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쇄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Gardenmania (토론 | 기여)
→‎바깥 고리: 소쇄원 계곡의 원래 모습을 담은 동영상 링크
Gardenmania (토론 | 기여)
→‎연대표: 연대표를 완성하여 추가함
35번째 줄:
 
== 연대표 ==
* 1503 (중종38) 소쇄원 작정자이자 소유주 양산보, 부친 창암 양사원의 3남중 장남으로 태어나다.
* 1517 (연산군9) 양산보, 15세에 상경하여 정암 조광조(1482~1519)의 가르침을 받다.
* 1519 (중종14) 양산보, 17세에 과거(현량과)에 합격했으나 합격자가 너무 많다는 이유로 등용되지 못하다.
**기묘사화로 양산보의 스승 조광조가 능주로 유배되어 사약을 받고 죽다.
* 1520 (중종15) 양산보, 스승 조광조의 죽음을 계기로 고향 지석동 창암촌으로 낙향, 소쇄원 작정을 시작하다.
* 1530 (중종25) 소쇄원 조경공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다.<ref>조선시대 작정된 정원으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민간정원은 경북 경주시에 위치한 양동 서백당으로 1484년(성종15)에 작정되었다.</ref>
* 1534 (중종29) 소쇄원에 관한 최초의 기록이 등장하다.<ref>소쇄원초정에 관하여 제일 이른 기록으로 면앙집1권에 수록된 시가(외제양언진소쇄정사수가정갑오外弟梁彦鎭瀟灑亭四首嘉靖甲午)</ref>
* 1548 (명종3) 하서 김인후가 소쇄원48영을 짓다.
* 1557 (명종12) 소쇄원 작정자 양산보 55세에 사망하다.
* 1592 (선조25) 정유재란 중에 건물이 불에 타다.
* 1614 (광해군6) 양산보의 손자 천운(1568~1637)이 재건하다.
* 1755 (영조31) 판화로 소쇄원도가 만들어지다.<ref>1983년 소쇄원판이 종가에 보관되어 있다는 언론 보도 이후 도난당해 현재 탁본 한 장이 겨우 남아 있다.</ref>
* 1973 소쇄원이 최초로 학술논문에서 다뤄지다.<ref>정동오, 양산보의 소쇄원에 대하여, 한국조경학회지 제3집, 1973</ref>
* 1979 소쇄원을 다룬 단행본 서적(사진집)이 최초로 출간되다.<ref>임응식, 한국의 고정원 소쇄원, 광장, 1979</ref>
* 1981 국가 사적 304호로 지정되어 문화재로 인정받다.
* 1983 소쇄원 보존을 다룬 정부 당국 보고서가 출간되다.<ref>문화재관리국, 심경구 外, 담양소쇄원 보존정비계획 및 설계, 1983</ref>
* 1991 양씨 종중이 소쇄원 관리비 마련을 위해 입장권 유료화를 추진하자 담양군이 이를 ‘불법 징수’라며 반대하여 실현되지 못하다.
* 1993 유홍준의 저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1>에 '담양 소쇄원: 자연과 인공의 행복한 조화'라는 한 장으로 소개되어 전국적인 유명세을 얻다.<ref>유홍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1, 창비, 1993. 이후 전문가나 지역주문에게만 알려져있던 소쇄원이 문화유적 면적당 관람객 수 1위를 차지하게 된다.</ref>
* 1995 소쇄원을 다룬 석사학위논문이 최초로 출간되다.<ref>장수영, 별서 소쇄원에서의 공간구조상의 조직체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1995 </ref>
* 2005 소쇄원 입장료(어른 기준 : 천원)를 받기 시작하다.
** 양씨 종중이 문화재청을 상대로 ‘명승지정 및 관리단체 지정취소’ 소송을 제기하다.
* 2008 소쇄원을 다룬 박사학위논문이 최초로 출간되다.<ref>권수용, 소쇄원의 역사와 인문활동 연구, 전남대학교, 2008</ref>
* 2010 담양군이 양씨 종중에 현지 관리인 추천권을 주고 종중 총회에서 의결한 종중사업에 대해 수익금 일부(입장료의 40%)를 보조금으로 지급하는 타협안을 제시해 합의하다.
* 2014 양산보의 15대손 양재영(52)이 관리하고 있다.
** 소쇄원을 다룬 가장 최근 단행본 서적인 출간되다.<ref>이기동, 천국을 거닐다, 소쇄원: 김인후와 유토피아, 사람의무늬, 2014</ref>
** 소쇄원을 다룬 가장 최근 박사학위 논문이 출간되다.<ref>장익식, 소쇄원 오곡문 담장 구조형태 해석에 관한 연구 : 담장 축석(築石)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2014</ref>
 
== 함께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