 = 10 분</ref> 인간의 [[시력]] 한계에 도달한다. 가니메데와 칼리스토가 최대로 목성에서 떨어지면, 눈으로 관찰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관찰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위성과 목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무의 큰 갈라져 나온 가지처럼, 목성과 위성의 궤도가 수직이 되는 유틸리티 극 지점에서 관찰하는 것이다,
 
== 문서 참조 ==
210번째 줄:
[[분류:갈릴레이 위성| ]]
[[분류:목성의 위성]]
 
{{Link GA|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