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 영화: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9번째 줄:
 
SF 영화의 비주얼 스타일은 친숙한 이미지와 낯선 이미지의 충돌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이 충돌은 ''[[시계태엽 오렌지 (영화)|시계태엽 오렌지]]''에서 코로바 밀크바의 반복이 낯선 장식을 익숙하게 만들 때처럼 낯선 이미지가 친숙해질 때 구현된다.<ref>Sobchack, Vivian Carol (1997). Screening space: the American science fiction film. Rutgers University Press. p. 106. ISBN 0-8135-2492-X.</ref> ''[[리포 맨 (영화)|리포 맨]]''과 ''[[리퀴드 스카이]]''에서처럼 친숙한 이미지가 낯설어 질 때도 마찬가지로 구현된다.<ref>Perrine, Toni A. (1998). Film and the nuclear age: representing cultural anxiety. Taylor & Francis. pp. 31–32. ISBN 0-8153-2932-6.</ref> 예를 들어, ''[[닥터 스트레인지러브]]''에서, 인간에 대한 왜곡은 친숙한 이미지를 더욱 낯선 것으로 만든다.<ref>Sobchack (1997:170–174).</ref> 마지막으로, 낯선 이미지와 친숙한 이미지는 ''[[데들리 멘티스]]''에서 거대한 [[황라사마귀]]가 [[워싱턴 기념탑]]을 기어오를 때처럼 병렬될 수 있다.
 
문화이론가 [[스콧 부캣먼]]은 SF 영화가 과장된 스케일과 아포칼립스, 혹은 초월을 통해 현대 문화에 [[숭고]]한 표현을 제공했다고 말했다.