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로머레이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SongofSol (토론 | 기여)
잔글 정리 필요 틀 추가
18번째 줄:
 
==== 텔로미어를 신장시키는 효소활동의 증거를 밝히다. (1984) ====
먼저 엘리자베스 블랙번과 캐럴 그라이더는 먼저 텔로미어가 신장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했다. 이들은 (TTGGGGTTAGGG)4 [[프라이머]](Primer)와 [[방사성 동위 원소]]가 연결된 염기, 그리고 ''테트라하이메나(Tetrahymena)''의 세포 추출물을 이용한 [[겔 전기 영동법]] 실험을 하였다. 실험결과, 전기영동 상에서 특이한 사다리 모양의 반복 무늬가 생겨났고, 이를 통해 그들은 [TTGGGGTTAGGG]4 서열의 프라이머가 필요하다는 점, 텔로미어의 신장에 [[구아닌]]과 [[티민]] 등의 염기가 사용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 반복 무늬를 보고 글라이더는 텔로미어의 신장이 효소활동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가정을 하였고 추가적인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DNA의 길이를 신장하는 효소가 DNA 중합효소라고 생각하고, 대장균의 DNA 중합효소 1을 넣어주었으나, 반응이 일어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우리가 알고 있는 기존의 효소와는 다른 종류의 효소가 텔로미어 신장을 매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엘리자베스 블랙번과 캐럴 그라이더는 서로 다른 종류의 프라이머를 넣어 텔로미어의 신장이 일어나는지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텔로미어는 ''테트라하이메나''와 ''Yeast''의 프라이머에서만 텔로미어의 신장이 일어났다. 이를 통해 텔로미어의 신장이 특정한 서열의 프라이머에서만 일어나는 현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그들은 텔로미어의 신장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조건에 90도의 열을 5분 동안 가해주는 변수와 [[프로테이스]] K(protease K)를 넣어주는 변수를 각각 적용해주었다. 텔로미어를 연장시키는 것이 효소라면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고 그 단백질이 파괴된다면 신장 반응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서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텔로미어의 신장 반응이 위의 두 변수를 가해주지 않았을 때보다 저해되었고, 텔로미어를 신장시키는 것이 효소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ref>Greider CW, Blackburn EH. Identification of a specific telomere terminal transferase activity in Tetrahymena extracts. Cell. 1985 Dec;43(2 Pt 1):405‐13.</ref>
 
==== 텔로머레이스에 있는 RNA분자의 역할을 밝히다. (19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